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향교 유림의 재전통화와 실질적 전통성 : The Re-traditionalization and Substantive Traditionality of Hyanggyo Yurim: A Case Study of Suwon Hyanggyo
수원향교의 사례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나맹진

Advisor
강정원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향교전통전통성재전통화수호자유교도시사회주체화hyanggyotraditiontraditionalityre-traditionalizationguardianConfucianismurbansocietysubjectivation乡校传统传统性再传统化守护者儒教城市社会主体化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2. 8. 강정원.
Abstract
This thesis explores the status of hyanggyo(향교) in modern Korean urban society based on ethnographic research on Suwonhyanggyo(수원향교), which constitutes a typical case to demonstrate the socio-historical complexity of Korean hyanggyo tradition. Apart from its well-known function as cultural property or modern Confucian temple, I mainly focused on the local hyanggyo tradition and the citizens' subjectivation as the guardians of tradition. I rediscovered the vitality and vulnerability of hyanggyo tradition by analyzing the long-term social interaction centered on Suwonhyanggyo among different social actors, yurim's response to exigencies caused by COVID-19, and the patterns of life and generational practices of yurim(유림) individuals. Within the interwoven history of de-traditionaliztion and re-traditionalization, I found that the substantive traditionality regenerated in hyanggyo and incarnated into yurim, who subjectvated as the guardian of tradition, can serve as a mirror to reflect on the notion of 'the invention of tradition.'
First, I reviewed the socio-historical context of the re-traditionalization of Suwonhyanggyo to reveal the conditions of the guardian's subjectivity. Suwonhyanggyo was relocated to the south foot of Paldalsan Mountain(팔달산) at the same time as Suwon Hwaseong Fortress(수원화성), a new city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정조), was created. Subsequently,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hyanggyo tradition has been accompanied by the urbanization of Suwon. Its re-traditionalization, which began in the late 1950s, reproduced the central-local, government-scholar-folk dual structure modeled on the Joseon Dynasty. This restructuring has been realized through interaction among the collective actors, including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e central yurim of Sungkyunkwan(성균관), the local elites, and the ordinary citizens. More specifically, it resulted from the historical-moral knowledge production led by the central yurim, the reconstruction of hyanggyo landscape of jangeui(장의) organization supported by local elites, and the heritage and tourism movement promot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By utilizing the resources provided by the collective actors above-mentioned, Suwonhyanggyo formulated its politics. Hyanggyo yurims have been cultivating gurdian subjects and constructing yurim's identity connected to local hyanggyo tradition and its traditionality, with a series of pedagogies including historiography, the embodiment of the placeness, and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forms.
Next, I examined the logic of hyanggyo yurim's subjectivation as guardians through concrete historical events. Tension is inherent in the dual structure of re-traditionalization, and in the COVID-19 crisis, it was aggravated surrounding the traditionality of hyanggyo's property and ritual. In the face of exigencies such as distrust in the government, financial difficulties, and organizational vulnerability, yurim attempted to reappropriate the tradition established by King Jeongjo. They were engaged in the political-economic system they had neglected and took responsibility for the disgraceful collective memory and property issues related to Japanese colonialism. In another case, as the gathering was prohibited, they rearranged the etiquette systematized by Seonggyungwan and performed the 'Simplified Seokjeonrye(약식 석전례).' The traditionality of this ceremony was secured by ritualizing one's sincerity('jeongseong', 정성) and communication with the ancient sages through pre-ceremony speeches, writing standardized prayers, and quoting Confucian classics. Articulated with history and morality through the mediation of traditions, they actively pursue the continuity of the local Confucian tradition in a series of discontinuities and become subject to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s guardians of tradition.
Finally, I attempted to discover the logic of the regeneration of substantive traditionality by inquiring into the individual and generational life of hyanggyo yurim. Most of the yurims were seniors over 70, and they shared a narrative pattern of historicizing their life and returning to tradition after retirement. Those who had experienced de-traditionalization tended to overcome the discontinuities of their lived experiences with traditionality. Studying('gongbu', 공부) the tradition evoked their sentimental emotions towards the past and made them value their connections with the practice. Thus, they have been trying to maintain balance in the situation of the religiousization movement led by the central yurim, the intensifying gender contradiction, and the generation gap regarding the literacy of Chinese characters. Their intentionality towards an imagined distant essence in their memory and the order of things were revealed in the fusion or coexistence with other religions, female counterparts, and young generations, where they also promoted the de-traditionalization within the Hyanggyo tradition. As these patterns of social practice and individual life continuously reproduced, the regeneration of substantive traditionality became sustainable in the fluid Confucian community of urban society.
