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클리블랜드미술관 소장 <산시청람도> 연구 : A Study of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 in the Cleveland Museum of Ar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의랑

Advisor
장진성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산시청람도(山市晴嵐圖)소상팔경(瀟湘八景)산시(山市)춘산도(春山圖)와유(臥遊)16세기회화의경향(傾向)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22. 8. 장진성.
Abstract
본 논문은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Cleveland Museum of Art)에 소장되어 있는 〈산시청람도(山市晴嵐圖),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의 시각적 특징에 주목하여 이 작품의 주제를 재고(再考)하려는 시도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산시청람도〉가 소상팔경도 가운데 한 장면이 아닌 이상적인 봄의 정경(情景)을 나타낸 그림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필자는 〈산시청람도〉에 보이는 이례적인 특징들을 16세기 조선의 새로운 회화(繪畫)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산시청람도〉는 이곽파(李郭派) 화풍(畫風)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산시청람도〉는 초국가적(超國家的) 양식에서 비롯된 국적(國籍) 혼란의 이력에 따라 동아시아 삼국 사이의 회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예로 거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거시적인 논의 외에 〈산시청람도〉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개별 연구는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 필자는 〈산시청람도〉의 시각적 특징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시도하였다.
〈산시청람도〉는 산시(山市)의 도상(圖像)에 근거하여 소상팔경도의 한 장면인 산시청람(山市晴嵐)을 나타낸 그림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산시청람도〉에는 소상팔경도의 일반적인 경향과 구분되는 시각적 특징들이 확인된다. 첫째, 〈산시청람도〉에는 산시청람 이외에도 소상팔경도의 다른 장면인 연사모종(煙寺暮鐘)과 어촌석조(漁村夕照)를 연상시키는 모티프들이 공존해 있다. 둘째, 〈산시청람도〉에는 소상팔경의 내용과 무관한 장면들이 혼재(混在)되어 있다. 〈산시청람도〉 화면 좌측의 원경(遠景)에 보이는 성시(城市)나 화면 전반(全般)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은 소상팔경의 기존 내용과 무관한 장면들이다. 이처럼 〈산시청람도〉에 보이는 시각적 특수성은 이 그림이 전형적인 소상팔경도가 아닌 다른 의도가 반영된 그림일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조선 초기에 제작된 소상팔경도의 특성을 고려해 본다면 〈산시청람도〉의 주제는 재고(再考)될 수 있다. 현전하는 조선 초기 소상팔경도의 순서는 계절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어 있다. 계절의 순환에 따른 소상팔경의 전개는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 1418-1453)의 주도로 제작되었던 「비해당소상팔경시첩(匪懈堂瀟湘八景詩帖)」에서도 잘 드러난다. 사계절을 살피는 일은 농본(農本) 국가였던 조선의 군주와 관료들에게 중요한 임무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16세기 조선에서 제작된 소상팔경도는 계절의 속성 안에서 또한 이해될 수 있다. 계절의 속성을 고려할 경우 산시청람의 장면은 계절상 봄에 해당된다. 한편 고려시대 이래로 시(詩)와 그림에서 주점(酒店)의 깃발은 봄의 흥취(興趣)를 연상시키는 소재였다. 따라서 깃발이 휘날리는 주점으로 묘사된 산시의 도상(圖像)은 산시청람의 주요 모티프 이외에 봄의 경관을 나타낸 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처럼 산시의 도상이 지닌 또 다른 맥락의 의미를 고려해 본다면 〈산시청람도〉는 봄의 정경(情景)을 나타낸 그림으로 이해될 수 있다.
〈춘산도(春山圖)〉에 대한 서거정(徐居正, 1420-1488)과 이승소(李承召, 1422-1484)의 제화시(題畫詩)에는 바람에 날리는 주점의 깃발이 공통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이외에도 제화시에서 서술된 〈춘산도〉에는 〈산시청람도〉와 시각적으로 유사한 장면들이 다수 포착된다. 서거정과 이승소의 제화시를 통해 본 〈춘산도〉는 춘산(春山)의 아름다운 경관으로 인해 감상하는 이들이 마치 도원(桃源)에 와 있는 듯한 착각에 들게 하는 와유(臥遊)를 위한 그림이었다. 〈산시청람도〉에 나타난 동적(動的)인 인물들의 모습은 산시의 도상과 더불어 만물이 소생하는 봄의 활기를 보여준다. 또한 〈산시청람도〉에 보이는 소상팔경의 모티프들은 이 그림에 이상적인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산시청람도〉와 〈춘산도〉에 보이는 시각적‧내용적 유사성은 〈산시청람도〉가 〈춘산도〉와 같이 봄의 정경을 이상경(理想景)으로 제시하고 와유를 실천하게 해주는 그림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한편 화면의 좌측 원경에 보이는 성시는 한편 〈산시청람도〉에 보이는 이례적인 특징들은 16세기 조선의 화단(畵壇)에 나타난 새로운 경향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계회도(契會圖)를 비롯한 16세기의 일부 작품에는 소상팔경의 개별 모티프가 부분적으로 등장한다. 또한 이흥효(李興孝, 1537-1593)는 가을의 경치[秋景]를 나타내며 평사낙안(平沙落雁)과 동절추월(洞庭秋月)의 장면을 차용(借用)하였다. 아울러 최립(崔岦, 1539-1612)은 소상팔경의 네 장면을 가을 또는 저녁의 시간적 속성에 맞춰 감상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예들은 여덟 장면으로 완성되었던 소상팔경의 개념이 점차 해체되기 시작한 것을 보여준다. 나아가 분리된 소상팔경의 개별 모티프들은 그것에 내재된 속성에 근거하여 독립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산시청람도〉를 비롯한 이 시기의 작품들에는 다양한 모티프와 장면들이 등장한다. 이러한 특징은 앞서 살펴본 나 최립의 감상평(鑑賞評)을 통해 본 이흥효의 병풍(屛風) 그림에서도 확인된다. 제시된 그림들은 묘사된 산수 경관을 매개로 감상자가 와유에 이를 수 있도록 돕는 그림이었다. 따라서 16세기에 제작된 일부 산수화에 보이는 여러 장면과 모티프들은 와유를 가능하게 하는 핍진(逼眞)한 산수 경관의 묘사 과정에서 등장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이 과정에는 명대 전기(前期) 절파(浙派) 화풍의 요소들이 활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16세기의 일부 산수화와 〈산시청람도〉가 공유한 시각적 특징들은 16세기 조선의 화단에 등장한 새로운 경향을 보여준다.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the subject of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 a painting in the collection of the Cleveland Museum of Art, while focusing on its visual characteristics. The author proposes the possibility that the work does not show a scene from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but rather an ideal spring scenery. Furthermore, its unusual features seem to indicate a novel painting trend of 16th-century Joseon Korea.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the painting is believed to represent the scene Mountain Market in Clearing Mist from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because of the depiction of a market place in the mountains. But there are visual elements that distinguish this work from conventional paintings of the Eight Views. To begin with, there are additional motifs which could be identified as other scenes from the set such as Evening Bell from Mist-Shrouded Temple and Fishing Village in Evening Glow. Secondly, there are also scenes that do not bear any connection to the theme of the Eight Views. The painting thus combines the content of the Eight Views with unrelated elements such as the walled city in the distance on the left side of the composition and diverse figures dispersed in the entire painting. The distinct visual aspects of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 suggest that the subject of the painting differs from those of pictures of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

