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저작권법 제126조 규정의 해석론적·입법론적 개선방안 : The Interpretational and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of Article 126 of the Copyright Ac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상조-
dc.contributor.author손수정-
dc.date.accessioned2022-12-29T08:07:57Z-
dc.date.available2022-12-29T08:07:57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00000017258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8020-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584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지식재산전공), 2022. 8. 정상조.-
dc.description.abstractAccording to an analysis of a total of 270 judgments acknowledging the damages due to copyright infringement over the past four years from November 2017 to November 2021, the court applied Article 126 of the Copyright Act, accounting for about 85%, The lowest acknowledgment rate of about 80%. In particular, when the Plaintiff insisted on Article 125 (2) of the Copyright Act, the acknowledgment rate when the court accepted it and applied Article 125 (2) of the Copyright Act was the highest at 83%, while the acknowledgment rate when the court rejected it and applied Article 126 of the Copyright Act was the lowest. This may mean that if the Plaintiff asserts Article 125 (2) of the Copyright Act, the acknowledgment rate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court applies Article 125 (2) of the Copyright Act or Article 126.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court recently applied Article 126 of the Copyright Act to 85% of the judgments acknowledging infringement of copyright means that too many trials are calculated at the discretion of Article 126 of the Copyright Act. The fact that the court's acknowledgment rat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when Article 125 (1) or 125 (2) of the Copyright Act was applied means that the legislative purpose of Article 126 of the Copyright Act (to prevent a void in copyright protection by stipulating that damages for copyright infringement can be calculated at the discretion of judges if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amount of damage even under Article 125 of the Copyright Act) isntbeing realized properly, and in the end, it can mean that copyright protection through trial is not sufficient. And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he judgment, it can mean that economic valuation of copyright in the copyright market can also be lowered.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judgement of if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amount of damage under Article 125 and then suggested analytical·legislative improvement methods when the court applying Article 126 of the Copyright Act. In order to ensure the predictability of whether it will be calculated under Article 125 (2) of the Copyright Act or under Article 126 of the Copyright A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nterpretation standards to ensure predictability of when Article 125(2) will be applied and Article 126 will be applied, and not only the decreasing factors but also the increasing factors needs to be considered more active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objectivity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damage under Article 126 of the Copyright Act, it is necessary to reflect in detail the factors based on the value evaluation method of copyright and the value evaluation result of the value evaluation model of the Korean Content Assessment Center. Legislative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roducing the provisions of Article 114-4 of the Japanese Copyright Act for accurate and objective calculation of damages and the provisions of supporting professional members of the Japanese Copyright Act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Article 129-2 of the Copyright Act.