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방도시에서 래퍼로 살아가기 : Living as Rapp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Ethnographic Study of Daegu Rapper's Lifestyle Making and Mutual Respect
대구 래퍼의 라이프스타일 형성과 상호 존중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재홍

Advisor
황익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대구힙합씬대구래퍼라이프스타일집단의례연행상호존중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2. 8. 황익주.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힙합이 대중화된 이후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젊은 래퍼들이 인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자원이 집중된 서울이 아닌, 지방도시 대구에서 음악 만들기, 공연하기, 공동체 형성 등의 실천을 시도해온 역사와 현재를 다룬다. 연구자는 대구에서 살아가는 래퍼의 현장에 직접 찾아가 그들과 함께 래핑하고 공연을 준비하면서, 이들이 새로운 공동체를 실험하는 과정에 참여관찰한다. 또한, 연구자는 이들 존재가 자본주의 문화산업의 패권에서 비롯된 것뿐만이 아닌, 자신의 동네에서 20년 이상이 넘도록 이어져 오고 있는 공연의 역사와 상징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목격한다.
서울공화국이란 표현에서 알 수 있는 한국 사회의 불평등한 도시 지형과 힙합 경연 프로그램 쇼미더머니와 같이 스펙터클한 방송의 힘은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힙합장을 형성해왔다. 그것은 래퍼들에게 성공을 향한 욕망과 경쟁을 추동하는 중력장으로 작동한다. 많은 젊은 래퍼들은 성공을 위해 자신의 고향을 벗어나 서울로 향한다. 하지만 몇몇 대구 래퍼들은 이에 역행하는 선택과 전략을 취한다. 한국 사회는 자신의 동네에서 래핑하는 삶을 녹록지 않은 삶으로 구조화하지만, 래퍼들은 경제적 생존과 래퍼로서의 생존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협력과 존중의 양식을 새롭게 창조한다.
이렇듯 국지적인 힙합씬의 형성은 비단 대구만의 특수성은 아니다. 한국에 힙합이 자리 잡아 홍대 앞 언더그라운드 힙합씬이 탄생한 것과 거의 동시에 전국의 광역도시에는 나름의 힙합씬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대구를 중심으로 오늘날까지도 그러한 역사와 상징이 살아있는 모습에 주목한다. 2000년도에 탄생한 힙합트레인 공연이 대구 랩공연의 전성기로 이어지고, 나아가 대구만의 대형 힙합 축제를 개최하기에 이르는 역사는 대구 랩/힙합씬의 존재를 밝히는 핵심 근거가 된다. 하지만, 쇼미더머니와 같은 방송 프로그램과 결합한 대형 축제의 스펙터클 효과는 오히려 소규모 힙합공연의 씨를 말려버리는 반작용을 불러왔다. 오늘날 대구 래퍼들은 힙합씬이 쇠퇴한 현실 속에서 래퍼로 살아가기 위해 대안의 방식을 도모하고 있다.
대구 랩/힙합씬의 고유한 역사는 젊은 대구 래퍼들에게 공통 서사로 인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자신의 동네에 힙합씬이 존재하는지 확신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에 두 가지 질문을 던진다. 무엇이 이들로 하여금 랩의 세계로 발을 들이게 하였고, 나아가 여전히 그 속에서 살아가게끔 하는가? 그런데도 무엇이 이들의 래퍼되기를 불안정하게 만들며, 공동체적 인식이라 할 수 있는 힙합씬이 존재한다는 감각을 불확실하게 만드는가?
