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케이팝 온라인 콘서트의 라이브니스 생성에 대한 연구 : Investigation on Liveness Production of K-pop Online Concer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민정

Advisor
홍석경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온라인콘서트케이팝라이브니스장치매개경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22. 8. 홍석경.
Abstract
From January 2020 to nowadays, the COVID19-caused virtual, online society continues. Especially from 2020 to the end of 2021, there were severe restrictions on massive gatherings, including schools, enterprises, and of course, concerts too. In this background, online concerts have appeared in the K-pop genre, and now they are highly likely to become a new concert format in the future. However, unlike in conventional concerts where idols and audiences can meet naturally in one space, idols and audiences, and audiences and audiences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online concert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ense of live, that is, liveness, is generated in this mediated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disposi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vided liveness into liveliness and co-presence to study the concerts and explored 14 actual K-pop online concerts with participation observations and text analysis and 12 aud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first concentrates on the multiple factors an online concert adopts to create liveness in its production process. Online concerts tried to make liveness through the physical stage, performance, talk in the studio, typical camera shots, particular camera types, adjustments and controls in the editing process, and through giving functions such as live-chats and multi-cameras on the given concert-watching platform. In addition, the concerts tried to prove the authenticity and sincerity of their provided live content through pre- and post-concert meta text. The metatexts also tried to demonstrate desirable audience action and way of watching and continuously maintain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live event.
Because liveness elements are perceived as liveness only through the audiences willingness to accept them, the liveness elements provided by the concerts were either taken and activated by the audience or, conversely, rejected.
The cases of accepting the given liveness elements were as follows. The audience readily accepted the liveness element of the concert if it had similarities to the past off-line performance or its mediated version. In the case of an unfamiliar liveness element, it was accepted by the audience if the necessity was embraced (such as the current COVID-19 situation) or it was thought of as an advantage of a new virtual genre. Regardless of the specific elements inside the show, liveness could also be created due to the beliefs and bits of knowledge the audience previously had about their idols.
Conversely, the audiences often rejected the liveness elements of a concert and did not accept them as intended by the concert producer. This happened across the various liveness elements adopted to create a sense of vividness and coexistence. In addition, although K-pop online concerts were essentially virtual broadcasting events, they were promoting themselves as concerts. While thinking conventional concert created liveness through corporeal, spatiotemporal experience, the fundamental absence in the online concert was more emphasized. The disparity and gap between the expected live created an unpleasant experience for the audience instead of liveness.
Nevertheless, since the audience is a fan, they couldnt miss the chance to meet their favorite idol. Accordingly, even if the audience felt dissatisfaction with the liveness of the online concert, they had no choice but to purchase the show. In this situation, the audience tried to make the concert experience more live and enjoyable on their own - through individual physical practices such as making concert venues themselves, inviting other audiences to watch together, and expanding the viewing experience through space and time. Also, the audiences appropriated the given concert platform and its liveness elements by replacing, making a detour, and ignoring the instructions.
While located between the two unreconcilable identities - an entirely mediated virtual experience and a concert perceived through the physical senses - online concerts have been adapting and evolving to keep pace with the audience. As a case study, I looked at the process of changes in SMs Beyond Live concerts and consecutive BTS concerts from 2020 to 2021. In both cases, there was a tendency where they tried concealing the specificity of the virtuality as much as possible and instead reassembling itself in a form similar to the live broadcast of the conventional, off-line concert. This tendency was emphasized by using large physical sets, specific program compositions, and still camera movements. In addition, it was also noticeable that the concert was gradually reorganizing itself with less spontaneous elements so that the producers could control the concert without dealing with unexpected situations. These findings expose a strategy to make the audience expect the liveness of a live broadcast of a concert rather than itself as a concert, and to create liveness through controllable naturaln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examines K-pop online concerts and experiences that have just emerged due to COVID-19. The study holistically reviewed the creation of liveness in an online K-pop Concert where audiovisual stimulation and psychological bonds between performers and fans are vital. Also, this study concentrates on and unravels the potential of the audiences as fans - their ability to accept, refuse, and construct their liveness practices. Lastly, this study gives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future virtual, lively events and the live of the future.