It is modernity that prioritizes the younger generation's resistance to the past. The life and practice of yurim with complex historical consciousness emerged as the other to us. Their return to the local tradition may continue to be a unique cultural pattern in the future aging society and serves as a vital object for anthropologically approaching the ways of life.
본 논문은 수원향교를 한국의 향교(鄕校) 전통의 사회역사적 복잡성을 드러내는 전형적 사례로 설정하여 그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를 통해 현대한국 도시사회에서 향교의 위상을 고찰한다. 문화재 또는 유교 교단으로서의 향교를 넘어 지역적 향교 전통 및 전통 수호자로서의 시민들의 주체화에 착안한다. 이를 중심으로 수원향교를 둘러싼 각 집단행위자 간의 장기적 상호작용과 코로나19에 따른 위기에 대한 대응, 개별행위자들의 삶의 방식과 세대적 실천에 주목함으로써 향교 전통의 생명력과 취약성을 재발견한다. 아울러 다차원적으로 교차하는 탈전통(de-traditionalization)과 재전통화(re-traditionalization)의 역사적 과정에서 전통의 수호자로서 주체화된 향교 유림의 삶의 방식인 실질적 전통성(substantive traditionality)을 검토하여 그들을 거울로 삼아 `전통창출론'을 성찰하여 현대한국에서 전통이라는 범주의 의미를 재조명한다.
본 논문은 우선 수원향교 재전통화의 역사적 맥락과 수호자 주체성의 조건을 정리하였다. 수원향교는 정조 시대의 신도시인 수원화성이 조성됨과 동시에 팔달산 남쪽에 옮겨 세워졌단. 그때부터 지역적 향교 전통은 수원시의 도시화와 동반해 왔다.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향교 유림의 재전통화는 ①국가와 지자체, ②성균관의 중앙 유림, ③지역사회의 유지, ④일반 시민 간의 상호작용에서 조선시대와 유사한 중앙-지방, 관-학-민 이중구조를 재생산하였다. 이는 중앙 유림이 주도하는 역사·도덕 지식생산, 향교 경관과 장의(掌議) 조직에 주력한 유지들의 향교 중건, 그리고 국가와 시민사회가 주도하는 관광화와 문화재화 등 운동들이 교차하는 과정이다. 그 와중에 수원향교도 자기만의 정치를 형성하였으며, 다방면의 집단행위자에게서 받은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역사 편찬과 장소성 체현, 전통문화 재현 등 다양한 교수법(pedagogy)으로써 향교 전통의 수호자 주체를 육성하면서 전통성에 결부된 향교 유림이라는 정체성을 구성해 왔다.
이어 본 논문은 구체적 사건을 통해 향교 유림이 수호자로서 주체화되는 논리를 검토하였다. 향교 재전통화의 이중구조에는 긴장이 내재하며 코로나19 위기에서 향교 재산과 의례의 전통성 문제를 둘러싸 격화하였다. 정부에 대한 불신과 재정 곤란, 조직의 취약성 등 위기에 당면한 향교 유림은 일제강점기 이래의 치욕적 집단기억과 재산 문제를 책임지었다. 그들은 경시하였던 도시사회의 정치경제에 새롭게 투신하면서 정조에서 비롯된 전통을 재점유하도록 하였다. 또한, 집합이 금지된 상황에서 그들은 성균관에서 체계화된 예법을 개편하여 `약식 석전례(略式 釋奠禮)'를 봉행하였다. 식전 연설과 축문 쓰기, 경전 인용 등 수단으로 자신의 정성과 성현과의 소통을 의례화하여 석전의 전통성을 확보하였다. 담론과 실천에서 전통을 중개로 역사와 도덕을 긴밀히 맺음으로써 그들은 불연속에서 창발적으로 향교 전통의 연속성을 추구하여 책임감이 더욱 강한 전통 수호자로서 주체화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향교 유림의 개인적·세대적 삶을 고찰하여 실질적 전통성이 재생되는 논리를 검토하였다. 향교 유림은 대부분 70대 이상의 고령자로서 삶을 서사적으로 역사화하여 노후의 인생에서 전통으로 회귀한다는 공통의 패턴을 보였다. 탈전통을 겪은 세대에 속한 그들은 전통성을 통해 삶의 불연속을 연속시키고, 전통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향교 전통에 감정을 이입하거나 가치를 부여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중앙 유림이 주도하는 종교화 운동과 치열해진 젠더 모순, 그리고 한문에 관한 세대 차이에서 공부 실천으로 화합과 균형을 이루도록 지속해왔다. 타 종교와 여성, 젊은 세대와의 융합이나 공존에서 그들은 향교 전통 내의 탈전통을 추진하면서 계속 기억에서의 더 먼 과거와 사물 질서에서의 더 본질적인 듯한 존재를 지향하여 실천해 왔다. 이러한 집단적 실천의 패턴이 개인들의 삶의 방식과 일치함에 따라 도시사회의 유동적 유교공동체에서 실질적 전통성의 재생이 가능해졌다.