우선, 연구자는 대구 래퍼들의 주요한 세 장소인 공원, 공연장, 작업실을 따라가면서 이들이 의례적 연행과 음악 만들기 실천을 통해 스스로 택한 라이프스타일을 지속하는 모습을 참여관찰한다. 공원에서의 프리스타일 싸이퍼, 공연장에서의 다양한 공연 무대, 작업실에서의 음악 만들기와 공연 뒤풀이의 장면들은 대구 랩/힙합씬의 존재양식을 드러낸다. 본 연구는 주로 텍스트만으로 해석된 랩이 사실은 현상적으로 발화되고 사라지는 수많은 래핑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며, 이로써 래퍼는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지속적인 열정과 동기를 부여하는 문화적 수단을 취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랩과 래핑이라는 문화적 수단의 효용에도 불구하고 대구 래퍼들은 대부분은 그것과는 별개로 자신의 밥벌이를 해결해야만 한다. 심지어 랩을 더 잘하고 계속하기 위해서는 장비 구매와 음반 및 뮤직비디오 제작 등에 비용을 투자해야만 하는 현실에 놓여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실은 래퍼가 자신의 정체성에 의문을 가지게 만든다. 이들은 직업으로서의 래퍼와 힙합인으로서의 래퍼라는 두 정체성 사이에서 혼란을 겪으며, 이는 대구 래퍼들을 하나로 묶어줄 감각적이고 공동체적인 의례와 상징이 약해지는 현상과 함께 나타난다. 또한, 생애 단계에 따라 거주, 취업, 군입대와 같은 생계 문제에 직면한다. 진로의 갈림길에 서게 된 이들에게 랩머니라는 표상은 단순히 랩으로 번 돈만이 아닌, 랩으로 먹고살 수 있는 이상(理想) 또는 랩을 포기하지 않고 살아가는, 즉 힙합인 그 이상(以上)으로 의미화된다. 이들은 공연을 통해 랩의 가치가 돈으로만 환원되지 않는 것임을 분명히 느끼지만, 자본주의의 가치체계에 의해 그 감각이 퇴색되는 현실을 마주한다.
힙합씬에 대해 래퍼 각자가 그리는 미래상은 조금씩 다르다. 대구 래퍼들이 꿈꾸는 공동의 미래상은 흐트러진 퍼즐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다. 어떤 래퍼에게 랩/힙합은 철저히 자본주의 논리에 합목적적으로 부합해야 하는 반면, 어떤 래퍼에게는 본질적으로 낭만적이어야 한다. 랩 자체가 자기 존중을 강조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퍼즐의 균열을 가중시킨다. 매체 기술의 발달과 함께 나타난 작업실 정신이 그 예이다. 작업실 정신은 래퍼가 스스로에게 끝없는 생산을 강제하면서 작업물을 자기 존중만을 위한 토대로 활용하는 나르시시즘을 의미한다. 이는 솔직함과 폭력성이 양면적으로 구성된 디스라는 랩과 래핑으로 현현한다. 래퍼들은 서로의 작업과 래핑을 평가하고 깎아내리는 행위를 솔직함과 자기 존중의 미덕으로 포장하지만, 그와 함께 상호 존중이 가능한 토대를 잃어버린다.
연구자는 이렇듯 상호 존중이 무너진 현실에서 새로운 공동체적 선순환을 가능케 할 대안을 사운드브릿지라는 힙합 프로젝트 집단으로부터 발견한다. 사운드브릿지는 대구와 부산 출신의 댄서와 래퍼, DJ 등이 합심하여 만든 단체로서 오프라인, 힙합공연, 로컬리즘에 대한 사적 진정성을 추구하면서도 한국 힙합씬 전반에 대한 공적 관심을 놓지 않는다. 소리를 연결하는 다리라는 의미에 걸맞게 대구와 부산, 나아가 전주에 이르는 다양한 지방도시 출신의 힙합인을 한데 모아 힙합공연이라는 의례와 상징의 재발명을 시도한다.
하지만 이러한 실험적 실천이 대구 힙합이라고 하는 지역적 표상의 건설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대구만의 무엇이라 할만한 지역성을 프로젝트 집단과 힙합공연 내에서 실현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대구 래퍼들은 오히려 이러한 지역성이 배타성을 낳을 것이라고 본다. 덕분에 이들은 더 개방적일 수 있지만, 그만큼 더 응집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역설은 한국 사회에서 지방 힙합공연이라는 꿈의 (불)가능성을 가리킨다. 그럼에도 대구 힙합씬의 개방적인 특성은 동시에 더 넓고 상호적인 지방도시의 연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품고 있다.
대구 래퍼들은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개인화된 작업실에 고이는 것만이 아니라, 풍부한 도시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공동 작업실을 만들어 그곳에서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를 형성한다. 이들의 미래에 대한 기획과 투사는 소유적 존재양식이 아닌, 탈존적이고 상호적인 존재양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폐쇄성과 배타성이 아닌, 상호성과 개방성으로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이들의 실험은 현시대에 그 자체로 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임을 역설한다.
