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민족정체성과 취향정체성의 긴장과 조정 : Tensions and Adjustments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Acquired Identity through Taste
일본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 우익논란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인숙

Advisor
임동균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민족정체성취향정체성일본대중문화귀멸의칼날내셔널리즘개인행위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22. 8. 임동균.
Abstract
본 연구는 21세기 개인행위자와 내셔널리즘에 관한 연구로, 대중문화를 통한 월경(越境)이 자유로운 시대에 개인행위자들이 민족정체성과 취향정체성 간의 긴장을 어떻게 경험하고, 이를 어떻게 조정하는가를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는 일본만화·애니메이션인 「귀멸의 칼날」의 우익논란을 민족정체성과 취향정체성의 얽힘이 발생하는 장소로 바라보며, 관련하여 국내 일본만화·애니메이션 팬(이하 국내 재패니메이션 팬)의 내적 경험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개인행위자의 정체성이라는 미시적 영역을 통해 현대 내셔널리즘이라는 작동 방식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대중문화를 통해 개인들의 직·간접적 월경이 가속화되는 전지구화의 시대에, 이들의 사적 경험과 인식, 태도를 통해 현대 사회의 내셔널리즘의 변화를 가늠해본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귀멸의 칼날」 우익논란을 둘러싸고 국내 재패니메이션 팬들은 민족정체성과 취향정체성 간의 긴장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둘째, 이들은 어떠한 내러티브를 가지고 두 정체성 사이의 긴장을 조정하는가. 셋째, 이들의 조정 전략을 통해 드러나는 현대 내셔널리즘의 작동방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빌리그의 일상의 민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일상의 미시적 공간인 대중문화 영역에서 민족정체성을 연구할 필요를 논한다. 또한 젠킨스의 획득된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취향정체성의 개념을 통해 본 연구가 팬 연구를 넘어 현대 사회의 개인행위자에 대한 연구임을 제시한다. 더불어 국내 대중문화 관련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민족정체성과 취향정체성의 복잡한 얽힘과 이를 조정하는 팬들의 다양한 전략 발굴의 필요성을 논한다.
본 연구는 국내 재패니메이션 팬들의 내적 경험을 면밀히 관찰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국내 재패니메이션 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민족정체성과 취향정체성 사이의 긴장을 각기 다양한 방식으로 경험하고 있었다. 자신을 열혈 팬(이하 오타쿠)으로 정의하는 참여자들의 경우, 우익논란을 두 정체성이 양립하기 힘든 딜레마의 상황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혼란과 도덕적 피로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한편 자신을 오타쿠로 정의하지 않는 참여자들은 두 정체성을 분리함으로써 우익논란에 대한 의도적인 무감각을 유지해 나가거나, 우익논란에 대한 거리 두기를 통해 민족의 과잉을 경계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두 정체성의 얽힘이 야기하는 긴장을 조정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다. 이들은 마음 멈추기를 통해 취향 중지하기, 합리적 근거를 통해 취향정체성 정당화하기, 민족정체성을 우위로 정체성 서열화하기, 세계인의 취향으로 두 정체성 통합하기의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다.
우익논란을 둘러싼 참여자들의 다양한 경험과 이들의 각기 다른 조정전략의 등장은 우익논란을 판정해 줄 명확한 기준의 부재와 국가·민족이라는 개념의 모호함에서 비롯된 다원화를 의미했다. 또한, 이는 나로의 환원을 의미했다. 현대 사회에서 이제나(self)는 각각의 개인들에게 기준을 제공하는 공간이 되고 있었다. 역설적이게도나로의 환원은나의 심리적 토대를 위해 국가와 민족을 소환하기도 했다. 또한 나로의 환원은 다양한 가치들의 공존과 직접 논쟁의 부재 속에서 민주적 다원화와 심화되는 양극화의 양면성을 모두 담지하고 있었다.
미디어를 통한 월경, 인터넷의 일상화로 인한 전자적 지구화의 가속화, 글로벌 자본주의로 인한 대중문화의 지구적 소비 등으로 인해 개인이 인식하는 국가, 민족, 정치, 문화의 경계는 더욱 뒤섞이고 모호해지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개인의나로의 환원은 가속화될 것이다. 국가와 민족, 취향 등 다양한 가치들이 경쟁, 갈등, 결합하며 전유되는 공간으로서 현대사회 개인의 정체성을 들여다봐야 하는 이유이다.
This study is about individual actors and nationalism in the 21st century. It analyzes how the individual actors experience and adjust the tensions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acquired identity through taste (hereafter, taste identity), in an era when one can freely cross borders through popular culture.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res the internal experience of Japanese animation fans in Korea, regarding the nationalism controversy of the Japanese animation Demon Slayer as a place where entanglement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taste identity of Japanese animation fans in Korea occu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mechanism of modern nationalism through the microscopic domain of the identity of Japanese animation fans in Korea.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evaluates the changes in nationalism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cultural individual actor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when direct and indirect crossing-borders through popular culture will accelerate in the futur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Japanese animation fans in Korea experiencing the tensions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taste identity over the nationalism controversy of 「Demon Slayer」? Second, with what kind of strategies do they adjust the tensions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taste identity? Third, how does modern nationalism work given the individual actors strategy of adjusting the identities?
This study discusses the need to investigate national identity in the realm of popular culture, a microscopic space of everyday life, based on Billig's theory, Banal nationalism. In addition, through the concept of taste identity based on Jenkins' 'acquired identity', this study does more than being a fan study, tackling issues on the individual actors in modern society. Moreover, it sheds light on the need to discover the complex entanglement of national identity and taste identity. It also points out the need to investigate various adjustment strategies through the analysis of popular culture studies in Korea.
In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o closely observe the internal experiences of Japanese animation fans in Kore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elf-claimed Japanese animation fans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the tensions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taste identity in various ways. Participants who defined themselves as passionate fans(hereafter, Otaku) were experiencing confusion and moral fatigue facing this dilemma, in which the two identities were difficult to coexist.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who did not define themselves as Otaku maintained a state of intentional insensitivity to the controversy by successfully separating the two identities, or by being wary of the excess of national identity through distancing themselves from the controversy.
Also, the participants were adjusting the tensions caused by the entanglement of the two identities through various strategies, such as suspending taste identity through 'stopping the mind', justifying taste identity through rational grounds, prioritizing national identity as superior, or integrating those two.
The emergence of various experiences and strategies of the participants surrounding the nationalism controversy meant diversification resulting from the absence of an obvious criteria in terms of judging the controversy and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nation itself. Also, it meant a reversion to 'Self'. In modern society, 'Self' has become a space that provides criteria for each individual. The reversion to 'Self' is now summoning the nation for the psychological foundation in the time of insecurity and ambiguity, which implicates the double-sided possibility of democratic pluralization in the sense of coexistence of various values and the deepening polarization in the absence of direct debate.
The conceptions of nation, ethnicity, culture and so on that individuals perceive are becoming more blurred due to crossing-borders through media, the acceleration of electronic globalization through the daily use of the Internet, and global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in global capitalism. In this uncertainty, individual actors' reverting to 'Self' will be further accelerated.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identity of individuals in modern society where various values such as nations, ethnics and taste compete, conflict, combine, or are appropriat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19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9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