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 요인 : Perceptions of COVID-19 and the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Thoery of Planned Behavior, and Integrative Behavioral Model
건강 신념 모형, 계획된 행동 이론, 통합된 행동 모형에 근거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세영

Advisor
이충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코로나19대학생신체활동건강신념모형계획된행동이론통합된행동모형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2022. 8. 이충근.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코로나19 및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이 이들의 신체활동 참여 의도 및 행동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전통적 건강 신념 모형에 자기 효능감 변인이 추가된 확장된 건강 신념 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코로나19 위험 인식과 신체활동에 대한 평가가 이들의 신체활동 참여에 미친 영향을 조사했다. 이 연구의 자료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생에게서 수집했으며, 이들의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친 변인들을 검증하기 위해 성별 층화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기술 통계 분석 결과, 중강도 신체활동에는 남학생이 평균적으로 여학생보다 많이 참여하였으나, 고강도 신체활동에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많이 참여하였다. 다중 회귀 분석 결과, 대학생의 고강도 신체활동은 남녀 모두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에 의해서만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한편, 중강도 신체활동의 경우 남학생은 신체활동에 대한 인지된 장애물에 의해, 여학생은 현재 건강 상태에 따른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연구 2에서는 계획된 행동 이론을 바탕으로 코로나19의 발생 전후 대학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신념과 신체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발생 이전에 수집된 자료와 마찬가지로 서울대학교 사회대학 또는 경영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3은 통합된 행동 모형을 근거로 행동의 현저성, 지식과 기술, 환경적 제약이 신체활동 참여 의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도-행동 간 차이를 감소시키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3의 자료는 연구 2의 자료와 함께 세 차례에 걸쳐 수집되었다. 먼저,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에 대한 신념을 도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체활동 참여에 대한 인식, 의도, 신체활동의 현저성, 그리고 지식과 기술 등에 관한 응답을 수집했다. 약 한 달 후, 신체활동 참여 시간과 환경적 제약에 관한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2의 분석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시간이 절반으로 감소했음에도 행동 의도는 증가했다. 이에 대해 건강 증진, 가족 구성원, 게으름이 영향을 주어 코로나19 발생 이전과는 완전히 달랐다. 연구 3의 결과, 신체활동의 환경적 제약과 지식과 기술은 신체활동 의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신체활동에 대한 설명력을 유의하게 높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시대에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 행동에 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한 동시에 이에 관한 세 가지 이론의 한계와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COVID-19 and physical activity (PA) on their intention and participation in PA. The extended health belief model with self-efficacy added to the health belief model was applied to examine the impact of risk perception of COVID-19 and evaluation of PA on PA participation in study 1.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survey of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Gender-stratifi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MPA)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VP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male students participated more in MPA than female students per week, but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more in VPA than male students on averag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efficacy was the only variable that significantly explained VPA in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perceived barriers of PA significantly affected to MPA among male students, whereas the likelihood of contagion of COVID-19 in current health state significantly affected MPA among female students.
Study 2 compared PA beliefs and factors influencing PA participat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this purpose, data were gather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College of Social Science or Business School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y 3 was based on the integrative behavioral model. It attempted to investigate whether salience, knowledge and skills,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of PA can decrease intention-behavior gap by interaction with intention to PA. Data for study 3 were collected three times with data for study 2. Beliefs about PA were elicited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they were used to obtain answers regarding perceptions of PA, intention, salience of behavior, and knowledge and skills in the second survey. The third survey was conducted about one month after the second survey. In this survey, students were asked about PA behavior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2, the intention to PA has been increased although PA participation time was reduced in half after the emergence of COVID-19. Moreover,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se outcomes are caused by salient beliefs of PA such as improvement of health, family members, and laziness, which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ones before the emergence of COVID-19. The results of study 3 showed that environmental constraints and knowledge and skills of PA significantly improved the explanatory power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intention to PA.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 behavior in the COVID-19 pandemic, at the same time showing the limitations and development potentials of the three theories of applicability in this pandemic crisi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16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4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