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복잡성 및 정확성 연구 : A study on syntactic complexity and accuracy of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팜홍프엉

Advisor
구본관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베트남인한국어학습자학습자말뭉치언어발달통사적복잡성정확성문법항목사용양상빈도분석오류유형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2. 8. 구본관.
Abstract
Many studies recognize the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CAF) of a learner's language as important factors that measure second language performance and explain the development of proficiency. However, existing studies on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have not measured syntactic proficiency systematically. The study aims to measure the syntactic complexity and accuracy of the Korean learners written assignments, thereby revealing the syntactic development pattern of student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cross four Vietnamese universities. These patterns can be used to suggest educational directions for improving learners ability to formulate sentences.
In an attempt to measure syntactic complexity and accuracy, we made the following steps. Firstly, written assignments were collected from second to fourth-year students at University of Languages & International Studies, Hanoi Univers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of HCMC National University, and Ho Chi Minh University of Technology. Secondly, we examined how complexity and accuracy have been measured in existing ESL studies and Korean education studies to decide the proper complexity and accuracy measurement index. In ESL studies, major methods of exploring language development of language learners were Suppliance of Obligatory Context analysis, Target-Like Us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In this study, the syntactic complexity index was determined by three aspects, which were: the length of the sentence (the number of morphemes per sentence), sentence expansion (the number of clauses per sentence, the number of embedded clauses per sentence, the number of coordinate clauses per sentence) and the frequency of related grammatical items in charge of the sentence expansion. And syntactic accuracy was measured from two aspects: general measures and specific measures. The number of Errors per 100-word segments was selected as the general measure and the percent accuracy of related grammatical items and the embedded sentence errors were used for the specific measure. According to our results of the complexity index analysi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eginner-intermediate level and advanced level. In particular, the number of embedded clauses per sentenc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level 2 to level 4, but this trend was almost stagnant after level 5. The result from measuring the usage rate by clause type indicates that the rate of noun clauses is extremely lower than that of other complex clause types, although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ranked by proficiency level. At the same tim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ability to use noun clauses is limited among embedded sentences. Meanwhile,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oordinate clauses between levels, thus the main factors attributing to the more complex sentence are the increment of relative clause and adverbial clause. To measure qualitative complexity, the development of syntactic complexity and the frequency of grammatical items were analyzed based on proficiency, and groups with similar developmental patterns were classified. Among them, Vietnamese learners hardly or avoid in using connective ending that are -ge, -eo/aya, -a/eo/yeo, -(eu)myeo, -ndamyeon, -la, -goja, -(eu)meulo, -(eu)na, -(eu)lyeogo, -deolado, -(eu)na, -deus and so on. Even though these grammar items are regularly used in native writing, they are hardly used across objects of study. Therefore, special teaching methods are required for these grammatical items.
In terms of accuracy measurement, the number of errors per 100 word segment was highest at level 2, and up to level 4 accuracy still did not improve, up to level 5 accuracy improved somewhat and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until level 6. Sentences complexity (sentence length and sentence expansion) was improved along with proficiency, but accuracy didnt follow this trend. The percent accuracy of related grammatical items is measured by the Target-Like Use analysis. Grammatical items that share a common development pattern are grouped into 5 groups. Group 1 is the grammatical items with very low frequency from level 2 to level 6, Group 2 is the grammatical items which has an increase in both percent accuracy and frequency, Group 3 is the group that decreases in the frequency of use but increases in accuracy, Group 4 is the group that increases in frequency at level 4 or level 5 but decreases at level 6 (inverted U shape), and the last group is Group 5 that shows U-shaped pattern of development, percent accuracy suddenly but temporarily drops off only to return once again to their usual level. Grammatical items in Group 1 and Group 4 are items that need improvement in terms of education. After analyzing the error patterns of adverb clauses, relative clauses, and noun clauses, we can broadly classify the indicators of accuracy into four types as follows: (1) misuse of endings, (2) overuse of endings, (3) confusion between endings in the same category and (4) mixing errors with endings in other categories. In this study error (3)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 error. The main reason is that in the process of combining preceding clauses and following clauses, Vietnamese learners easily make errors by mixing endings with similar meanings or inappropriately combining them, or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clauses, errors such as subject-predicate inconsistency and absence of essential arguments are made by violating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internal structure.
