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간의 형상을 통한 근원적 정서 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Fundamental Affect through Human Figure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양희

Advisor
윤동천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근원적정서보편적인물상중층구조흔적객관적태도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미술학과, 2022. 8. 윤동천.
Abstract
본 연구는 인간의 형상을 통하여 인간의 근원적 정서를 표현하는 본인의 작업에 대한 분석이다. 연구의 목적은 본인이 다년간 진행해 온 작업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본인 작업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하고자 함이다.
인간은 필연적으로 타자와 영향을 주고받으며 사회문화적 의미를 습득하고 공유하는 상호의존적 관계를 가진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타자로부터 존재하는 사회적, 관계적 존재인 것이다. 따라서 관계성이라는 것은 실체의 성립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인간의 고유한 존재 양식이다. 타자와의 관계는 몸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며 그 관계로부터 정서가 발생하고, 또한 그 정서를 형성하고 경험하는 주체는 몸이다. 이처럼 인간의 존재 양식인 관계 맺음 안에서 몸과 정서는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고, 따라서 인간의 몸과 정서는 인간 존재론에 있어 핵심이 되는 문제로 볼 수 있다.
본인의 작업은 인간이 실존 상황에서 갖게 되는 근원적인 정서를 인간의 형상을 통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근원적 정서란 일반적인 관점에서의 심리적 현상으로서의 정서가 아니라 하이데거의 기분 개념과 같이 인간이 존재론적으로 갖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인간의 실존 상황, 즉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인간은 본유적인 욕망을 갖게 되지만 그 욕망들은 충분히 만족되지 않으며, 인간 실존은 항상 결핍된 상황에 처해 있다. 그리고 그로부터 불안, 공허, 고독함 등의 정서가 발생한다. 이는 인간이 필연적으로 가지게 될 수밖에 없는 존재론적 현상이며 따라서 이러한 정서들은 인간 존재에 있어 본질을 이루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근원적 정서는 특정인의 정서가 아니라 인간 누구나 갖는 정서이므로 보편적 인물상을 통하여 표현한다. 보편적 인물상이라는 것은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뛰어넘어 존재하는 인간 전체를 대표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렇게 모든 외적 조건과 시공간을 초월한 인간이 가지는 보편성은 또한 몸과 정신으로 동시에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그러한 점에서 정신의 한 부분인 인간의 정서를 보편적 인물상으로 표현하는 본인의 작업은 몸과 정신으로 존재하는 인간 존재에 대한 성찰이다.
보편적인 인물을 표현하기 위해 인물의 형상을 해체하거나 흐릿하고 모호하게 만든 결과 인물들은 비물질적이고 비실체적인 것으로 표현된다. 실체가 없는 듯한 속이 텅 빈 모습의 인물에서 실존의 불안과 공허함, 무상함이 느껴지며, 또한 타인과의 관계가 단절된 고립된 존재로 인물을 표현함으로써 고독의 정서가 드러난다. 이러한 정서의 표현과정에서 주요하게 보이는 특징은 해체와 재구성, 중첩과 중층구조, 그로 인한 흔적의 가시화이다. 해체와 재구성의 과정에서 중첩되는 층들은 중층화된 구조를 만들고 그 과정에서 인물들은 흔적처럼 표현된다. 인간이라는 존재는 고정된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타자와의 상호교류를 통해 그 내용이 채워지는 비어 있는 존재이다.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진 인물들의 흔적은 이러한 상호관계의 흔적으로 현존과 부재 사이의 비결정적인 인간의 존재를 상징한다. 또한 흔적과 소멸은 시간성을 포함하기에 이 인물들은 시대를 초월한 인물임을 상징하며, 따라서 이 작업들에서 표현된 정서 또한 인간의 보편적인 정서라는 사실을 내포한다.
본인 작업에서 정서의 표현은 본인 특유의 표현방식, 매체의 사용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판화 매체의 간접적 특징을 정서 표현의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전통판화의 기법을 응용하여 새로운 시도와 실험을 한다. 특히 레이저 인그레이빙이라는 본인 특유의 기법은 판화 매체의 확장이라는 의미를 가짐과 동시에 본인 작업의 내용과 형식을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공간을 이용한 설치작업들은 평면에서의 중첩이 공간에서의 중첩으로 확장되면서, 흔적이 지니는 시간성에 더하여 공간성을 동시에 지니게 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이러한 작업들은 관람자로 하여금 타인의 흔적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공간에 개입하게 하여 작품의 의미를 관람자 자신의 삶의 경험에 의거하여 몸으로 직접 느끼도록 한다. 빛의 사용은 매체의 측면에서는 판화의 평면성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임과 동시에 감상에 있어 심미적 요소로 작용하여 작품에 정서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본인 작업에서 빛과 공간의 활용은 정서 전달과 소통의 측면에 있어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인의 작업에서 정서는 본인만의 조형 어법과 매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본인 특유의 방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본인 작업의 또 하나의 독특한 지점은 객관적 태도로 정서를 표현한다는 점이다. 본인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불안, 공허. 고독의 정서들에 대해 중립적 입장을 견지하며 따라서 그 정서를 거리를 두고 표현한다. 거리두기의 태도로 인해 본인 작업에서 정서는 직접적으로 드러나거나 분출되는 방식으로서가 아니라 절제되고 고요하게 표현된다. 불안, 공허, 고독 등의 정서는 누구나 한 번쯤은 경험하는 것으로 현대인들의 삶에 있어 중요한 화두임에 틀림없다. 이 정서들은 부정적인 것만이 아니라 자신을 성찰하는 계기가 되고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다. 본인의 작업은 이 정서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며 이를 마주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다시금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본인의 작업은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으로부터 시작된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의 과정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본인의 작업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고찰하면서, 조형적인 목적으로 사용한 여러 방법들이 내용에 영향을 미치고 작품에 의미를 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존 듀이에 따르면 예술 작품의 창조에는 완결이라는 것이 없으며 창조의 매 단계는 다음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적인 것이다. 어느 시점에 완결상태에 있는 내용들이 이후에 다시 재통합을 이루는 완결의 단계를 맞이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인의 작업은 진행 단계에 있으며 본 연구는 다음의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되는 또 하나의 단계로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미술에 있어서 인간의 정서를 표현하는 경향을 살펴보고 여러 철학자들의 논의를 통해 불안, 공허, 고독의 정서가 인간이 실존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가지게 되는 보편적인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작업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본인 작업에 대한 당위성과 그 의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본인의 작업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숙고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의 작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Yanghee Changs own work to express human fundamental affect through human figur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Changs work by analy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at Chang has been working on for many years.