This ethnographic study deals with the history and present that young rappers, who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hip-hop became popular in Korean society, have attempted to make music, perform, and form a community in Daegu, not in Seoul, where human, socio-cultural, and economic resources are concentrated. The researcher visits the rappers field living in Daegu in person, rapping with them and preparing for a performance, and conducting participant-observation in the process of experimenting with a new community. In addition, researchers witness that these beings not only stem from the hegemony of the capitalist cultural industry, but also from the history and symbol of performance, which has continued for more than 20 years in their neighborhood.
The unequal urban landscape of Korean society, which can be seen from the expression Seoul Republic, and the power of spectacular broadcasting, such as the hip-hop contest program Show Me the Money, have formed a highly centralized hip-hop field. It works as a gravitational field for rappers to drive desire and competition for success. Many young rappers leave their hometowns and head to Seoul for success. However, some Daegu rappers take choices and strategies that go against this. Korean society structures the life of rapping in its neighborhood into an uncomfortable life, but rappers create a new style of cooperation and respect in the process of promoting economic survival and survival as rappers.
As such, the formation of local hip-hop scenes is not unique to Daegu. As hip-hop was established in Korea, the underground hip-hop scene in front of Hongdae was created, and at the same time, its own hip-hop scene was formed in metropolitan cities across the country. This study focuses primarily on Daegu and focuses on the appearance of such history and symbols even today. The history of the "Hip-Hop Train" performance, which was born in 2000, leading to the heyday of Daegu rap performances and further holding Daegu's own large hip-hop festival, is a key basis for revealing the existence of Daegu rap/hip-hop scenes. However, the spectacular effect of large festivals combined with broadcasting programs such as Show Me the Money rather caused a reaction that dried up the seeds of small hip-hop performances. Today, Daegu rappers are seeking an alternative way to live as rappers in the reality that hip-hop scenes have declined.
The researcher follows the three main places of Daegu rappers, parks, venues, and studios, and participant-observes them continuing their own lifestyle through ritual performance and music making practices. Freestyle cypher in the park, various performance stages in the venues, music making in the studio, and scenes of after-party reveal the existential mode of Daegu rap/hip-hop scene. This study argues that rap interpreted mainly by text is actually completed by a number of rapping that are phenomenally uttered and disappearing, and that rappers can take cultural means of continuous passion and motivation for their lifestyles.
Each rapper's future image of the hip-hop scene is slightly different. The common vision of the future that Daegu rappers dream of consists of disorganized puzzle pieces. For some rappers, rap/hip-hop must be strictly relevant to capitalist logic, while for some rappers, it must be essentially romantic. The fact that the rap itself takes a form that emphasizes self-esteem adds to the cracks in this puzzle. An example is the studio spirit that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The workroom spirit refers to narcissism in which rappers use their work as a foundation for self-respect while forcing endless production on themselves. This is manifested by diss rap(ping), which consists of both honesty and violence. Rappers evaluate and undermine each other's work and rapping as a virtue of honesty and self-esteem, but along with that, they lose the foundation for mutual respect.
Researcher finds an alternative to enabling a new community virtuous cycle in this reality where mutual respect has collapsed from a group of hip-hop projects called Sound Bridge. Sound Bridge is an organization created by dancers, rappers, and DJs from Daegu and Busan, and pursues private authenticity in offline, hip-hop performances, and localism, but does not let go of public interest in the entire Korean hip-hop scene. In line with the meaning of a bridge connecting sounds, hip-hop people from various local cities, including Daegu, Busan, and even Jeonju, will gather together to try to reinvent the ritual and symbol of hip-hop performance.
However,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is experimental practice will lead to the construction of a regional representation called Daegu Hip-Hop.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alize Daegu's own locality within the project group and hip-hop performances. Rather, Daegu rappers believe that this locality will lead to exclusivity. Thanks to this, they may be more open, but it is difficult to be more cohesive. This paradox refers to the (impossible) possibility of a dream of local hip-hop performance in Korean society. Nevertheless, the open nature of the Daegu hip-hop scene has the possibility of leading to a wider and more reciprocal performance of local cities at the same tim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21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96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