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인터넷 접근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ight to Access the Internet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With a focus on social rights
사회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성관정

Advisor
전상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지털격차정보격차디지털소외계층인터넷접근권사회적기본권헌법에열거되지않은기본권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22. 8. 전상현.
Abstract
이 논문은 정보사회의 새로운 사회현상으로 대두된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문제를 헌법학의 관점에서 정리해 보고자 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사회에 등장한 새로운 사회현상으로서 디지털 격차의 문제를, 디지털 격차로 인해 정보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 즉 디지털 소외계층의 보호에 중점을 두고 검토하였는데, 여기서 던져진 여러 문제제기와 나름의 결론들은 모두 그러한 관점하에서 서술되었다.
디지털 격차는 정보화의 역기능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정보사회에서의 디지털화에 따른 변화의 가장 큰 특징은, 어떤 행위를 함에 있어 디지털화된 방식과 그렇지 않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가능성의 발생으로 요약된다. 디지털 격차는 그러한 선택가능성의 유무를 의미한다. 나아가 그러한 선택가능성이 디지털 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에서, 디지털 격차는 디지털 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른 행위방식에 있어서의 선택가능성의 차이라고 정의된다.
디지털화된 행위와 디지털화되지 않은 행위 간 선택가능성이 보장될 때, 디지털 격차는 해소될 수 있다. 선택가능성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그러한 선택가능성이 보장되지 않은 사람들 즉 디지털 소외계층이 실제로 디지털화된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실질적 조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국민 각자가 실제로 자유와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실질적 조건의 마련은, 사회국가의 과제인 사회적 정의가 구현을 의미한다. 이를 종합해볼 때,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 일은 정보사회에서 국가에 주어진 사회국가적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인터넷 접근권의 보장을, 디지털 격차의 해소방안으로 보고 있다. 인터넷 접근권은 헌법에 열거되지 않은 기본권으로, 그 독자적 기본권성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필요성과 고유한 권리내용이 인정되어야 한다. 먼저, 사회가 디지털화됨에 따라 자유와 권리를 행사함에 있어 어떠한 방식(디지털화된 방식과 그렇지 않은 방식)을 선택할지의 문제가 발생하였다는 점에서 특별한 필요성이 인정된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어떠한 방식을 선택할지에 관한 선택가능성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인터넷 접근권의 고유한 권리내용이 인정된다고 보았다. 헌법에 열거되지 않은 기본권으로서 인터넷 접근권의 헌법적 근거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교육을 받을 권리에서 찾을 수 있다.
인터넷 접근권의 내용은 인터넷 접근환경에 관한 권리, 인터넷 접근수단에 관한 권리, 인터넷 접근역량에 관한 권리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인터넷 접근환경에 관한 권리는 인터넷 접근을 위한 기본적인 환경의 마련을 요구하는 권리이다. 기본 인프라와 같은 일반적 접근환경에 관한 권리와 가정 내 통신장치와 같은 개별적 접근환경에 관한 권리로 구성된다. 인터넷 접근수단에 관한 권리는 인터넷에 접근을 위해 필요한 수단에 관한 권리이다. 인터넷 접근에 필요한 수단이 장애인, 고령자와 같은 디지털 소외계층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어야 함을 주장하는 접근성에 관한 권리와 실질적인 수단의 확보를 요구하는 접근수단의 확보에 관한 권리로 구성된다. 인터넷 접근역량에 관한 권리는 인터넷 접근을 위해 필요한 역량에 관한 권리이다. 기술적인 역량에 관한 권리인 기본적인 접근역량에 관한 권리와 인터넷 접근에 필요한 기본 소양, 지식에 관한 권리인 개인적인 접근역량에 관한 권리로 구성된다.
인터넷 접근권의 내용 및 위헌심사기준(최소보장원칙)을 토대로, 인터넷 접근권을 구체화하는 현행 법질서를 살펴보았고, 법률 차원에서 입법론적 보완이 상당히 필요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에 따라 내용적, 형식적 측면에서의 구체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인터넷 접근권을 구체화하는 기본법을 제정하고 개별 디지털 소외계층과 관련한 법령 내에 인터넷 접근권에 관한 규정을 두는 방안을 함께 제시해보았다.
This thesis was motivated by a wish to illuminate the digital divide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studies. In this thesis, the digital divide problem that has emerg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has been reviewed, focusing on the protection of those who are marginalized from the information society due to the digital divide. The various problems raised here and their conclusions have all been written from such a perspective.
The digital divid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clearly shows the adverse effect of digitization.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changes due to digitiz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can be summarized as the occurrence of 'selectivity' that allows you to choose between a digitized method and a non-digitized method in performing specific actions. The digital divide means the absence of such selectivity. Furthermore, since such selectivity is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digital technology is accessible, the digital divide is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selectivity in behavio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digital technology is accessible. At this time, people deprived of such selectivity are now called the digitally underprivileged. The disadvantages of the digitally underprivileged class are increasing as digitization accelerates.
The digital divide can be bridged when the selectivity between digitized and non-digitized behavior is ensured. To guarantee selectivity, substantive conditions must be prepared so that those who do not have such selectivity, namely, the digitally underprivileged, can engage in digitized behaviors. The provision of substantal conditions under which each citizen can exercise their freedom and rights means realizing of social justice, the task of the social state. Taken together, the mission of bridging the digital divide is to fulfill the task of the social state in the information society.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guaranteeing the right to access the internet as a social right is needed. The right to access the internet is a non-enumerated constitutional right. For rights not enumerated in the Constitution to be qualified as autonomous constitutional rights, specific needs and inherent scope of a right must be recognized. First, as society becomes digitized, the question of which method to choose(digitized and non-digitized) has arisen in exercising freedom and rights, at that point, the specific need of the right to access the internet is recognized. Next, guaranteeing the possibility of choosing which method to choose, the inherent scope of the right to access the internet was recognized.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the right to access the internet as a non-enumerated constitutional right can be found in the right to humane livelihood and the right to education.
The content of the right to access the internet consists of three categories: the right to the environment for accessing the internet, the right to the means of access to the internet, and the right to the literacy for accessing the internet. The right to the environment for accessing the internet is a right that requires the provision of an basic environment for internet access. It consists of the right for the general access environment, such as basic infrastructure, and the right for the individual access environment, such as communication devices in the home. The right to the means of access to the internet is the right to the means necessary to access the internet. It consists of the right to access, which insists that it should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such a way that even the digitally marginalized, such as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can easily access, and the right to secure the means of access, which demands the securing of practical means. The right to the literacy for accessing the internet is the right to the literacy required for internet access. It consists of the right to basic access literacy, which is the right to technical literacy, and the right to personal access literacy, which is the right to basic knowledge and knowledge required for internet access.
Based on the content of internet access rights and the constitutional review standards (The prohibition of minimum protection principle), the current legal order that materializes internet access rights was examined, and it came to the conclusion that several legislative reforms at the level of statutory law might be suggested. Accordingly, concrete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while the basic law to specify the right to access to the internet was enacted, and a plan to place regulations on the right of access to the internet within the laws related to the individual digitally underprivileged was suggest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00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5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