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냉전 초기 한국 국제정치 지식의 재구성 : The reconfiguration of knowledge about international politics in Korea in the early Cold Wa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옥창준

Advisor
장인성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글로벌국제관계학한국국제정치학사국제정치학지정학국제사회론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2022. 8. 장인성.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process of reconfiguration and reconstruction of knowledge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Korea during the Cold War period. Currently, the existing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Korean international politic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One view holds that there is reason to treat the history of Korean international politics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is view, analyzing the history of Korean international politics, which is the periphery of the global knowledge field, is not a viable academic research subject in itself. The other view is that it is significant to organize the history of Korean international politics to define Korean-style international politics. Both these studies share the fact that Korean international politics was formed in connection with external knowledge. These studies are not interested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international politics.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and path of the formation of Korean international politics while restoring the historical context. In particular, the early Cold War, from liberation to the mid-1960s, was treated as a period when the early appearance of Korean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was formed. The reasons for selecting this period as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e history of Korean international politics are as follows. This period is a transition period in terms of knowledge order. This is not explained only by Americanization. Rather, this was close to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knowledge system based on Cold War Korea. The Cold War Korea was not a Terranullius where U.S. international politics was unilaterally propagated and transplanted. The reality of international politics faced by Korea during the Cold War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facing Korea during the Cold War was difficult to explain only with American international politics, which focuses on relations between equal sovereign states. Therefore, the history of Korean international politics during this period was not only a one-sided propagation of American international politics but also a time when the legacy of the knowledge system under the imperial-colonial order was revisited to provide with a novel interpretation on the existing Cold War order. All knowledge is bound to be interpreted through the eyes of existing accumulated knowledge.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 exclusive and reconstruction of such a knowledge system shows the Korean response pattern well. First of all, the fastest appearance of the knowledge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the context of liberation was the geopolitical discourse. PYO Moonhwa proposed a geopolitical alternative to establishing a neutral buffer state in Korea through the Introduction to Korean Geopolitics. However, such an idea was difficult to implement in reality a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began. So PYO Moon-hwa later tried to justify Koreas Cold War diplomacy geopolitically rather than establishing a neutral buffer state. PYO Moon-hwa revived imperial Japans geopolitical knowledge system to explai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uperpowers of the Cold War. In Korea, which was not a major power, many Korean geopolitical researchers paid attention to condition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the search for Korean unification, rather than external conditions such as changes in international affairs. This was a perspective that was maintained within Korean geopolitics even after the acceptance of Anglo-American style geopolitics(political geography). As such, in the case of Korea, geopolitics started as a knowledge system that considered the survival of Korea during the Cold War. Meanwhile, courses on international politics in Korea were created in universities after liberation. It was strongly conscious that international politics is a discipline that differs from the existing Japanese/European style of political science. The fact that international politics is an Anglo-American science was received wisdom for LEE Yong-hee, who installed the first course on international politics in Korea, and CHO Hyo-won, who published the first book on international politics. Like geopolitics, Koreas survival was an important issue for Korean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tists. CHO Hyo-won tried to devise Koreas Cold War diplomatic strategy by utilizing the U.S. international politics of the time. CHO Hyo-won introduced realist international politics based on the logic of the modern state but eventually acknowledged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powerful and weak countri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CHOs view, Koreas diplomatic alternative was to conform to the foreign policy of the great powers. LEE Yong-hee reinterprets the Cold War order based on