To sum up,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quantitatively analyzed the development of syntactic complexity and accuracy of Vietnamese learners, which had not been attempted yet, and measured the usage and error rates of grammar items that caused the development of such complexity and synthesized them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It has shown the development of syntactic complexity and accuracy by proficiency level for Vietnamese learners from level 2 to level 6 and discusses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learners through the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Vietnamese sentences. However,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data from the same learners were not collected for a long time, thus lacking individual development analysis in writing skil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future sentence education research targeting Vietnamese learners.
본 연구는 베트남 대학교 한국어 학과 정규과정 학습자의 쓰기 자료를 토대로 통사적 복잡성과 정확성 발달을 측정하여 이들의 통사적 발달 양상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베트남 북부에 있는 하노이국립외국대학교, 하노이대학교 및 남부에 있는 호치민인문사회대, 호치민기술대학교 네 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부터 4학년 대학생의 쓰기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사적 복잡성, 정확성 측정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 기존 제2언어 영어교육 연구 및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통사적 복잡성 및 정확성을 어떤 방법으로 측정해 왔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통사적 복잡성과 정확성을 면밀히 분석하기 위해서 일반적 측정(general measures)과 특정적 측정(specific measures) 두 가지 방법을 혼합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통사적 복잡성을 일반적 측정 방법으로 문장 길이(문장당 형태소 수), 문장 확장(문장당 절 수, 문장당 유형별 내포절 수, 문장당 대등절 수) 두 가지 측면으로 설정하였다. 통사적 복잡성의 특정적 측정은 문장 확장에 관여하는 문법항목별 빈도수를 살펴보았다. 정확성은 역시 일반적 측정, 특정적 측정 방법을 모두 사용하였는데, 일반적 측정 방법으로 100어절당 오류 수를 설정하였고 특정적 측정 방법으로 통사적 오류 중 문장 확장 기능을 담당하는 문법항목에 한정하여 그 해당 문법항목의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이에 더해 문장 확대 체계에 따라 내포문을 한정해서 내포문별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내포문을 한정해서 분석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대등절보다 내포절을 통한 문장 확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통사적 복잡성 지표 중 문장 길이 측정 결과, 초-중급인 2급~3급 및 중-고급인 4급~6급 두 집단의 평균 개수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으며 전체적으로 봤을 때 숙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문장당 형태소 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문장당 절 수에 있어서 2급-3급에 비해 5급-6급으로 가면서 문장당 절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4급 이후에는 문장당 절 수가 미세하게 증가하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문장당 절 수를 측정한 결과는 초급과 고급 수준을 변별할 수 있는 지표이지만 인접 단계 차이는 변별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장 확장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문장당 유형별 절 수를 측정한 결과, 모든 급에서 동일하게 관형사절, 부사절을 많이 사용하였고 대등절, 명사절과 인용절의 사용률은 적었다. 통계적으로 급수별 관형사절과 부사절 사용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문장당 대등절, 명사절과 인용절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수별 문당당 대등절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은 숙달도가 향상될수록 대등절보다 내포절을 더 많이 사용하여 문장을 확장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고급 수준으로 갈수록 문장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에 기인하는 주요 요소는 관형사절과 부사절이다. 숙달도별 문장당 명사절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은 2급부터 6급까지 명사절의 사용이 거의 동일한 양적 수준으로 유지됨을 뜻한다. 그 이유는 학습자들이 내포문 중에서도 명사절 사용 능력이 매우 부족하여 명사절 사용을 피하기 때문이라 짐작할 수 있다.