Humans inevitably exchange influences with others and have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that acquires and shares sociocultural meanings. Humans are essentially social and relational beings that exist from others. Therefore, a relationship is a unique form of existence for humans as it enables the establishment of reality. That relationship is made through the body. The body is the basic condi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human existence, and it is also the subject that forms and experiences affect. For humans, affect is not only a feeling of a moment but also a criterion for value judgmen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Affect can be seen as a way of understanding the world and can be said to be a key part of human lif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is made through the body, and affect occur from the relationship, and the body is the subject who forms and experiences the affect. In this way, the body and affect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relationship, which is the mode of human existence, and thus, the human body and affect can be seen as a key problem in human ontology.
Changs work is to express the fundamental emotions that humans have in the existential situation through the human shape. Fundamental affect refers to a phenomenon that humans have ontologically, such as Heidegger's concept of 'feeling', rather than emotion as a psychological phenomenon from a general perspective. In human existence, that is, in a relationship with others, humans have innate desires, but those desires are not sufficiently satisfied, and human existence is always in a deficient situation. From there emotions such as anxiety, emptiness, and loneliness arise. This is an ontological phenomenon that humans inevitably have, and therefore, these emotions can be said to be a part of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The expression of fundamental affect is made through a universal figure. The universal figure represents the whole of human beings that transcends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In this way, the universality of humans beyond all external conditions and time and space also exists simultaneously with the body and spirit. In this respect, the universal representation of character in Chang's work is a reflection on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in the body and mind.
As a result of dismantling the figure or blurring and obscuring the figure to express a universal figure, the characters are expressed as immaterial and non-physical. In a person that seems to have no substance, there is a sense of existential anxiety, emptiness, and a sense of futility, and the feeling of solitude is revealed by expressing a person as an isolated being whose relationship with others has been severed. The main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se emotions are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overlapping and intermediate structures, and the resulting visualization of traces.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overlapping layers create a layered structure. The characters that are layered in multiple layers represent the existence of humans as human beings as traces of others.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always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others, and does not have a fixed meaning, but an empty being who gets filled and established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The layers of multi-layered figures are the traces of this interaction and symbolize the non-deterministic existence of humans between existence and absence. In addition, traces and extinction include timeliness, therefore These figures symbolize a universal figure that transcends time, and thus imply that the affect expressed in these works are universal human affect.
In Chang's work, the expression of affect is closely linked to this way of expression and the use of media. While actively utilizing the indirect characteristics of the print medium as a means of emotional expression, new attempts and experiments are conducted, such as using transparent materials. In particular, Chang's unique technique, laser engrav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the contents and format of Chang's work at the same time as the expansion of the engraving medium. In addition, installation works using space are important in that they simultaneously have spatiality in addition to temporality as overlapping in the plane expands to overlap in space. Also, the focus is on the aspect of communication by allowing the viewer to directly feel the emotions expressed through their own body based on their life experiences. The use of light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flatness of printmaking in terms of the medium, and at the same time acts as an aesthetic element in appreciation, allowing an affective approach to the work. These factors play a positive role in terms of delivering affect. In this way, in Chang's work, affect is expressed in Chang's own unique way through the interaction of Chang's own formative language and media.
Colors were used in accordance with each purpose, especially gray is a color suitable for expressing affect of solitude or emptiness. It is also a means of expressing affect and at the same time reflects Chang's objective attitude to expressing it. Due to the distancing attitude, affect in Chang's work is expressed in moderation and calm, not in a direct manner or vent. Expressing affect viewed at a distance using indirect techniques is the uniqueness of Chang's work. Affect such as anxiety, emptiness, and solitude must be important topics in modern people's lives as everyone experiences them at least once in their lives. These affect are not necessarily negative, but rather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oneself and lead a better life. Chang's work allows viewers to look at these affects objectively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ir life by facing them.
Chang's work is a process of exploration of human existence that began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uman existenc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methods used for formative purposes influenced the content and added meaning to the work while analyzing and considering Chang's work from various angles. According to Dewey, there is no completion in the creation of a work of art, and every step of creation is a means of enabling the following work. At some point, the contents that are in the final state reach the stage of finalization in which they are reintegrated again later. In this respect, Chang's work is in progress,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nother step that serves as a stepping stone for the next work.
In this study, the flow of expressing human affect in art was summarized, and compared and analyzed with Chang's own work. In addition, through the discussions of various philosoph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affect of anxiety, emptiness, and solitude are universal that humans inevitably have in real situations. Through this, the justification for Chang's work and the significance of Chang's work were confirm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became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the direction in which Chang's work should proceed in the future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sequent work.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9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9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