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설화 속 동물을 주제로 한 캐릭터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Character Design with the Theme of Korean Folklore Animals: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designer toy series
디자이너 토이 시리즈 개발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장섭-
dc.contributor.author김단-
dc.date.accessioned2022-12-29T08:03:33Z-
dc.date.available2022-12-29T08:03:33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00000017302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798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020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2. 8. 이장섭.-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의 설화는 샤머니즘(Shamanism)의 무속(巫俗)문화 세계관과 연관하여 한국 문화의 형성에 있어서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근대에는 디자인의 감성적 가치가 중요하게 여겨지며, 감성적 가치를 상업적 가치로 전환할 수 있다. 전통문화를 주제로 한 디자인 상품은 상대적으로 더 쉽게 소비자의 감성적 공감을 얻을 수 있고 이러한 면에서 설화 속 동물은 캐릭터 디자인의 주제로써 매력이 있다. 하지만, 설화 속 동물의 캐릭터 디자인의 사업화는 한국에서 아직 크게 관심을 끌지 못하였으며, 주제를 매력적인 지속이 가능한 콘텐츠로 만드는 연구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이론적 연구과 사례연구를 통해서 한국 설화 속 동물의 캐릭터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설화와 설화 속 동물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설화 속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기원 활동이나 운세 추정 등에 사용되며, 다양한 의미의 능력과 상징을 둔다. 설화 속 동물의 중요한 특징은 주요 존재 배경은 샤머니즘 세계관에 기원한다는 점과 인간에게 정신적 가치를 제공하는 점으로 요약된다.

둘째, 캐릭터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디자인하고자 하는 캐릭터는 팬시 캐릭터에 속한다는 것을 알아냈고 이어서 오늘날 팬시 캐릭터 사업을 종류별로 정리하였다. 또한 오늘날 캐릭터 디자인 사업화 과정의 경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사례연구를 통해 사업별 설화 속 동물의 디자인 현황과 한국 설화 속 동물 캐릭터 디자인 현황을 고려하여 캐릭터의 최종 적용을 디자이너 토이로 제안하였다. 이어서 디자이너 토이 사례연구를 통해 디자이너 토이의 조형적 특성들을 분석하였고, 결과로써 디자인 스타일을 제안하였다.

넷째, 설화 속 동물 캐릭터 내용 분석에서 설화 속 동물들을 유형화하고, 샤머니즘 세계관과 설화 속 동물 문화적 특징과 상징의미를 결합해 설화 속 동물 캐릭터의 세계관과 캐릭터 디자인 대상이 되는 동물들을 선정하였다. 캐릭터 세계관 설정의 경우 극락, 이승, 저승과 함께 천과 지의 개념이 적용되었다. 최종적으로 비호, 삼두일족응, 해치, 묘두사, 인면조, 진묘수를 선정하였다. 이 동물들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디자인에 적용할 전통 요소들을 선정하였다.

다섯째, 최종작품의 창작과정을 보여주고 최종작품과 전시를 서술하였다. 작품의 창작 과정으로 캐릭터의 형태 연구를 진행하였고 동물 캐릭터의 구체적인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캐릭터의 스케치 방향을 조사하고 설정하였다. 캐릭터 중 비호를 예시로 설정하여 캐릭터 스케치를 진행하였다. 이어 진행한 색채 연구를 통해 캐릭터 디자인의 색채를 한국 전통 색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종 작품으로 세계관 이야기, 캐릭터 디자인 설명, 디자이너 토이 3D 모델링과 렌더링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이너 토이 제작 과정, 전시물과 전시 현장 이미지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화 속 동물의 캐릭터 디자인 및 기획을 통해 한국의 문화를 더욱 널리 알리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주제의 문화적 가치와 사업적 가치를 동시에 부각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문화콘텐츠 캐릭터 디자인 연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디자인 방법의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Korean folktales has a profound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Korean culture in relation to the worldview of shamanism. Modern consumers value emotions imbued within the design, which can be converted into commercial values. In this regard, it has been witnessed that traditional culture themed design products can obtain emotional sympathy from consumers much more easily, which makes animals from folktales an attractive subject of a character design. However, the commercialization of character design of animals from folk tales has not yet attracted much attention in Korea, and research to make the subject into attractive and sustainable content is still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character design studies of animals from Korean folktales were conducted through theoretical studies and case studies.

