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Beethoven Violin Sonata No. 7 in C Minor Op. 30 No. 2의 작품분석 및 연주자적 해석 : A Form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as a Player in Beethoven s Violin Sonata No. 7 Op. 30 No.2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배정윤

Advisor
이경선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베토벤바이올린소나타제7번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2. 8. 이경선.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how the motives constituting the themes of a piece function as subject matter with a goal to investigate how they can be interpreted in the perspective of the performer through by German composer and pianist Ludwig van Beethoven.
is a piece composed from 1801 to 1802. At the time, Beethovens hearing disorder that had its onset around 1796 had started to worsen, which led him to recuperate in Heiligenstädter from the spring of 1802. His will that was written there implies that he had been suffering a loss of hope, an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uch sudden adversities and change of heart is unrelated to the change in his style of music.
, compared to the other two pieces of Op. 30, No. 6 and No. 8, is larger in scale with four movements and holds stronger emotions and a more dramatic narrative flow. Other pieces including , , , and were composed during the same time, and pieces composed afterwards conveys Beethovens elevated spirits reflecting his conquest of despair and acceptance of fate.
ha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matches the traditional classical sonata format, presenting two contrasting themes in the exposition and solving the conflict between keys in the recapitulation. However,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is piece in the perspective of the performer in that it shows much potential for building up both variation and coherence through the diverse application of motives throughout movements.
The thematic usage of contrasting movements in organic relationship can be found in many of Beethovens pieces. By analyzing such characteristics, various types of texture displayed by the ensemble of the violin and piano, and musical features such as dynamics, articulation, and expressions, this study attempts to contemplate on how the performer can convey their interpretation of music based on theory through performance.
본고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루트비히 판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바이올린 소나타 중에서 를 통해 주제(theme)들을 구성하는 동기(motive)들이 작품에 어떠한 방식으로 중심소재로서 작용되는지 연구하고, 나아가 연주자적인 관점으로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들을 탐구하는 것에 연구목적 및 의의가 있다.
은 1801-1802년 동안 작곡된 작품이다. 이 무렵 베토벤은 1796년경부터 발병된 청각장애가 1801년부터 증세가 악화되자 1802년 봄부터 하일리겐슈타트(Heiligenstädter)에서 요양을 하던 중이었는데, 이곳에서 쓰인 유서를 통해 그가 희망을 잃은 채 좌절하던 상황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그의 인생에 드리운 갑작스러운 고난과 심경의 변화들은 작품 경향의 변화에 무관하다고는 볼 수 없을 것이다.
은 작품번호 30의 나머지 두 곡인 제 6번, 제 8번보다 규모가 큰 4악장 구성이며 더욱 격렬한 감정과 극적인 서사의 흐름이 담겨져 있다. 이외에도 , , , 등이 이 시기에 완성되었으며 이후의 작품들에서도 운명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절망적인 위기를 극복해낸 그의 고양된 정신을 느낄 수 있다.
제시부를 통한 서로 대조적인 성격의 두 주제의 제시, 재현부를 통한 조적 갈등의 해결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바이올린 소나타 7번은 전형적인 고전시대 소나타 형식과 개념적인 틀을 공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대조되는 음악적 분위기를 통해 다양한 특색을 지니는 각 악장들은 일관된 동기들의 활용을 통해 서로 통일감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또한 베토벤의 작법과 유사한 부분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그의 초기작품에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는데, 중기작품에서는 동기들의 활용에 대해 더욱 다양한 시도를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성격적 대조를 이루는 각 악장들이 주제적 활용 측면에서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갖는다는 음악적 특징은 그의 다수의 작품을 통해 나타나며 그의 음악어법과도 긴밀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다양성과 통일성을 구축하는 데 많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주자적 해석에 관한 연구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독주악기인 바이올린과 피아노로 구성된 앙상블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짜임새(texture), 이와 더불어 다이내믹, 아티큘레이션, 나타냄말과 같은 음악적 요소들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연주자적 관점에서의 다양한 해석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30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3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