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체험주의 기반 도덕적 상상력의 도덕교육적 함의 연구 : A Study on the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of Moral Imagination Based on Experientialism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창우-
dc.contributor.author권재은-
dc.date.accessioned2022-12-29T08:14:08Z-
dc.date.available2022-12-29T08:14:08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00000017295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8123-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95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2. 8. 정창우.-
dc.description.abstractIn the meantime,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pply moral imagination based on experientialism to moral education. However, studies that prepared moral education methods through complementary work necessary to apply moral imagination to moral education were not actively sought. In order to prepare methods of moral education that can fully realize the implications of moral imagination, a systematic understanding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organism and environment to the experientialist self should be preceded, along with complementary work for moral education application. In addition, the need for complementation is raised not only in the application to moral education, but also in that experientialism is based on empirical study centered on cognitive science and that Johnson also emphasizes the convergence of empirical study.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explored the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moral imagination to moral education, and attempted to complement it through empirical study centered on moral psychology.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se discussions for moral education and to seek specific moral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embodied meaning claimed by experientialism as a stream of naturalized ethics, and then examined the moral imagination theory based on experientialism on 'types of imaginative structures', 'how imaginative structures work', 'contribution of moral imagination to the moral development'. According to experientialism, human beings form imaginative structure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organisms and their environment, which can be seen through image schema, metaphor, prototype, and frame. An image schema is a structure that organizes huma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as a repetitive pattern of embodied experience, and a metaphor enables the expansion of meaning through projection between conceptual domains. And the prototype shows how humans categorize, and the frame acts a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world. These imaginative structures play a key role in moral reasoning and moral concepts, and this study focused on image schema, metaphor, and frame in moral reasoning, and prototype structure for moral concep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at moral imagination helps solve problems through moral deliberation and enables the experientialist self to achieve moral growth and create narratives of life.
Next, the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moral education of moral imagination discussed above were explored, and supplementary work was performed. In this regard, first, in 'organism-environment interaction and constraint factors', it was examined that 'organism-environment interaction'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human life that influences each other and the process of forming common meaning. However, as the interaction presented here mainly focuses on common and universal interaction through the body, it was discussed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preparing mo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interactions and differences in morality. In addition, it was examined that constraint factors existing in the interaction between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can help us understand what kind of constraints humans are subjected to and how they change their behavior and identity within those constraints. However, it was discussed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preparing mo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that affect human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s the situation is not included in these constraint factors. According to these limitations, the former was supplemented through Bandura's Reciprocal Determinism and the latter through social psychology.
Second, in relation to 'sensorimotor experience, image schema and metaphor', it was examined that 'sensorimotor experience and image schema' helps us to utilize body movements and teaching tools in various ways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body. However, although the relative problem of experientially basic level mentioned here, there is no explanation for it, so it was discussed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preparing mo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sensorimotor experience and the formation of meaning according to individuals. Also, it was examined that 'metaphor' can contribute to expanding moral knowledge and sharing emotions in moral education. However, although the necessity of treatment therapy for metaphors was mentioned here, no specific type or use was presented.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exploring metaphors that have influenced life from the past or helping individual changes through metaphors. According to these limitations, the former was attempted to be supplemented through Neuro-Linguistic Programming(NLP) and the latter through Erickson's metaphor therapy.
Third, in relation to 'narrative', it was examined that 'memory about narrative unity' can contribute to rebuilding the meaning of memory or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or moral meaning in moral educa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memory can also act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unity of narrative, so this study tried to supplement it through Bradshaw's Inner Child so that the healing process could be provided together when using the narrative. Also, in relation to interpretation of experience in narrative composition, It was suggested that it is possible to guide the interpretation of experiences or construct narratives through the detailed elements presented by Johnson. However, there was a discussion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reflectively examining the narrative or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experience because psychological factors that act on the interpretation of experience are not explicitly presented here. Therefore, it was attempted to complement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act on the interpretation of experience through Adler's psychotherapy.
Fourth, moral deliberation is a cognitive-conactive-affective simulation, and it was examined that problem-solving methods can be explored through this in moral education. However, since simulation can lead to immoral consequences, this study tried to complement Rest's 4 components to provide specific educational guidelines. Also, since moral deliberation itself can not guarantee moral action, this study tried to complement this with if-then signature presented by Shoda and micro-motive presented by Rose & Ogas.
