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53~1955년 한국민사원조사령부(KCAC)의 조직과 활동 : Korea Civil Assistance Command 1953~1955: Organization and Activit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수현

Advisor
이동원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민사원조사령부케이캑(KCAC)민사구호와재건구호원조기술원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2. 8. 이동원.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Korea Civil Assistance Command (KCAC), operated directly under the Commander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which executed United States aid to Korea from 1953 to 1955 for relief and rehabilitation in Korea. KCAC was founded as a civil affairs organization of UNC and an aid organization of United States as the counterpart of United Nations aid. Considering the military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KCAC, this research examines the meaning of relief and rehabilitation activities after the Korean War.
As a successor to the United Nations Civil Assistance Command in Korea (UNCACK), KCAC was established to maintain the UNC's authority in civil assistance. While the Economic Coordinator limited the functions of KCAC to relief and short-term reconstruction, the UNC assigned the KCAC a broad civil affairs mission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relief and rehabilitation in Korea. As the Office of the Economic Coordinator could not administer overall Korean aid, KCAC was able to carry out aid projects using various funds and functioned as more than an operating body of OEC. KCAC's activities were diversified with FOA funds spent on technical assistance contracts or other projects different from emergency relief in wartime.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KCAC was designed for effective civil affairs operations. The headquarters and subordinate elements of KCAC were organized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the Korean government. KCAC headquarters were operated with health, agriculture, social affairs, electricity, and transportation branches to cooperate with the ministries of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Along with the planning and supply divisions, these were the main departments of the KCAC headquarters. KCAC field teams were established in each province to coordinate with the local government. The KCAC was composed mainly of soldiers, but civilian personnel were in charge of professional civil administration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KCACs civil affairs operation. Since there was no civil affairs personnel training within the U.S. Army, KCAC had difficulties recruiting professional civil affairs personnel. KCAC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recruiting UNKRA personnel rather than training new civil affairs professionals. This reflected the will of the aid authorities to make use of saving expenses while maximizing the use of existing organizations.
KCAC's relief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efficiently distribute relief supplies to prevent disease, starvation, and unrest in Korea. KCAC allocated CRIK supplies to refugees, war sufferers, orphans, widows and the destitute. Although these activities partially responded to the relief needs, they did not adequately consider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KCACs relief activities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releasing the relief materials introduced into Korea as much as possible. This was justified in that it contributed to stabilizing Korean society. KCAC shared its relief responsibility with foreign voluntary agencies preparing for its transfer.
KCAC provided technical assistance to aim to train Korean professionals and transition civilian administration to peacetime. To train professional personnel, KCAC supported some Korean officials to have higher education in the US, and KCAC personnel provided lecture. In addition, KCAC was responsible for transferring public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functions which had served as a military necessity in wartime to peacetime needs. Professional advisors assigned to KCAC were dispatched to furnish technical advice for Korean officials. Furthermore, KCAC indirectly provided the professional know-how necessary to rehabilitate the infrastructure through engineering services. In the case of a project that concluded a contract with a technical company, KCAC provided technical assistance by supervising the on-site project process or coordin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acting parties.
KCAC carried out transitional role in various aspects. KCAC completed the relief aid of US Army, which started during the Korean War and continued after the war and partially attempted technical assistance and economic aid that usually operated under the US State Department. Through this, KCAC expanded the goals of its assistance and mediated the transition from wartime relief aid to peacetime non-military aid. KCAC transformed the non-military aid focused on supporting military operations in wartime into a form for peacetime. As KCAC was created with the necessity for continuing the responsibility of UNCs emergency relief aid, KCACs transitional characteristic was embodied from the beginning. Due to its inherent limitations, KCAC was unable to operate with a long-term plan for itself. However, this became a condition for KCAC to be engaged in various aid projects. KCAC provided a basis for relief and rehabilitation of postwar Korea since it reflected the postwar transitional period itself in it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본고는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유엔군사령관 직속 기구로서 미국의 대한원조를 실질적으로 집행한 한국민사원조사령부(KCAC: Korea Civil Assistance Command)의 조직과 활동을 고찰했다. KCAC은 전후 주한미군의 민사기구이자 유엔원조에 대응하는 미국의 원조기구였다. 본고는 KCAC의 군사·경제적 성격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전후 구호와 재건 활동의 실상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1953년 7월 1일 KCAC은 전후 유엔군사령부의 대민 원조 실무 권한을 유지하고 유엔 원조기구와의 관계를 명확하게 정리하는 차원에서 설립되었다. 유엔군사령부는 KCAC에 광범위한 민사임무를 부여하여 구호와 재건을 동시적으로 추구하도록 했다. 원조 기획 및 조정 기능이 경제조정관실로 귀속되며 KCAC의 역할은 구호와 단기적인 복구로 제한되었지만, 경제조정관실이 원조 전반을 지휘하지 못하게 되면서 KCAC은 실질적인 미국 원조의 집행기구로서 다양한 계통의 자금을 활용하여 원조를 집행할 수 있었다. 특히 FOA 원조자금을 사용해 전시의 긴급구호와 다른 성격의 원조사업을 진행하면서 KCAC의 활동이 다변화되었다.
