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effect of unemployment benefits on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in South Afric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코로나19 상황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실업급여가 주관적 건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승우

Advisor
김선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unemploymentunemploymentbenefitssocialprotectionCOVID-19pandemicSouthAfrica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2. 8. 김선영.
Abstract
연구 배경: 일자리는 건강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반면 실업은 일자리를 잃은 사람과 그 가족들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특히 경제 위기 시 유럽에서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이 불평등하게 나타났다. 이는 실업자와 같은 취약계층의 건강에 영향을 주며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마찬가지로 코로나19 팬데믹과 감염 차단을 위한 정책에 따른 예상치 못한 사회경제적 영향은 비자발적인 실직과 소득 상실로 실업자들의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일찍이 국민들을 위해 사회보호 정책을 펼친 고소득 국가들은 코로나19로부터 노동 시장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지속가능 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1.3번 목표 달성 현황은 세계 인구의 절반이 사회보호 정책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그 중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우 기존에 존재하던 사회적 불평등에 더해 코로나19로 인한 사상 최고치의 실업률로 고통을 받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응하고자 기존 기여 방식의 실업급여인 Unemployment Insurance Fund (UIF)에 더해 비공식 경제의 실업자들을 포함하기 위한 무기여 방식의 COVID-19 Social Relief Distress (COVID-19 SRD)를 도입했다. 그러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실업, 실업급여, 그리고 건강 간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실업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위치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노동 인구의 주관적 건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부가 실업자를 위해 적극적으로 실행한 사회보호 정책이 갖는 건강 효과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성인(18-64세)을 대상으로 2020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총 5차례 수집된 국가 수준의 패널 자료인 National Income Dynamics Survey-Coronavirus Rapid Mobile Survey (NIDS-CRAM) 중 5차시 자료를 사용한 횡단면 분석을 수행했다. 본 연구는 실업급여의 건강 지연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건강 측정의 전년도인 2020년 실업급여 수급 여부 변수를 구성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이 노동 인구의 주관적 건강과 우울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일반화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전년도인 2020년 실업급여 수급이 실업자들의 2021년 주관적 건강과 우울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동일한 분석 방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 결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노동 인구는 실업 상태에 있을 경우 주관적 건강 및 우울 경험이 부정적일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관적 건강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OR=1.335, p=0.065). 실업급여 수급은 주관적 건강이 좋지 않다고 보고할 확률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여주었지만 우울 경험은 유의하지 않았다. 전년도 UIF 수급자의 경우 주관적 건강과 우울 경험이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추가적인 분석 결과 UIF 수급의 건강 효과는 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건강 측정 12개월 이전에 UIF를 수급했을 경우 비수급자에 비해 주관적 건강이 좋지 않다고 보고할 확률이 73.7% 줄었지만(OR=0.263, p=0.050), 그보다 최근에 UIF를 수급한 경우 오히려 주관적 건강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UIF 수급에 따른 우울 경험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전년도 COVID-19 SRD 수급은 비수급자에 비해 주관적 건강이 좋지 않다고 보고할 확률을 43.9% 줄여주었다(OR=0.561, p=0.037). COVID-19 SRD 수급에 따라 실업자의 우울 경험도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노동 인구가 겪을 수 있는 실업의 부정적인 건강 영향을 밝히는 동시에 이를 줄여줄 수 있는 실업급여의 긍정적인 건강 효과를 제시했다. COVID-19 SRD를 통한 실업 급여 제공은 주관적 건강이 좋지 않을 가능성을 줄여주었다. UIF의 건강 효과는 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지만, 경제 위기 상황에서 실업 급여 정책이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단기적인 실업급여의 건강 효과를 제시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중저소득 국가에서도 실업자의 건강을 위해 경제적 안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보호 정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변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에서 실업급여 정책 도입을 고려할 때 근거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한 사회보호 정책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중저소득 국가에서의 사회보호 정책 확대는 SDG 1.3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Employment is vital for maintaining health and health equity, whereas unemployment risks the health of the unemployed and their families. Indeed, the previous economic crisis in European countries deepened health inequalities by damaging the health of vulnerable people through its disproportionate impact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Likewise, unintended social and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pandemic and lockdown policies could lead to disproportionate results in the health of unemployed people. While many countries saw a glimmer of hope for labor market recovery through expanding social protection policie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1.3 target showed that over half of the world population is unprotected, especially in countries in Sub-Saharan Africa. The situation in South Africa is also staggering because of existing social inequalities and a record-high unemployment rate during the pandemic. The country actively responded to the socioeconomic consequences of the pandemic by providing unemployment benefits through the existing social protection platform (Unemployment Insurance Fund; UIF) and the launch of a new program (COVID-19 Social Relief Distress; COVID- 19 SRD) for unemployed people in both formal and informal economy. The evidence in South Africa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unemployment benefits, and health has been scarce, like in many other countries in Sub-Saharan Africa. Thus, there is an urgent need to generate empirical evidence on whether unemployment benefit schemes affect the health status of the unemployed in South Africa in order to elici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ountry and also for other Sub-Saharan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unemployment and unemployment benefits (UIF and COVID-19 SRD) on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among South Africans who were unemployed and of working age (18-64 yea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ology: This study used nationally representative panel data from National Income Dynamics Study-Coronavirus Rapid Mobile Survey (NIDS-CRAM) in South Africa. NIDS-CRAM has five waves collected every few months from May 2020 to May 2021. While using wave 5 for a cross-sectional approach, this study applied the lagged effect of the unemployment benefits surveyed in preceding waves in 2020. The study fitted a binary logistic model and a generalized ordered logistic model for the analysis. First, the study estimated the effects of unemployment on self-rated health and the experience of depressive moods measured in Patient Health Questionnaire-2 (PHQ- 2). Second, the effects of receiving unemployment benefits in 2020 on the same health outcomes in 2021 were explored.

Results: Unemploym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health outcomes, yet only the association with self-rated heal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R=1.335, p=0.065).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unemployment benefits (UIF and COVID-19 SRD) and self-rated heal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receiving UIF in 2020 increased the odds of reporting poor self-rated health in 2021. However, the result of the additional analysis showed that UIF effect varied over time. Receiving UIF benefits 12 months before measuring health outcomes in wave 5 reduced the odds of reporting poor self-rated health by 73.7% (OR=0.263, p=0.05), whereas it has negative health effects if unemployed people received UIF benefits more recently than that. The experience of depressive moods showed a consistent but insignificant result. Receiving COVID-19 SRD in the preceding year (2020) helped reduce the odds of reporting poor self-rated health by 43.9% (OR=0.561, p=0.037), yet its effect on the experience of depressive moods was in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being unemployed posed a threat to the health of unemployed people in South Africa during the COVID- 19 pandemic. On the other hand, providing unemployment benefits through COVID-19 SRD reduced the probability of reporting the poor health of the unemployed. Although UIF effect varied over time, it opened a window for expanding the program for unemployed people during the crisis.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e short-term effect of unemployment benefits on health during the pandemic. Nonetheless,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nsuring financial security through social protection designed for unemployed people in both formal and informal sectors in the longer term. The evidence this study generated will support expanding social protection for the health of unemployed people in neighboring countries in Sub-Saharan Africa. Ultimately, it will contribute to accelerating the progress of achieving SDG 1.3 in the global South.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02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63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