the logic of topos(場所). Lee Yong-hee argued that to analyze the reality of the Cold War, a new approach is needed to critically look at international politics that abstracts European experiences. Rather,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uthority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the Cold War camp established through the unequal distribution of power, LEE Yong-hee paid attention to how the current world was formed by expanding international politics and in which direction international politics will change in the future amid the Cold War. LEE Yong-hees international politics sought to reconstruct Koreas international politics, which can analyze the current order and critically overcome it. LEE Yong-hee appropriately utilized the knowledge of Anglo-American international politics. The United Nations, which emerged after World War II, was highly anticipated as a new international organization replacing the League of Nations. In the case of Korea, which wanted to gain international legitimacy through the approval of the United Nations, expectations for the United Nations were considerable. However, the United Nations status as a universal international organization was faltering as the U.S. and the Soviet Union, permanent members of the Security Council, began to confront each other during the Cold War. In this situation, international lawyer PAK Zai-sup tried to justify the United Nations in terms of international society. PAK Zai-sup interpreted that the United Nations guarantees the protection of international order through collective security. The intervention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in the Korean War prov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the United Nations is the guardian of international justice. On the other hand, LEE Han-key strongly criticized PARK for interpreting the United Nations simply as a guardian of international justice, distinguishing between order and justice. The United Nations itself was not a just institution, but an institution that maintained the status quo of the current order. LEE Han-key emphasized that order does not necessarily mean justice in the arena of Cold War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at he emphasized a fine-grained distinction between political and legal things. This study does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 knowledge of social science is formed in the international circulation of knowledge.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the dynamics of reality that could spread knowledge. It is also possible to criticize that this approach emphasized exogenous conditions, not endogenous development of knowledge. However, the newly emerging international political knowledge was more of a process of reconstructing reality by struggling to rea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Cold War and various combinations of knowledge. If this period is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Korean international politics, it may not be because the system was established through this period, but because the view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the lens of reality was finally accepted in Korean society. As such, this study attempted to reorganize the history of Korean international politics into the history of Korean intellectuals who tried to reinterpret reality amid changes in the knowledge system.
본 연구는 한국 사회과학을 역사적으로 성찰하는 연구로서 제국-식민지 체제가 해체되고, 냉전 체제가 등장하는 이행기에 한국에서 국제정치 지식이 재편되고 재구성되는 역사적 과정을 분석했다.
현재 한국 국제정치학사를 바라보는 기존의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있다. 먼저 하나는 한국 국제정치학사 무용론으로 이들은 글로벌 지식장이 출현하는 맥락에서 굳이 한국 국제정치학을 특별히 대접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태도를 취한다. 이들이 보기에 글로벌 지식장의 주변인 한국 국제정치학의 역사를 정리하는 일은 그 자체로 의미 있는 학술적 연구 대상이 되지 못한다. 오히려 글로벌 지식장에서 통용되는 문제의식을 따라 글로벌 지식장을 직접 공략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했다.
다른 한 편, 한국적 국제정치학을 추구하기 위해서 한국 국제정치학사를 정리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대개 이들은 한국에서 진행된 국제정치학의 전개 과정에서 등장했던 소수의 한국적 연구 성과를 현창할 뿐이다. 한국적 문제의식을 과도하게 강조한 나머지, 한국적 연구 성과가 생산될 수 있었던 현실의 맥락을 구체적으로 따지지 않기 때문에, 이들 연구는 한국 국제정치학이 외부의 지식과의 연계 속에서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은폐하는 구실을 했다.
두 입장은 대비되는 듯 보이지만, 한국 국제정치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에는 관심을 두고 있지 않다는 지점에서 의견이 합치한다. 이처럼 한국 국제정치학사 연구를 통해 한국적 연구가 등장했던, 혹은 한국 국제정치학계가 직면하고 있었던 당대의 역사적 맥락을 드러내지 못했기 때문에, 기존의 한국 국제정치학사 연구는 논의가 축적되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버리곤 했다. 한국적 문제의식을 향한 강조만 계속 반복될 따름이었다. 한국의 독특한 역사적 경험을 포착하는 국제정치학사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앞으로 글로벌 지식장의 강한 구심력 속에서 한국 국제정치학 지식장이 지닌 독특함에 대한 감각은 취약해질 가능성이 크다. 이 독특함이 꼭 글로벌과 대비되는 의미에서의 한국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해야, 국제관계학이 지닌 서구중심주의를 비판하고 다원적인 국제관계학을 추구하는 글로벌 국제관계학(Global International Relations)과의 활발한 소통도 궁극적으로 가능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학사 연구가 간과했던 역사적 맥락을 복원하면서 한국 국제정치학이 형성된 과정과 경로를 분석한다. 특히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 중반에 이르는 냉전 초기를 한국 국제정치학계의 초기 모습이 형성된 시기로 다루었다. 한국 국제정치학의 역사에 있어 이 시기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이 시기는 지식 질서의 이행기로서 일본 제국 지식 체계의 유산이 냉전이라는 새로운 질서의 도래 속에서 미국산 국제정치학과 조우하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 국제정치 지식의 수용은 지금까지 한국 국제정치학사 연구가 가정했듯이, 단순한 미국화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는 냉전기 한국이라는 장소에 기초하여 지식 체계가 재구성되는 과정에 가까웠다. 적어도 지식 질서의 관점에서 냉전기 한국이라는 공간은 미국산 국제정치학이 일방적으로 전파되고 이식되는 무주지가 아니었다.