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various contents such as metaverse contents, VR, XR, AR contents, and NFT contents have become major drivers of economic activities and industries and Correspondingly, copyright protec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So th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damages caused by infringement of copyrigh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ew industry. Accordingly, in calculating the amount of damages by applying Article 126 of the Copyright Act, it is necessary for the court to supplement the clarity of the criteria for guaranteeing the predictability of the parties, and to actively reflect the objective and accurate valuation of copyright and economic valuation of copyright in the market.
-
dc.description.abstract2017년 11월부터 2021년11월까지의 최근 4년간 저작재산권 침해를 이유로 한 손해배상 인용판결 총 270개를 분석한 결과 법원이 저작권법 제126조를 적용한 판결의 수가 230개로 약 85%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에 그 평균인용률은 약 23%로 낮았고, 저작권법 제125조 제2항을 적용한 판결의 수는 29개로 약 11%의 비중만을 차지하였으나 그 평균 인용률은 약 80%로 가장 높았다. 특히 원고가 저작권법 제125조 제2항을 주장하였을 경우 법원이 이를 받아들여 저작권법 제125조 제2항을 적용하였을 때의 인용률이 83%로 가장 높았던 반면에 법원이 이를 배척하여 저작권법 제126조를 적용한 경우의 인용률은 17%로 가장 낮았다. 이는 원고가 저작권법 제125조 제2항을 주장하였을 경우 법원이 저작권법 제125조 제2항을 적용하는지 제126조를 적용하는지에 따라 인용률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저작권과 같은 무형적 재산의 경우 침해가 발생할 때 그 손해를 증명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저작권법 제126조에 의한 상당한 손해배상액 인정이 불가피한 면은 있으나 저작권법 제126조를 적용하여 인용한 판결이 약 85%나 되는데 그 평균인용율이 위와 같이 너무 낮으면 재판을 통한 저작권보호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볼 수 있으며, 저작권자로부터 저작물 이용허락을 받아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고 저작물을 이용하기보다는 손해배상금이 더 낮으니 이후 발각되면 배상을 하면 그만이라는 유혹에 흔들릴 수 있어, 이러한 판결의 영향으로 시장에서의 저작권에 대한 경제적 가치 평가 또한 낮아지는 악순환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법원이 저작권법 제126조를 적용한 판결들을 분석하여 저작권법 제126조를 적용한 판결비중이 85%나 되는 이유와 그 평균 인용율이 저작권법 제125조 제1항이나 동조 제2항을 적용한 판결들의 평균 인용율보다 낮은 이유등을 비교분석한 후, 법원이 저작권법 제126조를 적용하여 손해배상액을 산정할 때의 해석론적 입법론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법원이 저작권법 제125조 제2항을 적용할지 저작권법 제126조을 적용할지에 따라 당사자의 공격·방어방법이 달라지고 평균인용율에도 큰 차이가 나므로, 재판당사자가 소제기시 자신의 사건이 저작권법 제125조 제2항이 적용될지 저작권법 제126조가 될 지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저작권자가 침해행위와 유사한 형태의 저작물 이용과 관련하여 저작물이용계약을 맺고 이용료를 받은 사례 또는 피고가 원고 주장의 저작물 이용계약을 맺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저작권법 제126조의저작권법 제125조의 규정에 따른 손해액 산정이 어려운 경우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저작권법 제126조에 의하여 손해배상액을 산정할 경우 그 참작요소가 되는 사항들에 대한 예측가능성 또한 제고할 필요가 있다. 또 그동안 유형물이 아닌 무형의 지적재산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의 특수한 사정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데 소극적이었던 법원의 태도를 지양하고 상당성이 인정될 경우에는 손해액을 증액시키는 요소들도 법원이 좀더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관계법령상 저작권의 가치평가는 수익접근법에 의하므로 저작권법 제126조를 적용할 때 이러한 가치평가방법의 참작 요소들을 고려하고, 한국 콘텐츠가치평가센터의 가치평가결과와 가치평가지표에서 참작하고 있는 요소들을 참작할 것등을 해석론적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또 입법론적으로는 정확하고 객관적인 손해액 계산을 위해 일본 저작권법 제114의4의 감정인 설명의무규정과 저작권법 제129조의2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일본의 전문위원지원규정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최근 고도의 기술발달로 인하여 메타버스 콘텐츠, VR·XR·AR콘텐츠, NFT콘텐츠등 다양한 콘텐츠들이 경제활동과 산업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고,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저작권보호도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저작재산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액산정은 신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상응하여 법원도 저작권법 제126조를 적용하여 손해배상액 산정을 함에 있어서 당사자의 예측가능성 보장을 위한 기준의 명확성을 보완하고 저작권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가치평가산정과 시장에서의 저작권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할 필요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0
