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chizoanalysis of Creativity within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 한국 교육 맥락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분열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소경희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SouthKoreaneducation ; creativity ; schizoanalysis ; desire ; assemblage
- 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2. 8. 소경희.
- Abstract
- In the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 creativity has been recognized as a key strategy that enables the people of South Korea to survive in times of change and to gain an edge in the global society. Curriculum designers, textbook developers, and teachers have transformed educational practices to foster creativity in students minds, and students have responded accordingly. However, a series of movements in this connection have not actualized the virtual in a new way; rather represented certain images of creativi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desires into an already existing system. Given this situation, mapping the complex assemblage of South Korean education can serve a pedagogical purpose of improving the ethics of life by seeking the possibility for counter-actualization that is always-already part of the territory and breaking away from the dogmatic ideas of creativity. Thus, this study attempts to detect creativity assemblage by adopting schizoanalysis used by Deleuze and Guattari (1983, 1987). Schizoanalysis demonstrates how an assemblage develops among heterogeneous forces and how certain assemblages suppress the flow of desires, while promoting lines of flight that escape such oppression. It is necessary for schizoanalysis to be cross-sectional, so this study collected various data such as education policy documents, academic journals, textbooks, class materials, documentaries, and popular cultures. The study procedures begin with investigating how heterogeneous forces within South Korean education form and transmit creativity as an order-word. Thereafter, is the exploration of how creativity assemblage intervenes in the desires and bodies of students. The study then turns its attention to examining the desires that are drawn into and paranoically invested into the creativity assemblage for the dominant values, while simultaneously exploring the molecular movements breaking through from it. The results show that the creativity assemblage in South Korean education has patternized differences and amorphous energies into molar categories or stratified lines such as career paths. It has tethered students connections to the world with the code utility and an image of a human. Youths nevertheless escaped to a holey space where the regulation of the nation could not reach (Deleuze & Guattari, 1987) and created their own new perceptual strategies and practic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way in which discursive and material repetitions related to creativity inform upon subjective formations and the political aspects thereof. It also lays the foundation for unlocking the variables bound within the existing concepts of creativity and inspiring unconventional ways of thinking by encountering molecular flows that are not captured in an institutional setting.
한국 교육에서 창의성은 한국인이 변화하는 시대에 살아남아 세계 무대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전략으로 인식되어 왔다. 교육과정 개발자, 교과서 저자,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창의성을 길러주기 위해 교육 실천을 변화시켜왔고 학생들은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위하여 노력해왔다. 그러나 현대 한국 교육에서 창의성을 둘러싸고 나타나는 일련의 움직임들은 가상적인 잠재성을 새롭게 현실화하기보다는, 욕망을 이미 존재하는 체제 속으로 통합함으로써 특정한 창의성의 이미지를 재현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 한국 교육의 복잡한 창의성 배치를 매핑(mapping)하는 것은, 창의성에 대한 독단적인 관념에서 벗어나게 할 뿐만 아니라 영토 내에 항상-이미 가득 차 있는 역-현실화(counter-actualization)의 가능성을 모색하도록 함으로써, 생의 윤리를 개선하고자 하는 교육학적 목적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Deleuze와 Guattari(1983, 1987)가 사용한 분열분석(schizoanalysis)을 채택하여 창의성 배치를 탐지하고자 하였다. 분열분석은 이질적인 힘들의 관계 속에서 배치가 출현하는 과정과 특정 배치가 욕망의 흐름을 억압하는 양상을 상술하는 동시에, 그러한 억압을 빠져나가는 탈주선을 촉진한다. 분열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층위의 데이터들을 횡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정부의 교육정책 문서에서부터 학술지, 교과서, 수업 자료들, 다큐멘터리, 대중문화 산출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료들을 수합하였다. 연구 절차는 한국 교육 내 다양한 힘들이 어떻게 배치를 이루면서 창의성을 명령어로 형성하고 전달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하였다. 다음으로는 창의성 배치가 학생들의 욕망과 신체에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비판적으로 탐색하였다. 이후에는 한국 창의성 교육의 지층화된 영토 내에 고착되는 편집증적인 욕망과, 끊임없이 탈주를 시도하는 분자적인 욕망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 교육의 창의성 배치는 차이와 창의적인 힘을 몰적(molar)인 범주나 진로라는 지층화된 선으로 패턴화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세계와의 접속을 유용성이라는 코드와 인간의 이미지에 구속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은 제도권 기관의 시야와 규율이 닿지 못하는 구멍 뚫린 공간(Deleuze & Guattari, 1987)으로 도피하여 그들만의 새로운 지각 방식, 사유 방식 등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창의성과 관련된 담론적, 물질적 반복이 주체성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과 그것의 정치성을 드러내었다는 것이다. 더불어 제도적 환경에 포획되지 않는 분자적인 흐름과 조우함으로써 기존의 창의성 개념에 묶여 있던 요소들을 자유롭게 하고 창의성에 대해 통념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사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 Language
- eng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