Then, the following moral education methods were prepared based on the moral imagination theory and complementary work presented in this study. In this regard, First, based on the discussion of 'organism-environment interaction and constraint factors', moral education methods centered on exploration and regul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organism and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and environment construction were prepared. Specifically, exploration and regulation using Reciprocal Determinism, self-reflection questions about habits, raising awareness of situation, assigning tasks to be shared, and creating an environment were presented.
Second, based on the discussion of 'sensorimotor experience, image schema and metaphor', moral education methods centered on application of sensorimotor experience and image schema and concrete use of metaphor were prepared. Specifically, use of concrete object and body movements, mutual understanding using sensorimotor experience, expressing with metaphor, reasoning using the implications of metaphors, expanding the metaphor through questions, forming new metaphors were presented.
Third, based on the discussion of 'narrative', moral education methods centered on dealing with memories for narrative construction and various interpretations of experiences for narrative construction were prepared. Specifically, handling the inner child, writing imaginary stories, interpreting experienc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riting using pronouns, using a new frame were presented.
Fourth, based on the discussion of moral deliberation, moral education methods centered on moral deliberation execution methods and moral behavior practice method considering individuality were prepared. Specifically, simulation for each 4 components, how to create a moral dilemma, use of if-then signatures and response patterns for situation, ways to explore and utilize micro-motives were presented.
Teacher's concerns about 'how to teach' can help students find answers about 'how to live'. In this regard, the moral imagination theory based on experientialism awakens the moral imagination necessary to live lif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existence. And it enables teacher's concerns about 'how to teach' to be implemented in various classes. Lastly, I hope that through the moral education methods proposed in this study, students will find the meaning of life and lead a moral life. Furthermore, I hope that students can love their lives and live life dreaming.
-
dc.description.abstract그동안 체험주의(Experientialism)에 기반한 도덕적 상상력을 도덕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도덕적 상상력을 도덕교육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보완 작업을 거쳐 도덕교육 방안을 마련한 연구는 적극적으로 모색되지 않았다. 도덕적 상상력의 함의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도덕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에서부터 체험주의적 자아에 이르는 체계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와 함께 도덕교육적 적용을 위한 보완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이는 도덕교육에의 적용뿐 아니라, 체험주의가 인지과학 중심의 경험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과 존슨(M. Johnson) 역시 경험적 연구에 대한 수렴을 강조한다는 점에서도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도덕적 상상력의 도덕교육적 적용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 이에 대해 도덕심리학 중심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와 같은 논의가 갖는 도덕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 구체적인 도덕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연화된 윤리학의 한 흐름으로서 체험주의가 주장하는 신체화된 의미를 살펴본 후, 체험주의에 기반한 도덕적 상상력 이론에 대해 상상적 구조의 발현, 상상적 구조의 작용 방식, 도덕적 상상력의 도덕발달적 기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체험주의에 따르면, 인간은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상상적 구조를 형성하는데, 이는 대표적으로 영상도식, 은유, 원형, 프레임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영상도식은 신체화된 경험의 반복적 패턴으로 인간 경험과 이해를 조직하는 구조이며, 은유는 개념 영역 간 투사를 통해 의미를 확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원형은 인간의 범주화 방식을 보여주며, 프레임은 세계를 이해하는 틀로 작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상적 구조는 도덕적 추론과 도덕 개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덕적 추론에 대해서는 영상도식, 은유, 프레임을 중심으로, 도덕 개념에 대해서는 원형적 구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인간은 상상적인 도덕적 숙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체험주의적 자아로서 도덕적 성장을 이루며 삶의 서사를 만들어 간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앞서 살펴본 도덕적 상상력의 도덕교육적 적용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 이에 대한 보완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첫째, 유기체-환경 상호작용과 제약 요인에서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인간 삶과 공통적인 의미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런데 여기에서 제시되는 상호작용은 주로 몸을 통한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고 있어, 상호작용의 다양성 및 도덕성 차이를 고려한 도덕교육을 마련하는 데 다소 한계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존재하는 제약 요인은 도덕교육에서 인간이 어떠한 제약을 받으며, 그 제약 속에서 어떻게 행동과 정체성을 변화시키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제약 요인에는 상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인간의 인지, 정서,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고려하여 도덕교육을 마련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에 전자는 반두라(A. Bandura)의 상호결정론을 통해, 후자는 사회심리학 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하였다.