냉전기 한국이 처한 국제정치 현실은 서구의 국제정치적 현실과 달랐다. 냉전기 한국이 직면한 국제정치 상황은 평등한 주권국가 간의 관계에 주목하는 미국산 국제정치학만으로는 설명되기 어려웠다. 그렇기에 이 시기의 한국 국제정치학의 역사는 미국산 국제정치학의 일방적인 전파만이 아니라, 일본산 지식 체계의 유산이 냉전 질서를 해석하기 위해 소환되고, 조심스럽게 재발견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모든 지식은 기존의 축적된 지식의 눈을 통해 재해석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지식 체계의 전유(專有)와 재구성이야말로 한국적인 대응 양상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해석했다.
우선 해방의 맥락에서 가장 발 빠르게 지식장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한국을 둘러싼 지정학적 담론이었다. 표문화는 을 통해 한국에 중립 완충국을 건설한다는 지정학적 대안을 제시했다. 이는 당대의 현실 속에서 표문화가 구상한 조선 지정학이었다. 냉전기 초강대국인 미국과 소련의 대립이 본격화되면서 표문화의 완충국 구상은 현실에서 구현되기 어려웠다. 이후 표문화는 한국의 진영 외교를 지정학적으로 정당화하는데 힘쓴다. 냉전 지정학이 모색되는 상황에서 냉전이라는 진영 간 대결을 설명하기 위해 국방과 권역을 중시했던 일본산 지정학이 조심스레 부활했다.
냉전기 한국이 직면한 구조와 환경을 벗어나기 위해서 한국이 활용할 수 있는 지정학적 선택지는 그리 많지 않았다. 강대국이 아니었던 한국에서, 여러 지정학 연구자들은 국제정세의 변동과 같은 외부의 조건보다는 문화의 계발, 국내의 단결, 통일의 모색 등 한반도 내부의 조건을 관심을 기울였다. 이는 표문화 이후 영미 지정학(정치지리학)의 수용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한국 지정학자들 안에서 줄곧 유지된 관점이었다. 이처럼 한국의 경우 지정학은 냉전기 한국의 생존을 고민하는 지식 체계로서 출발했지만, 냉전의 전개와 완화에 부합하는 한국의 생존술을 고민했다.
한편 한국에서 국제정치학 관련 강좌는 해방 이후 대학을 중심으로 설치된다. 국제정치학은 기존의 일본산(유럽산) 정치학 지식 체계와는 계보를 달리하는 학문이라는 점이 강하게 의식되었다. 한국에서 최초로 국제정치학 관련 강좌를 설치한 이용희와, 국제정치학 관련 서적을 최초로 출간한 조효원 모두 국제정치학이 영미 학문이라는 사실을 의식하고 있었다. 지정학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생존은 한국의 국제정치학자들에게도 중요한 문제였다. 조효원은 당대 미국산 국제정치학을 활용하여 한국의 냉전 외교 전략을 고안하고자 했다. 조효원은 근대국가의 논리에 기초한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을 소개했지만, 결과적으로 힘의 배분에 따른 강대국과 약소국의 근본적 차이를 인정했다. 조효원의 논리 구조 속에서 한국의 외교적 대안은 강대국의 외교정책에 순응하는 것뿐이었다.
