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과체중 및 비만 여성의 체중과 심리요인에 관한 온라인 체중관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 of an Online Weight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on Weight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Overweight and Obese Wome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윤민

Advisor
김연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체중감량""비만관리""신체활동""온라인프로그램""심리변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2. 8. 김연수.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체중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체중 및 심리적 요소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온라인교육만 받는 집단과 온라인교육과 개인 피드백을 받는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그 효과를 확인한다.

방법: 만 19세 ~ 39세의 젊은 과체중 및 비만 성인 한국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세 집단으로 무작위 할당되었다. (1) 마인(MINE) 집단: 20명의 온라인교육과 자기모니터링 어플 이용, (2) 마인 플러스(MINE Plus) 집단: 20명의 온라인교육, 맞춤형 개인 피드백과 자기모니터링 어플 이용, (3) 통제(Control) 집단: 자기모니터링 어플만 이용. 온라인 교육은 체중감량을 위한 영양, 운동, 심리적 요인, 의학적 지식과 목표설정, 인지/행동 전략 등이 포함되었다. 맞춤형 피드백은 주에 한번 실시간 비디오 코칭으로 진행되었으며 체중감량을 위한 동기부여와 해결책 등을 제시하며 도와주었다. 총 12주의 실험기간 중 초반 6주간 개입이 이루어졌고 다음 6주는 교육의 효과가 지속되는지 확인하였다. 측정은 사전, 중간(6주차), 그리고 사후(12주차)에 이루어졌다. 통계분석으로는 집단과 시간의 비교 및 상호작용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일반화선형혼합모델(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이 사용되었다.

결과: 총 60명의 참여자를 포함하여 Intention-To-Treat (IT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6주차 시점까지 마인 집단과 마인 플러스 집단은 각각 -0.74 kg±1.96(p=0.034), -1.87 kg±1.8(p < 0.001)의 유의미한 체중 감량 변화를 보였다. 반면에 통제집단에서는 평균 체중감량 +0.03 kg±1.68(p=0.91)로 유의미한 체중감량을 보이지 않았다. 12주 이후에는, 마인 집단에서 -1.65 kg±2.64(p < 0.001), 마인 플러스 집단에서 -1.59 kg±2.79(p < 0.001)의 체중감량을 보였으며, 통제 집단에서는 +0.43 kg±1.42(p=0.27) 체중증가를 보였다. 시간과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마인 집단과 통제집단(p < 0.001), 마인 플러스 집단과 통제집단(p < 0.001)에서 기준선부터 12주차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신체활동과 심리 요소에 있어서, 오직 체형만족도와 건강 자기효능감 점수만 마인 집단과 마인플러스 집단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향상을 보였다(p < 0.001).

결론: 온라인 체중관리 프로그램은 과체중 및 성인 비만 젊은 여성의 유의미한 체중감량과 몇몇 심리적 요소들의 변화를 가져왔다. 차후연구에서는 장기간 효과와 발전된 프로그램을 통한 효과성의 확인이 필요하다.
Purpose: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an online weight management program through only online education (MINE) or tailored video feedback with online education (MINE Plus) or control (CO).

Methods: This intervention included 60 overweight and obese Korean women aged 19 -39 years old. Participants a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ree groups: (1) 20 women in MINE group (online education video and self-monitoring application), (2) 20 women in MINE Plus group (online education video, self-monitoring application, and 1:1 tailored video feedback), and (3) 20 women in CO group (only self-monitoring application). Online education included nutrition, physical activity, psychological factors, medical knowledge for weight loss, goal-setting, and cognitive/behavioral strategies. Tailored feedback helped to motivate weight loss and give solutions for weight loss through real-time video coaching once a week for 10 minutes per session. There was an intervention for 6 weeks and no intervention for the next 6 weeks to check whether the effect of education continued. A total of three measurements were made at baseline, 6 weeks, and 12 weeks. The GLMM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was used to confirm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over tim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groups.

Results: In the intention-to-treat analysis including all 60 participa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change at 6 weeks in MINE and MINE Plus groups with a mean weight change of -0.74 kg±1.96 in MINE group and -1.87 kg±1.8 in MINE Plus group (p=0.034, p < 0.001, respectively), while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CO group with a mean weight change of +0.03 kg±1.68(p=0.91). After 12 weeks, changes in body weight were -1.65 kg±2.64 in MINE group, -1.59kg±2.79 in MINE Plus group, and +0.43kg±1.42 in CO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MINE and MINE Plus groups (p < 0.001). Significant group × time effects were found for body weight MINE and CO groups (p < 0.001) and MINE Plus and CO groups (p < 0.001) comparing baseline and 12 weeks. Regarding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factors, only body type satisfaction and health self-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improvements in the Mine and Mine Plus groups (p < 0.001).

Conclusion: Our online weight management program showed significant weight loss and several psychological factors in overweight or obese Korean wome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track the long-term effects and confirm the effectiveness through program developmen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12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3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