First, a theoretical and historic research takes place to define the design subject. It has been found that animals from Korean folktales are known to have abilities and symbolizes certain meanings and are used for ritual activities or fortune telling.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animals in folk tales are originated from shamanistic worldview and that they provide spiritual values to humans.

Second, contemporary commercial designs are categorized, which concluded that the end product of this research can be categorized as fancy character design. Then further commercialization process was researched and presented.

Third, through case studies, with consideration of current status of design that utilizes animals from various folktales from various industries and that of Korea, a designer toy is suggested as an end product. Then a design style is suggested, as a result of formative analysis case studies of designer toys

Forth, Animals from fairy tales are categorized, a number of which are selected by cultural and symbolic meanings from shamanistic worldview. The worldview from which the characters are selected include the Sky, The Earth, heaven, afterlife, and the current life. Images of these animals were analyzed and traditional elements are extracted to be applied to the final design.

Fifth, the creative process of the final product and exhibition was described. A research with regard to shape and forms of characters, and a detailed sketch plan was set to realize the concept into an actual design. Biho is used as a sample case, of which sketch is presented in the section. Through an extensive color research, traditional Korean colors are selected. As a final product, worldview, character design description, and designer toy 3D modeling and rendering images are presented. Lastly, photos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designer toy production and their exhibition are presented.

This study aims to promote Korean culture more widely through character design and planning of animals from traditional Korean fairy tales to highlight the cultural and commercial value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provide a framework for a design method for researchers in the future interested in similar cultural content character design research.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제 2 절 연구 범위 및 방법 3
1. 연구 범위 3
2. 연구 방법 3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제 1 절 한국 설화의 이해 6
1. 한국 설화의 개요 6
2. 한국 설화의 특징 11
제 2 절 한국 설화 속 동물의 탐구 14
1. 한국 설화 속 동물의 신격화 14
가. 자연숭배 관련된 설화 속 동물 14
나. 길흉예측 관련된 설화 속 동물 17
다. 기원용도 관련된 설화 속 동물 22
2. 한국 설화 속 동물의 특징 28
제 3 절 캐릭터의 이해 29
1. 캐릭터의 개념 29
2. 캐릭터의 구분 30
3. 캐릭터의 사업화 32
제 3 장 설화 속 동물 캐릭터 디자인 사례 연구 35
제 1 절 설화 속 동물 캐릭터 소재로써 현대 디자인의
적용현황 35
1. 설화 속 동물 캐릭터 사업별 현대 디자인 사례 35
2. 한국 설화 속 동물 캐릭터 디자인의 현황 42
3. 디자이너 토이를 캐릭터 디자인의 활용 방식으로 제안 47
제 2 절 동물 디자이너 토이 연구 49
1. 디자이너 토이 사례 연구 49
2. 조형적 분석과 디자인 제안 55
제 4 장 설화 속 동물 캐릭터 내용 분석 56
제 1 절 한국 설화 속 동물의 유형화 56
1. 상징으로 분류한 설화 속 동물 56
2. 능력으로 분류한 설화 속 동물 57
3. 소속으로 분류한 설화 속 동물 59
제 2 절 캐릭터 디자인 주요 구성 요소 62
1. 세계관 기초구조와 설화 속 동물 선택 62
2. 선택된 동물의 이미지 분석 63
가. 해치(해태) 63
나. 비호 66
다. 삼두일족응 69
라. 묘두사 69
마. 인면조 70
바. 진묘수 71
3. 전통적 요소 선정 72
제 5 장 최종 작품 연구 73
제 1 절 작품 창작 과정 73
1. 캐릭터의 형태 연구 73
2. 캐릭터의 색채 연구 80
제 2 절 최종 작품 84
제 3 절 작품 전시 97
제 6 장 결론 및 제언 107
참 고 문 헌 109
Abstract 111
-
dc.format.extentx, 11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설화-
dc.subject문화콘텐츠-
dc.subject캐릭터디자인-
dc.subject캐릭터사업화-
dc.subject디자이너토이-
dc.subject.ddc745.2-
dc.title한국 설화 속 동물을 주제로 한 캐릭터 디자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haracter Design with the Theme of Korean Folklore Animals: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designer toy serie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in, Dan-
dc.contributor.department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2-08-
dc.title.subtitle디자이너 토이 시리즈 개발을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사각디자인-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302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8▲000000000055▲00000017302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