둘째, 감각운동 경험과 영상도식 및 은유와 관련하여, 감각운동 경험과 영상도식은 몸의 움직임이나 교구를 활용한 수업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여기에는 체험적 기본성의 상대적 문제가 언급됨에도 이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지 않고 있어, 감각운동 경험의 차이 및 개인에 따른 의미 형성 차이를 고려한 도덕교육을 마련하는 데 다소 한계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은유는 도덕교육에서 도덕적 지식을 확장하고, 정서를 교류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여기에는 은유에 관한 치료요법의 필요성이 언급됨에도 구체적인 종류나 활용에 대해서는 제시되지 않고 있어, 과거부터 삶에 영향을 미쳐 온 은유를 탐구하거나, 은유를 통해 개인의 변화를 돕는 데 다소 한계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에 전자는 신경언어프로그래밍(NLP)을 통해, 후자는 에릭슨(M. H. Erickson)의 은유 치료를 통해 보완하고자 하였다.
셋째, 서사와 관련하여, 서사적 통일성에 관한 기억은 도덕교육에서 기억의 의미를 재건하거나 삶의 의미 또는 도덕적 의미를 발견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런데 한편으로 기억은 서사적 통일성을 방해하는 요소로도 작용할 수 있어, 서사 활용 시 치유 과정을 함께 마련해 줄 수 있도록 브래드쇼(J. Bradshaw)의 내면아이를 통해 보완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사 구성에 관한 경험 해석과 관련하여, 존슨이 제시한 세부 요소를 통해 경험을 해석하거나 서사를 구성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가능함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여기에는 경험 해석에 작용하는 심리적 요인이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어, 서사를 반성적으로 살피거나 경험의 의미를 성찰하도록 이끄는 데 다소 한계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에 아들러(A. Adler)의 심리치료를 통해 경험 해석에 작용하는 심리적 요인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넷째, 도덕적 숙고는 인지적-의지적-정서적 시뮬레이션으로, 도덕교육에서 이를 통해 문제 해결 방안을 탐색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런데 시뮬레이션은 비도덕적 귀결로도 이어질 수 있기에, 이에 관한 구체적인 교육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레스트(J. R. Rest)의 4 구성요소를 통해 보완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덕적 숙고 자체만으로 도덕적 행동을 담보할 수 없기에, 이를 쇼다(Y. Shoda)의 상황 맥락별 기질과 로즈(T. Rose)와 오가스(O. Ogas)의 미시적 동기로 보완하여 도덕적 행동 실천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도덕적 상상력 이론과 보완 작업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도덕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유기체-환경 상호작용과 제약 요인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한 탐색과 조절과 상황에 대한 이해와 환경 구성을 중심으로 한 도덕교육 방안(상호결정론을 활용한 탐색과 조절, 습관에 대한 자아 성찰적 질문, 상황에 대한 관심 높이기, 함께하는 과업 부여하기, 환경 조성하기)을 마련하였다. 둘째, 감각운동 경험과 영상도식 및 은유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감각운동 경험과 영상도식의 활용과 은유 활용의 구체화를 중심으로 한 도덕교육 방안(구체물과 몸의 움직임 활용, 감각운동 경험을 활용한 상호 이해, 은유로 표현하기, 은유의 함축성을 활용한 추론, 질문을 통한 은유 확장, 새로운 은유 형성)을 마련하였다. 셋째, 서사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서사 구성을 위한 기억 다루기와 서사 구성을 위한 경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중심으로 한 도덕교육 방안(내면아이 다루기, 상상 이야기 쓰기, 경험을 다른 입장에서 해석하기, 대명사를 활용한 글쓰기, 새로운 프레임 활용하기)을 마련하였다. 넷째, 도덕적 숙고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도덕적 숙고 수행 방안과 개별성을 고려한 도덕적 행동 실천 방안을 중심으로 한 도덕교육 방안(4 구성요소별 시뮬레이션, 도덕딜레마 제작 방안, 상황 맥락별 기질 및 상황별 반응 패턴 활용, 미시적 동기에 대한 탐색과 활용)을 마련하였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교사의 고민은, 학생들이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체험주의에 기반한 도덕적 상상력 이론은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도덕적 상상력을 일깨워 주고,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교사의 고민이 다양한 수업으로 구현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덕교육 방안을 통해 학생들이 삶의 의미를 찾으며 도덕적인 삶을 이루어 갈 수 있기를, 자신의 삶을 사랑하고 삶을 꿈꾸며 지낼 수 있기를 희망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방법과 범위 6
