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비스로서 게임과 유지보수의 정치: 마비노기 트럭시위의 성격에 관한 연구 : Game as a Service and the Politics of Maintenance: A Study on the Character of Mabinogi Truck Protes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국명표

Advisor
이승철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서비스로서게임유지보수고장문화상품사물-정치공중마비노기트럭시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2. 8. 이승철.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truck protest held by Mabinogi users against game managers between January and March 2021, focusing on the keywords "Game as a Service" and "Politics of Maintenance". As a widely known MMORPG in Korea, Mabinogi was released in 2004 and has been serviced for 18 years. Through online platforms, Mabinogi game managers could steadily provide fresh content, and this distribution method makes it dissimilar to package-type games in which gameplay must end one day. With such long service, Mabinogi has persisted as a "world" where long-lasting experiences, relationships, and culture emerge. However, in early 2021, a truck protest was held against game managers by Mabinogi users. They sent a truck in front of the game company that could raise an electronic board, pointing out that the maintenance work required for "normal" gameplay was not carried out in the game service process so far.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 of the Mabinogi truck prote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various game breakdowns take place in the long-term serviced games like Mabinogi and that they engender demands for repair and maintenance. To reveal these processes, this paper put forward users' responses to patches and updates for game retrofit, unlike previous game researches that usually focus on game rules, narratives, or the interaction between game users. In this way,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are many activities to refine gameplay in Mabinogi (Chapter II), but various breakdowns that arise from and interfere with gameplay have been left unattended to game managers(Chapter III). Yet many breakdowns in Mabinogi do not cause gameplay to become completely inoperable, but for that very reason, they remain in negligence to game managers. However, users directly confront those breakdowns longing for the managers' responses to them. Therefore, such negligence seems to them that they could not expect a "future of the game". Shedding light on users' experience with these breakdowns, this study shows that concerns about the "future of the game" were the source of the Mabinogi truck protest and so users demanded game maintenance during the truck protest(Chapter IV).
By illuminating and analyzing the Mabinogi truck protest under the dynamics of breakdowns and maintenance that emerged during the game service process, this study sought to highlight that the singular character of the Mabinogi truck protest was that they call for maintenance of the game. From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eeks to diversify criticism of the way cultural products are produced and consumed in modern society. In general, the criticism indicates that the creativity of cultural products is suppressed and homogenized mainly by commercial logic, but this study argued that the problem raised in the case of a Mabinogi was things were not properly maintained during the game service process. This means that the Mabinogi as a cultural product is not just an expressive medium of creativity but also a concrete object that must be managed through constant maintenance work. In conclusion,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at maintenance is an entirely integrated process and that appeared in Mabinogi truck protest.
이 논문은 서비스로서 게임과 유지보수의 정치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2021년도 1월부터 3월 사이 MMORPG(Massively-Multi Online Role Playing Game) 마비노기 유저들이 게임 운영진을 상대로 벌인 트럭시위를 분석한다. 마비노기는 2004년에 출시된 국내 대표 MMORPG 중 하나로서, 끝이 정해져 있는 패키지 유형의 게임과는 달리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지속적인 콘텐츠 추가를 통해 18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서비스되어 왔다. 이처럼 긴 시간 서비스되면서 마비노기는 이를 준거로 지속적인 경험과 관계, 그리고 문화가 나타날 수 있는 세계로 지속되어 왔다. 하지만 2021년도 초, 마비노기를 이용하는 유저들을 중심으로 게임 운영진을 상대로 한 트럭시위가 이루어졌는데, 유저들은 전광판을 띄울 수 있는 트럭을 게임사 앞에 보내면서 그동안의 게임 서비스 과정에서 게임 플레이가 보다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데 필요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은 마비노기 트럭시위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선 장기간 서비스될 수 있는 게임에서 여러 가지 게임 고장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수선 및 유지보수에의 요구가 나타난다는 것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게임의 특정한 규칙이나 서사, 또는 게임을 이용하는 유저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주목해왔던 기존의 게임 연구 흐름과는 다르게, 게임의 개선을 위해 이루어지는 패치와 업데이트 내역을 연구의 전면에 내세우면서 그에 대한 유저들의 반응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마비노기에서 게임 라이브서비스 하에서 게임 플레이를 개선하려는 숱한 활동들이 있음을 드러내는 한편(II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임 플레이에 지장을 주는 여러 고장들이 게임 서비스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방치되어 왔음을 밝혔다(III장). 이는 마비노기에서 발생한 고장들이 많은 경우 게임 플레이를 완전히 작동 불능에 빠뜨리지는 않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이러한 고장을 직접 경험하는 한편 그에 대한 운영진의 대처를 관찰하는 유저들에게 이는 게임의 미래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으로 여겨졌다. 이와 같은 고장에 대한 유저들의 경험을 조명하면서 이 연구는 게임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마비노기 트럭시위를 낳은 원천이며 이 때문에 유저들이 트럭시위에서 게임 유지보수를 요구하였음을 분석한다(IV장).
이처럼 마비노기 트럭시위를 게임 서비스 과정에서 나타난 고장 및 유지보수의 역학 하에서 조명하고 분석함으로써 이 연구는 게임에 대한 유지보수를 요구로 내건 마비노기 트럭시위의 독특한 성격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문화상품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방식에 대한 비판을 보다 다각화하고자 한다. 문화상품에 대한 비판은 주로 상업적인 논리로 인해 문화상품의 창조성이 억압되고 동질화되었다는 식으로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마비노기라는 문화상품의 경우 그것이 온전히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이 게임 서비스 과정 동안 적절히 유지보수되지 않고 있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마비노기라는 문화상품이 창조성의 표현 매체일 뿐만 아니라, 부단한 유지보수 작업을 통해서 관리되어야 할 구체적인 객체이기도 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유지보수가 마비노기에 전적으로 통합적인 과정이며, 그러한 특성이 마비노기 트럭시위 과정에서 나타났다고 주장하면서 유지보수라는 관점에서 게임 및 문화상품들을 다룰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21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90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