When considering the traits of paintings of the Eight Views produced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he subject of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 deserves reconsideration. Existing paintings from early Joseon Korea follow the natural order of the seasons. Observing the four seasons was an important task for the king and his officials in the agrarian society. Accordingly, paintings of the Eight Views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are best understood in context with their seasonal properties. If the paintings a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yearly cycle, then the scene Mountain Market in Clearing Mist corresponds with the season of spring. Since the Goryeo period, however, the flag of a tavern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excitement and liveliness of springtime. The image of the marketplace illustrated by the tavern with a flag can thus be interpreted as a symbol of spring. In this context, the painting can be considered a landscape embodying the vigor of spring. In poems inscribed on the painting Chunsan do (Spring Mountain), the poets Yi Seungso (1422-1484) and Seo Geojeong (1420-1488) both mention the pubs flag waving in the wind. Upon seeing Chunsan do through its inscribed poems, one can discover a number of visual parallels between that painting and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 in the Cleveland Museum of Art. Similar to Chunsan do, the author regards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 as a painting portraying a spring scenery as an ideal landscape and a means for applying wayu (Ch. woyou, dream-wandering or dream journey), the concept of wandering through a landscape painting in imagination. By comparing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of the walled city to the particular position of the Gwanghwa Gate and the Gyeongbok Palace in Bibyeonsa Gyehoe do (Gathering of Officials at the Border Defense Council, 1550),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walled city in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 represents a place related to the court. It seems that this walled city inside the ideal landscape alludes to the concept of dae-eun (reclusion at court), since officials at the time wished to elevate their government service to superior value.

In addition to that, the unconventional features of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 can be understood as a new painting trend in 16th-century Joseon Korea. A number of works from the 16th century, including gyehoe do (paintings of the gathering of officials), partially depict motifs from the Eight Views. Originally, paintings of the Eight Views consisted of a set of eight scenes, but gradually individual scenes began to appear independently. This can explain why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 features several scenes from the Eight Views at once. In addition to that, paintings of that period tend to combine diverse motifs and scenes in one painting. These characteristics may be rooted in the attempt to depict the landscape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for wayu practices, while applying painting techniques from the Zhe school of the early Ming dynasty. In this way, the peculiarities of Mountain Market, Clear with Rising Mist and certain other landscape paintings demonstrate a new trend which developed in 16th-century Joseon Korea.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1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3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