복잡성 측정 결과를 다른 논문과 비교를 해서 베트남 학습자가 어느 단계의 위치에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베트남인 6급 학습자는 토픽 중급 수준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픽 등급은 과락 점수가 없으며 듣기, 읽기, 쓰기 세 영역의 합산 점수가 등급별 합격선에 해당하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즉, 외국인 학습자들은 토픽 6급을 취득하였음에도 쓰기 능력이 고급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베트남인 6급 학습자는 토픽 6급을 취득하였음에 불구하고 문장 길이 측면에 보면 아직까지 토픽 고급 모범 텍스트의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복잡성의 특정적 측정은 숙달도에 따라 통사적 발달과 관련된 문법항목 출현 빈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 63% 이상을 차지하는 연결어미의 목록을 보면, 토픽 모법 답안을 쓴 한국어 모어화자는 -고, -게, -어/아야, -(으)면, -아/어/여, -아/어서의 6개를 사용하였으나 베트남 학습자는 -고, -아/어서, -(으)면, -(으)며 4개만을 사용하였고 심지어 -고, -아/어서, -(으)면 3개 항목의 누적비율이 60%였다. 연결어미 중 사용을 회피하고 있거나 습득되지 못한 것으로 추측된 문법항목들은 -게, -어/아야, -아/어/여, -(으)며, -ㄴ다면, -라, -고자, -(으)므로, -(으)나, -(으)려고, -더라도, -(으)나, -듯 이 있다. 이 문법항목들은 문어 텍스트에서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문법인데도 6급 학습자가 여전히 기피하고 있으며, 이러한 양상은 개선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대상은 정규과정 학습자, 즉 학문 목적 학습자인데 대학을 졸업하기 위해 한국어로 논문을 쓸 수도 있고, 졸업한 후 한국으로 대학원에 진학할 수도 있으며 또는 한국 기업에 취업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높은 한국어 구사 수준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이 문법항목들을 특별하게 교육적 처방이 필요하다.
정확성 측정 결과, 100어절당 오류 수는 2급에서 높은 오류율이 보였으며 4급까지도 정확성이 개선되지 않았다가 5급에 올라가야 비로소 정확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그러한 정확성은 6급에서 유의미하게 높아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급의 평균 오류 어절 수는 5급보다 약간 높은 점수가 나왔으며 5급부터 6급까지 정확성이 더 이상 향상되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복잡성(문장길이 및 문장확장)은 숙달도에 따라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정확성은 숙달도에 따라 향상되지 않았다. 즉 정확성과 복잡성은 반비례의 상관성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통사 발달 관련 문법항목의 정확도는 필수 경우 분석(Obligatory Occasion Analysis)의 방식을 통해서 측정하였다. 정확도와 빈도의 변화가 일정한 경향을 보이는 문법항목을 그룹별로 묶어서 발달패턴이 비슷한 문법항목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교육적 진단이 필요한 문법항목들은 [그룹 1]과 [그룹 4]에 해당됨을 확인하였다. [그룹 1]의 문법항목은 학습자가 어려워해서 사용을 회피하거나 습득이 이루어지지 않는 항목들이고 [그룹 4]는 6급에 올라가면 발달이 정체되면서 정확성이 떨어지거나 역 U자형의 발달 노선을 따르는 항목이다. 정확성과 복잡성 측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면 베트남 학습자는 같은 의미 범주에 속한 여러 연결어미 중에서 대표적인 몇몇의 문법항목만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정확성을 측정하는 마지막 지표인 내포문별 학습자가 범하는 부사절, 관형사절 및 명사절 오류 양상은 어미 미사용 오류, 어미 과잉 사용 오류, 같은 범주 내 어미 사이에서 혼용 오류와 다른 범주 어미와 혼용 오류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오류 중에서 가장 많이 범한 오류 유형은 범주 내 혼용 오류이다.
복잡성과 정확성을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베트남 학습자의 통사적 복잡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 단계별로 연결어미의 범주에 기반하여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것과 (2) 전성어미로 형성된 내포문 구조에 대한 인식을 제고 (3) 대조 분석을 통한 언어 간 오류에 대한 고찰하는 교육적 접근을 제안하며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시도된 적 없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통사적 복잡성 및 정확성 발달을 양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러한 복잡성 발달을 일으킨 문법항목들의 사용률과 정확도를 계측하였으며 이를 종합해서 교육적 제안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08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57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