KCAC의 조직은 민사임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한국정부 구조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KCAC 본부에는 중앙정부 부처와의 협력을 위해 보건, 농업, 사회, 전력, 교통 등 각 부문별로 부서가 설치되었고, 각 도에는 KCAC 지방팀이 설치되어 지방 정부와의 협력을 모색했다. 또한 KCAC은 원조 기획과 물자 관리 권한을 보유한 부서를 통해 원조 진행 과정 전반에 관여하였다. 이와 더불어 KCAC이 원활하게 민사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민간인력이 필요했다. 당시 미 육군 내에서 민사기능이 퇴조하고 있던 상황에서 KCAC은 민사인력을 충원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KCAC은 새로운 민사인력을 양성하기보다는 UNKRA 인력을 차출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이는 대한 원조를 집행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기존 인력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한 원조당국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었다.
KCAC의 구호원조는 한국의 질병, 기아, 사회불안을 예방을 위해 구호물자를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특히 KCAC은 긴급구호원조인 CRIK 원조를 계승하며 CRIK 물자를 중심으로 구호원조를 실시하였다. 이는 전후 한국의 구호 수요에 부응하는 측면이 있었지만, 한국사회의 실정을 충분히 고려한 것은 아니었다. KCAC의 구호원조는 한국에 도입된 구호 명목의 물자들을 최대한 방출하려는 차원에서 진행되는 특성을 보였는데, 이는 한국사회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정당화되었다. KCAC의 구호원조는 구호의 책임을 외국민간원조단체와 분담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KCAC은 한국인 전문인력의 양성과 평시 민간행정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기술원조를 집행했다. KCAC은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한국인의 미국 연수를 추진하거나 KCAC 인력이 직접 나서서 단기적인 교육을 실시했다. 이와 더불어 KCAC은 전시 군사적 필요성 아래 통제되었던 한국의 시설과 행정업무를 평시에 맞게 전환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를 위해 KCAC에 소속된 전문 자문가를 현장에 파견해 기술적 조언을 제공하는 한편, 기술용역을 통해 사회기반시설을 복구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인 노하우를 간접적으로 제공했다. 기술회사와 계약을 체결하는 프로젝트의 경우 KCAC은 현장의 사업 진행 과정을 감독하거나 계약 당사자들 간 연락을 조율하는 방식으로 기술원조를 진행했다.
이처럼 KCAC은 전후라는 상황 변화에 따라 복합적인 성격의 기구로 거듭났다. KCAC은 6·25전쟁기에 시작된 미 육군부의 구호원조를 마무리하는 동시에 미 국무부의 기술‧경제원조를 부분적으로 시도함으로써 활동 영역과 목표를 확대하였다. 이와 함께 전시 군사작전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춘 원조업무를 평시에 적합한 형태로 전환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KCAC은 전쟁 직후 전시의 긴급구호원조를 단기간 지속할 필요 속에서 탄생한 조직이었던 만큼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활동하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KCAC은 전후라는 과도기의 시기적 특성이 그 조직과 활동에 그대로 반영되면서 1950년대 중반 이후 구호와 재건이 본격화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1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6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