Ⅱ. 체험주의의 이론적 기초 10
1. 몸과 마음의 이원론적 접근에 대한 극복 노력 11
1)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12
2) 제임스와 듀이의 실용주의 15
2. 몸과 마음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인지과학 21
1) 2세대 인지과학 21
2) 인지언어학 23
3. 체험주의와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 25
1) 체험주의의 개념 25
2) 체험주의 기반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 28
Ⅲ. 체험주의 기반 도덕적 상상력의 이론적 특성 32
1. 상상적 구조의 발현 32
1)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 32
2) 영상도식과 은유 44
3) 원형과 프레임 57
2. 상상적 구조의 작용 방식 61
1) 도덕적 추론에서의 영상도식, 은유, 프레임의 작용 62
2) 도덕 개념의 원형적 구조 72
3. 도덕적 상상력의 도덕발달적 기여 78
1) 문제 해결을 위한 도덕적 숙고의 함양 79
2) 삶의 서사의 도덕적 정립 88
3) 체험주의적 자아의 도덕적 성장 94
Ⅳ. 체험주의 기반 도덕적 상상력의 도덕교육적 적용 가능성 및 한계 99
1. 유기체-환경 상호작용과 제약 요인의 적용 가능성 및 한계 101
1)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 측면 102
2)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존재하는 제약 요인 측면 108
2. 감각운동 경험과 영상도식 및 은유의 적용 가능성 및 한계 112
1) 감각운동 경험과 영상도식의 측면 112
2) 은유의 측면 116
3. 서사의 적용 가능성 및 한계 121
1) 서사적 통일성에 관한 기억의 측면 121
2) 서사 구성에 관한 경험 해석의 측면 125
4. 도덕적 숙고의 적용 가능성 및 한계 128
1) 시뮬레이션의 측면 129
2) 도덕적 숙고와 도덕적 행동의 관계 측면 133
Ⅴ. 체험주의 기반 도덕적 상상력 논의의 도덕교육적 함의 139
1.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 강조 139
1)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한 탐색과 조절 140
2) 상황에 대한 이해와 환경 구성 146
2. 감각운동 경험과 영상도식 및 은유의 활용 151
1) 감각운동 경험과 영상도식의 활용 152
2) 은유 활용의 구체화 157
3. 서사 구성에 대한 탐구 164
1) 서사 구성을 위한 기억 다루기 165
2) 서사 구성을 위한 경험에 대한 다양한 해석 169
4. 도덕적 숙고와 도덕적 행동 강화 174
1) 도덕적 숙고 수행 방안 175
2) 개별성을 고려한 도덕적 행동 실천 방안 186
Ⅵ. 결론 190
참고문헌 195
부록 216
Abstract 218
-
dc.format.extentix, 22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체험주의-
dc.subject윤리학-
dc.subject도덕적상상력-
dc.subject도덕심리학-
dc.subject인지과학-
dc.subject심리학-
dc.subject심리치료-
dc.subject도덕교육-
dc.subjectExperientialism-
dc.subjectMoralImagination-
dc.subjectEthics-
dc.subjectPsychology-
dc.subjectPsychotherapy-
dc.subjectCognitiveScience-
dc.subjectMoralPsychology-
dc.subjectMoralEducation-
dc.subject.ddc170-
dc.title체험주의 기반 도덕적 상상력의 도덕교육적 함의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of Moral Imagination Based on Experientialism-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won Jae Eu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윤리교육과-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2-08-
dc.contributor.major도덕·윤리교과교육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295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8▲000000000055▲00000017295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