이용희는 장소의 논리에 입각하여 냉전 질서를 독창적으로 재해석한다. 이용희는 양 진영으로 분열된 냉전의 현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유럽적 경험을 추상화한 국제정치학이 아니라, 근대국가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불평등한 권력 배분을 통해 수립된 냉전기 진영의 경험에서 도출된 권위권(權威圈)의 분석에 집중하면서, 이용희는 지금의 세계가 어떻게 국제정치적으로 팽창되면서 형성되었는지, 냉전이라는 현대 국제정치의 등장 속에서 앞으로의 국제정치가 어느 방향으로 변모해나갈지를 두고 좀 더 넓은 지평에서 관심을 기울였다. 한국의 지정학이 냉전적 구조와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전략을 고안하기 위해 분투했다면, 이용희의 국제정치학은 냉전의 경험을 통해 현재의 질서를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넘어설 수 있는 방향에서 한국의 국제정치학을 재구성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재구성 과정에서 이용희는 영미 국제정치학이라는 지적 체계를 적절하게 활용했다.
지정학이 새로운 국제 환경 속에서 국가의 생존을, 국제정치학이 국제 환경을 분석하고 그 안에서 국가의 위치를 고민했다면, 국제사회론도 존재했다. 흔히 이상주의적 접근으로 여겨지기도 하는 국제사회론은 냉전기에 어떻게 변용되었을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한 국제연합은 국제연맹을 대체하는 새로운 국제 조직으로서 많은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국제연합의 승인을 통해 국제적 정당성을 얻고자 했던 한국의 경우, 국제연합을 향한 기대감은 상당했다. 하지만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인 미국과 소련이 냉전 속에서 대립하기 시작하면서, 보편적 국제기구로서 국제연합의 위상은 흔들리고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국제법학자 박재섭은 주권국가의 상위체로서 국제연합을 국제사회론 차원에서 정당화하고자 했다. 박재섭은 국제연합이 국제연맹을 대체하고 보완한 국제사회의 제도로서, 집단안전보장을 통해 국제질서의 수호와 국제적 차원의 정의를 담보하는 기관이라 해석했다. 국제연합군의 한국전쟁 개입은 국제연합이 질서와 정의의 수호자라는 점을 국제사회에 증명한 행위였다.
반면 이한기는 박재섭이 국제연합을 국제질서와 국제정의의 수호자라 단순하게 해석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면서, 정의와 질서를 분별했다. 국제연합은 그 자체로 정의로운 기관이라기보다는 현 질서를 현상유지하는 기관일 뿐이었다. 이한기는 냉전 국제정치의 현실에서 질서가 꼭 정의를 의미하지 않으며, 정치적인 것과 법적인 것의 세밀한 분별을강조했다. 이와 같은 논쟁을 거치면서 국제사회론은 국제법보다는 국제정치학에 가까운 논의로 전환되고 있었다. 이는 냉전기 한국의 현실이 국제정치적 국제사회론 해석과 좀 더 부합했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사회과학 지식이 국제적 지식 순환 과정에서 형성된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를 단순하게 사회과학 지식의 전파사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지식의 전파가 가능할 수 있었던 현실의 역학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 같은 접근이 지식의 내생적 발전이 아니라, 외생적 조건을 강조했다는 비판도 가능하다. 하지만 당대의 시점에서 새롭게 등장한 국제정치 지식은 내생적으로 발전하기보다는, 냉전이라는 구조와 여러 지식의 조합 속에서 현실을 힘겹게 읽어내면서 재구성하는 과정에 가까웠다.
한국 국제정치학의 역사에서 이 시기가 의미가 있다면, 이 시기를 통해 제도가 수립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현실의 재편 속에서 현상을 국제정치적으로 포착하고 했던 시각이 한국 사회에 비로소 수용되었다는 점에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국제정치학의 역사를 미국 사회과학사의 전파사가 아니라, 지식 체계의 변동 속에서 현실을 재해석하고자 했던 한국 지식인의 역사로 새롭게 구성하고자 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21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83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