제1절 문제의 제기 10
제2절 연구의 목적 11
제3절 연구의 범위 11
제2장 저작권침해로 인한 손해의 개념 12
제1절 일반적인 민사상 손해의 개념 12
1. 차액설과 구체적 손해설에 따른 손해개념 12
2. 규범적 손해개념 14
3. 판례의 입장 15
제2절 저작권침해로 인한 손해의 개념 16
1. 저작물의 개념 16
2. 저작권침해의 특징 17
3. 저작권침해로 인한 손해의 특성 18
4. 저작권침해로 인한 손해의 분류 23
5. 저작권법 제125조상 손해와 규범적 손해 25
제3절 저작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의 기능 25
1. 일반적 손해배상법리의 수정의 필요성 25
2. 저작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의 기능 28
제3장 우리나라 저작권법상 손해배상규정 28
제1절 저작권법 제125조 제1항 28
1. 입법취지 28
2. 침해자 이익의 의미 30
3. 법적 성격과 추정의 복멸 33
4. 추정의 복멸사유 34
5. 손해의 발생자체도 추정되는지 여부 35
6. 저작권자의 침해자의 이익에 대한 입증책임 37
7. 판례의 구체적인 손해배상액 판시 37
제2절 저작권법 제125조 제2항 40
1. 법적 성격 40
2. 통상 받을 수 있는 금액의 의미와 산정기준 43
3. 통상 받을 수 있는 금액에 대한 입증책임 43
4. 통상 이용료 초과액 43
5. 판례의 구체적인 손해배상액 판시 46
6. 저작권법 제125조 제1항과 제2항의 관계 46
제3절 저작권법 제126조 47
1. 입법취지 및 입법경위 47
2. 입법의 경위 49
3. 법적성격 50
4. 저작권법 제126조의 보충적 성격 52
제4절 저작권법 제125조의2 법정손해배상청구권 53
1. 입법연혁 및 입법취지 53
2. 미국과 중국의 법정손해배상과의 비교 54
3. 저작권법 제125조의2 제4항과 저작권법 제126조의 차이점 55
4. 저작권법 제126조와 저작권법 제125조, 제125조의2의 관계 56
제5절 개정안 저작권법 제125조 제4항 징벌적 손해배상청구권 56
제6절 현행 저작권법에 의한 손해배상산정의 개선필요성 56
제4장 해외동향 59
제1절 대륙법계의 저작권법과 영미법계의 저작권법 59
제2절 일본 61
1. 일본 저작권법상 손해배상관련 주요내용 61
2. 저작권 침해소송의 증거수집절차강화 63
3. 일본의 저작권침해를 이유로 하는 손해배상판결현황 65
제3절 미국 66
제4절 중국 67
1. 중국 저작권법의 손해배상제도 개정 내력 67
2. 2020. 11. 11. 개정 저작권법 손해배상규정의 내용 69
3.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제54조 제3문) 73
제5절 독일 75
제5장 저작권법 제126조에 의한 손해배상액 산정 76
제1절 저작권법 제126조를 적용한 판결과 인용율 76
1. 분석대상 판결 76
2. 법원의 각 법조항 적용비율분석 77
3. 각 법조항 인용율 분석 83
4. 종합분석 87
제2절 제125조의 규정에 따른 손해액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 89
1. 원고가 저작권법 제125조 제1항을 주장한 경우 89
2. 원고가 저작권법 제125조 제2항을 주장한 경우 90
3. 유사한 컴퓨터 프로그램판결들의 경우 91
4. 검토 94
제3절 제126조에 의한 손해액 산정시 고려사항 95
1. 분석사항 95
2. 원고가 저작권법 제125조 제1항을 주장한 경우 96
3. 원고가 저작권법 제125조 제2항을 주장한 경우 98
4. 손해액산정경로에 대한 구체적 설시가 없었던 경우 101
5. 유사한 컴퓨터 프로그램 판결의 경우 101
6. 소결 104
제4절 저작권법 제126조의 개선방안 104
1. 제125조의 규정에 따른 손해액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의 기준 보완 104
2. 참작사항들의 예측가능성 제고 105
3. 증액요소들의 적극적 고려 105
4. 무형자산평가기준에 의한 저작권 가치평가산정의 참작 107
5.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가치평가모델의 지표와 결과참작 112
6. 손해액산정근거조항의 명확한 설시 116
7. 저작권법 제126조 참작사항의 구체적 설시 117
8. 계산 감정인규정과 감정인 설명의무규정의 도입 118
9. 저작권법 제129조의2의 활용과 전문위원지원규정의 도입 120
제6장 유사규정 122
제1절 민사소송법 제202조의2 123
1. 자유심증주의의 원칙과 심증형성의 정도 123
2. 2016년 민사소송법 제202조의2 신설 125
3. 적용판례 127
제2절 특허법 제128조 제7항 128
1. 특허법 제128조 제7항의 내용 및 입법연혁 128
2. 판례현황 131
3. 기술가치평가등 정량적 방법에 의한 손해배상액의 산정 139
제3절 상표법 제110조 제6항 141
1. 입법취지 141
2. 적용요건과 판결례 143
3. 상법 제110조 제6항에 의한 산정시 고려사항 145
4. 판례현황 146
제4절 부정경쟁방지법 제14조의2 제5항 148
1. 입법취지 148
2. 적용요건 149
3. 적용효과 149
4. 판결례 150
제7장 결론 151
참고문헌 152
Abstract 155
분석대상판결색인 158
-
dc.format.extent16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저작권법제126조-
dc.subject저작권법제125조제1항-
dc.subject저작권법제125조제2항-
dc.subject상당한손해액규정-
dc.subject저작권침해손해-
dc.subject저작재산권침해를이유로한손해배상판결-
dc.subject.ddc346.048-
dc.title저작권법 제126조 규정의 해석론적·입법론적 개선방안-
dc.title.alternativeThe Interpretational and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of Article 126 of the Copyright Act-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ON, SU JEONG-
dc.contributor.department법과대학 법학과(지식재산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2-08-
dc.contributor.major지적재산권-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2584-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8▲000000000055▲00000017258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