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Understanding Job Satisfaction among Flagship Sports Coaches in Indonesia : 인도네시아 전문 스포츠 코치들의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나타샤

Advisor
강준호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JobSatisfactionSportcoachFlagshipsportsIndonesia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2022. 8. 강준호.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mong flagship sports coaches in Indonesia because the country has lack of coaches in several sports, which makes the process more challenging to improve international achievements. As a sports manager, recognizing the specific expectations of their employees and their industry is expected to help with employee performance outcomes. Where in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thlete's achievement by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oach.
Fourteen coaches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have proven that a multi-dimensional model in coaching based on the Kano satisfaction model (1984) developed by Dixon & Warner (2010) only focus on the satisfaction area: performance-dependent factors (program building, flexibility & control,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desirable factors (player-coach relationships, recognition, and social status) are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among flagship sports coaches in Indonesia. Although, the findings showed a clear contradiction between the present study particularly in the theme of recognition and social status among coaches.
The results support the distinctiveness of job satisfaction as constructs, and also demonstrate a continued need examining job attitudes within context. As sport managers understand the particular expectations of their employees and their industry they can better diagnose and solve employee issues.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네시아의 스포츠 코치 부족함이 국제대회의 성과 개선에 어려움을 주기에 대표적인 스포츠 종목 코치들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데 있다. 스포츠 매니저의 관점에서 직원들과 그들의 산업의 구체적인 기대를 인식하는 것은 직원 성과 결과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코치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조사함으로써 선수의 성취도를 높이는데 이의를 두고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4명의 코치가 반구조적 인터뷰에 참여했다. Dixon & Warner(2010)가 개발한 Kano 만족도 모델(1984)에 기초한 코칭의 다차원 모델은 성과 의존적 요인(프로그램 구축, 유연성 및 제어, 동료와의 관계)과 바람직한 요인(선수-코치 관계)에만 초점을 맞춘다는 것이 현재 연구의 결과로 입증되었다. 감독과 선수의 관계, 인지도, 사회적 지위)는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스포츠 코치들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는 특히 코치들 사이의 인식과 사회적 지위라는 주제에서 현재의 연구 사이의 분명한 모순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는 구성 요소로서의 직무 만족의 구별성을 뒷받침하였으며, 맥락 내에서 직무 태도를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스포츠 매니저들은 그들의 직원들과 산업 특별한 기대를 이해함으로써 그들은 직원 문제를 더 잘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15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79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