현대성은 과거에 대한 미래 세대의 저항을 우선시한다. 이 와중에 역사의식이 복잡한 시니어 세대에 속하는 향교 유림의 삶과 실천은 중요한 타자로 부각한다. 향교 전통으로 향하는 그들의 회귀는 향후 노령화 사회에서 계속 주목할 만한 문화적 패턴일 수도 있고, 인류학적으로 전반적 삶의 방식에 접근하는 데에 중요한 사례가 될 수도 있다.
本文将水原乡校视作可反映韩国乡校传统的典型案例,通过对其进行民族志调查,考察了当代韩国城市社会中乡校的实际地位。本文不仅着眼于乡校的文化遗产或儒教教坛功能,更着重分析了地方社会的乡校传统与地方市民的传统守护者主体化,从而通过阐释水原乡校相关社会行动者之间的互动来重新发现乡校传统的生命力与脆弱性。由此本文讨论了去传统化(de-traditionalization)和再传统化(re-traditionalization)反复交织的历史过程中主体化为传统守护者的乡校儒林们的实质传统性(substanive traditionality)——一种生之方式,以此为鉴反思传统发明论并重新审视现代韩国社会传统这一范畴的意义。
本文首先整理了水原乡校再传统化的历史脉络与守护者主体性之条件。随着朝鲜正祖年间新城市水原华城落成,水原乡校也移建至八达山南麓。自此,地方乡校传统便与水原的城市化始终相伴。20世纪50年代后半,乡校儒林们兴起再传统化运动,在国家与地方自治团体、成均馆的中央儒林、地方社会有志以及一般市民的互动之下,与朝鲜时期类似的中央-地方、官-学-民的二重结构得以再生产。这是中央儒林主导的历史·道德知识生产、有志们投身的乡校景观与掌议组织重建、以及国家和市民社会主导的旅游开发和文化遗产运动交织的过程。其间,水原乡校利用各方提供的资源开始经营自己的政治。乡校儒林们通过编纂历史、场所性具身化、传统文化呈现等诸多教学法(pedagogy)培养乡校传统的守护者主体并建构作为儒林的身份认同。
由此本文通过记述具体事件探讨了乡校儒林主体化为守护者的逻辑。实际上,乡校再传统化的二重结构中本就内含张力,而这一张力更是于新冠疫情期间随着乡校财产和仪式传统问题而浮上水面。乡校儒林们面临着财政困难、组织羸弱和对政府的不信任等危机,决心积极解决财产问题,承担起日本殖民时期的屈辱的集体记忆与历史责任。他们重新投身城市社会的政治经济体制中,意图重新占有正祖时期的历史传统。此外,面对疫情期间的禁止聚集政策,他们改编了成均馆系统化的礼法、奉行略式释奠礼,通过式前演讲、祝文写作、经典引用等手段来表达自己的精诚并仪式化与圣贤的沟通,从而确保了自身的传统性。在这些话语与实践中,历史和道德经由传统而紧密结合,乡校儒林们也在断裂中创造性地追求着乡校传统的延续,主体化为更具责任感的传统守护者。
最后,本文通过考察乡校儒林个人与世代的人生模式,探讨了实质性传统再生的逻辑。乡校儒林们大部分年逾七旬,他们将自己的人生叙事历史化地阐释,并展现出一种让后半生向传统回归的模式。作为历经去传统化的一代人,他们通过实现传统性来弥补自身人生历程的断裂,又在工夫传统的过程中对其注入情感、赋予价值。由此,他们试图通过工夫实践来化解中央儒林主导的儒教宗教化运动、愈演愈烈的性别矛盾以及关于汉文使用的世代差异,以此求得平衡。在与异教、女性和青年的融合与共存之中,他们也推动了乡校传统内部新的去传统化,始终朝向自身人生中更久远的过去与事物秩序中好似更本质的存在而实践。这种集体实践与个体人生的模式相耦合,使得实质传统性得以再生于城市社会的这一流动的儒教共同体中。
现代性始终更重视未来世代对过去的抵抗。对此,历史意识更为复杂的旧世代的乡校儒林们的生与实践构成了重要的他者。朝向乡校传统的这种回归不仅是日后老龄化社会中值得持续关注的文化模式,也将会是人类学迈向全面考察生的重要案例。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21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5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