2020년 1월부터 지금까지,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만들어진 비대면 사회가 지속하고 있다.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학교도, 회사도 비대면으로 전환되는 상황에서 콘서트 또한 비대면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케이팝 장르에서는 온라인 콘서트가 등장하였으며, 이는 향후 새로운 콘서트 형식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 또한 크다. 하지만 기존의 콘서트에서 아이돌과 관객이 자연스럽게 한 공간에서 만날 수 있었던 것과 달리, 온라인 콘서트에서 아이돌과 관객, 관객과 관객은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상태로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렇게 매개된 상황에서 온라인 콘서트의 라이브하다는 감각, 즉 라이브니스(liveness)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지를 미디어 장치(media dispositif)의 관점에서, 14개의 실제 케이팝 온라인 콘서트 참여관찰 및 텍스트 분석, 그리고 12인의 관객 인터뷰를 통해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는 먼저, 온라인 콘서트가 관객의 화면에 도달할 때까지 라이브니스를 생성하기 위해 채택한 여러 요소를 살폈다. 온라인 콘서트는 촬영 스튜디오 속 무대와 퍼포먼스 및 토크, 카메라의 샷과 종류, 편집과정에서의 첨가와 조절 및 배합, 송출 플랫폼의 기능과 화면 구성 방식을 통해 라이브니스를 만들고자 했다. 또한, 콘서트 전후를 아우르는 메타텍스트를 통해 온라인 콘서트 내부 요소의 진실성과 진정성을 입증하고, 관객에게 기대하는 특정한 행동을 유도하고, 콘서트의 사회적 중대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고자 했다.
관객의 수용할 용의를 통해 비로소 라이브니스로 감각되기 때문에, 콘서트 속 라이브니스 요소는 관객에게 수용되어 활성화되기도, 반대로 거부되기도 하였다. 주어진 라이브니스 요소를 수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았다. 관객은 콘서트의 라이브니스 요소가 과거 대면 퍼포먼스나 그것의 매개경험과 유사성을 지닌 경우 쉽게 받아들였으며, 익숙하지 않은 라이브니스 요소의 경우에도 코로나19라는 시대적 필요성 또는 새로운 장르로서의 장점으로 인정한 경우 수용하였다. 콘서트 내부 구체적인 요소와 무관하게, 관객이 기존에 아이돌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신념과 지식의 영향으로 메타적으로 라이브니스가 만들어지고 수용된 경우 또한 존재했다.
반대로, 콘서트의 라이브니스 요소들은 콘서트 제작자의 의도대로 수용되지 않고, 거부되는 경우도 많았으며, 다양한 요소에 걸쳐 발생하였다. 이에 더해, 케이팝 온라인 콘서트는 근본적으로 비대면 브로드캐스팅 이벤트이지만, 스스로를 콘서트라고 칭하고 홍보하고 있었다. 대면 콘서트가 관객에게 시공간적 공존, 즉 콘서트장을 둘러싼 전체 과정의 육체적 실존을 통해 라이브니스를 생성시킴을 돌아볼 때, 온라인 콘서트에서 그 경험의 근본적 부재는 더욱 부각되어 경험되었다. 모든 측면에서 기대된 라이브의 불일치는 관객에게 라이브니스 대신 이질적이고 불쾌한 콘서트 경험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그럼에도 관객은 팬이기 때문에, 좋아하는 아이돌의 모습을 놓칠 수 없었으며, 관객들은 온라인 콘서트가 만들고자 하는 라이브니스에 불만족을 느끼더라도 콘서트를 구매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관객은 관람 장소를 꾸미고, 함께 볼 관객을 초대하고, 관람 경험을 시공간적으로 확장하는 등의 개인의 물리적인 실천과, 주어진 라이브니스 장치를 우회하고 무시하는 등의 전유실천을 거듭하고 있었다. 관객은 수동적으로 현 상황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스스로 그나마 더 라이브하고 즐거운 콘서트 경험을 건설적으로 만들기 위해 움직이는 주체였다.
한편, 온라인 콘서트는 전면으로 매개된 비대면 경험과 오감을 통해 지각되는 콘서트라는 양립불가의 두 정체성 사이를 오가며, 관객에 발맞추어 적응과 진화를 거듭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SM의 비욘드 라이브 콘서트, 그리고 방탄소년단 콘서트가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구체적으로 어떠한 변화과정을 겪어왔는지를 사례연구로 살펴보았다. 두 경우를 통해 온라인 콘서트가 최대한 겉으로는 온라인 콘서트의 특수성을 은폐, 즉 더 큰 물리적인 무대와 세트, 프로그램 구성, 카메라 무브를 통해 대면 콘서트의 실황중계와 유사한 형태로 스스로를 재조립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더불어, 돌발상황 없이 제어할 수 있는 요소를 중심으로 콘서트가 재편되었음 또한 알 수 있었다. 이는 관객에게 콘서트가 아닌 콘서트 생중계의 라이브니스를 기대하게 만드는 전략이자, 통제할 수 있는 자연스러움을 통해 라이브니스를 생성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등장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케이팝 온라인 콘서트와 그 경험을 초기적, 동시대적으로 살핀 탐색적 연구라는 점, 시청각적인 자극과 심리적 유대감이 중요한 케이팝 콘서트에서의 비대면 라이브니스의 생성과정을 전체로서 살폈다는 점, 팬으로서 관객이 보여줄 수 있는 수용과 거부, 전유실천과 같은 복합적인 역능에 주목했다는 점, 그리고 미래의 콘서트와 라이브가 무엇인지 살필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20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2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