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사회상의 시각화를 통한 비판적 인식의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Critical Perception through Visualization of Korean Socie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혜원

Advisor
윤동천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사회상의관찰비판적현실인식관행적정치대중의정치참여병치와중첩observationsofKoreansocietycriticalviewsofrealityconventionalpoliticspublicparticipationinpoliticsjuxtaposingandoverlapping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서양화과, 2022. 8. 윤동천.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searchers work view and to provide a foothold for future work by analyzing researchers works on Korean society with critical point of view. To define the perspectives of researchers works, the works were classified by each material and the meanings were interpreted. Similarly, the works were examined whether the expression methods were appropriate by describing the expression styles and formal characteristics chosen for revealing researchers viewpoint. The artist, as a member of society, speaks about customs and politics using a form of language, Using the art as form of language, and provides a discussion point to the audience. A work of art become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the artist who presents the meaning and the audience who accepts it.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n art has a role and meaning when it opens the possibility of reconsidering reality to the audience through telling the reality perceived by the artist within the work of art. In addition, criticizing the present society and the current situation by work of art gives the researcher a sense of political efficacy. The researcher responded to the repetitive patterns often seen in Korean society triggered by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 and brought them as the subject of her work. In this study, work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material and the meanings of each work were described. The subject matter was taken around from the researcher and extended to politics, society in general, and the public, and the critical point of view toward the outside results in the researcher's own reflectio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subject matter into three themes: 'customary thinking and acceptance', 'conventional political behavior', and 'stylize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tics'.
First, the paper discussed customs and values in the society that have been mindlessly accepted through 'customary thinking and acceptance'. This was developed into doubts about the group and power that make value judgments.
Next, in 'Conventional Political Behavior', the researcher focused on behaviors repeatedly revealed in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and pointed out the behavior of conventional politicians and the faction logic that is repeatedly practiced to maintain power.
Furthermore, the appearance of the public responding to this political milieu was explained through stylize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tics. The work expressed the skepticism towards to the publics uncritical behavior in the stylized participation, and revealed the public's inertial participation in history and politics.
For the expression of those themes, the researcher first collected various images and edited them. The edited images form a meaning through parallelly presenting with other images or texts or overlapping with each other. This reconstructed meaning provides to introduction to further work, and juxtaposing and overlapping methods were applied to build the meaning. The juxtaposition method brings re-contextualization of content by apposing images with other images and images and texts, which leads to comparative evaluation. The overlapping method creates partially blotting out image which emphasizes the content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deleted image and its traces.
Lastl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researchers works. The researcher explained suitability of applying printing and silkscreen techniques for researchers work, and reviewed the influence of formal characteristics on the selection of the plate material.
이 논문은 연구자가 관찰한 한국 사회상을 소재로 하여 연구자의 비판적인 관점을 드러내는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작업관을 돌아보고 향후 작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작업의 관점을 정리하고자 각각의 소재로 작품을 분류하고 개별 작품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관점을 드러내기 위해 선택한 표현의 방법과 형식적 특징을 서술하는 것으로 작품의 표현 방식이 적절하였는지를 점검하였다.
예술가는 사회의 일원으로 예술이라는 언어로 관습과 정치에 대해 발언하고 관객에게 논의거리를 제공한다. 이때 예술작품은 의미를 제시하는 작가와 수용하는 관객 사이의 소통 매체가 된다. 연구자는 예술작품 내에 본인이 인식한 현실에 대해 논하고 이를 통해 관객에게 현실 재고의 가능성을 열 수 있다면 미술의 역할과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현실 비판적 작업을 통해 현 사회와 세태에 대해 논하는 것은 연구자 본인에게 정치적 효능감을 준다.
연구자는 본인이 겪은 특정 경험을 계기로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반복적 양상에 반응하고 이를 작업의 소재로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각 소재에 따라 작품을 분류하고 개별 작품의 의미를 서술하였다. 해당 소재는 연구자의 주변에서 시작하여 정치와 사회 전반, 대중으로 확대되며, 외부를 향한 비판적 관점은 결과적으로 연구자 본인의 반성으로 귀결된다.
연구자는 소재를 관습적 사고와 수용, 관행적 정치행태, 양식화된 대중의 정치참여라는 세 가지의 범주로 분류한다.
첫째로 관습적 사고와 수용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수용해온 사회 내 관습과 가치에 대해 논한다. 그리고 이는 가치판단을 내리는 집단과 권력에 대한 의구심으로 발전된다.
다음으로 관행적 정치행태에서는 한국의 정치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행태에 주목하여 관행적인 정치인의 행태와 권력 유지를 위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진영논리에 대해 꼬집는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 환경에 대응하는 대중의 모습을 양식화된 대중의 정치참여를 통해 설명한다. 양식화된 방식에 무비판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바라보는 연구자의 회의감을 표현하며 역사와 정치에 관성적으로 참여하는 대중의 모습을 드러낸다.
위의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연구자는 먼저 여러 이미지를 수집하고, 편집하였다. 편집된 이미지는 이미지와 텍스트들을 나열하거나 겹쳐 놓는 것을 통해 맥락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재생산된 의미는 각 작업 내에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주로 병치와 중첩을 사용하였다. 병치는 이미지와 이미지, 이미지와 텍스트의 병치를 통해 내용의 재맥락화를 일으키며, 결과적으로 비교평가를 유도한다. 중첩을 통해 이미지를 부분적으로 삭제하는 방법은 역으로 삭제되고 남은 이미지와 그 흔적의 대비를 통해 내용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앞의 표현방식의 특징을 사용하는 동시에 형식의 활용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자 본인의 작업 성향에 알맞은 기법으로 인쇄 및 실크스크린 기법을 설명하고, 개별 작업에서 차용된 형식들이 판재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99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2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