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연결어미와 조사 '은/는'의 결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combination of connective endings and the particle 'eun/neu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윤예

Advisor
문숙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은/는'연결어미틀화제대조종속접속절부사절함축의관습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2. 8. 문숙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ist the connective ending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particle eun/neun. Also, this paper will explore why eun/neun can only be combined with these particular ending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cases where eun/neun is combined with a noun phrase. However, 'eun/neun'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units other than noun phrases.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eun/neun and a connective ending requires a different explanation than in previous studies. In this paper, it is analyzed that eun/neun has two functions when it is combined with a connective ending: a frame-topic marker and a contrastive marker. Depending on each function, the functions of the clause led by a connective ending are also divided. Eun/neun as a frame-topic marker combines with a linking clause, and eun/neun as a contrastive marker combines with an adverbial clause.
Eun/neun, which functions as a frame marker, is usually used at the beginning of a sentence to limit the interpretation area of ​​the main clause. If we look at the usage of the frame marker 'eun/neun', it usually combines with a connective ending that has a temporal or a conditional relationship. In Korean, among th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clauses such as connection, contrast, comparison, alternative, cause, concession, only temporal or conditional clause can limit the interpretation area of the following clause. For example, connective endings that indicate temporal relationships constitute the temporal framework of the following clause. The conditional clause can also constitute the framework in which the following clause is felicitous. Accordingly, only temporal and conditional clauses can be combined with the frame-topic marker eun/neun, which constitute a framework of the following discourse.
Eun/neun, which functions as a contrastive marker, is usually used immediately before the predicate of the main clause. It usually combines with adverbial clauses which indicates a manner, purpose, or result of the main predicate. In particluar, eun/neun can combine only when the purpose or the result clause is a complement clause. Manner clauses or some purpose·result clauses have in common that they can modify the main clause predicate and affect the way which the predicate is realized. Unlike other types of clauses, manner or some purpose·result clauses do not indicate event or proposition separate from the main clause. Rather, they indicate the way or the content of the main predicate.
There are cases where the connective endings and eun/neun are gram- maticalized as a single unit. -goneun/goseoneun/takaneun/eoseoneun is one example. They are usually used to indicate a negative result of the preceding clause, and they have required their own unique syntactic properties. Therefore, -goneun/goseoneun/takaneun/eoseoneun has to be regarded as grammaticalized units which went through the conventionalization of implicature. These forms are mainly used to change the addressees present behavior or status by stating its negative consequences. The special meaning of these forms were previously only implicature. However, as those implicature were frequently repeated, they became conventionalized and established itself as the meaning of these forms.
본고는 조사 은/는이 결합 가능한 연결어미들을 목록화하고, 왜 이들 어미에서만 은/는의 결합이 가능해지는 것인지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기존의 논의들은 대체로 은/는이 명사구에 결합하는 경우를 중점적으로 다루어 왔다. 그러나 은/는은 명사구 외에도 다양한 단위에 결합하는데, 특히 연결어미에 결합하는 은/는은 명사구에 결합할 때와 다르게 설명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은/는이 연결어미에 결합할 때 틀 화제 표지와 대조 표지라는 두 가지 기능을 갖는다고 분석하였다. 각 기능에 따라 결합 가능한 연결어미의 기능 또한 나뉘는데, 틀 표지가 결합한 연결어미 절은 대체로 종속접속절의 지위를, 대조 표지가 결합한 연결어미 절은 대체로 부사절의 지위를 갖는다.
틀 표지로 기능하는 은/는은 대개 문장 첫머리에서 사용되어 주절의 해석 영역을 한정한다. 틀 표지 은/는의 쓰임을 살펴보면 은/는은 시간적 관계 혹은 조건적 관계를 갖는 연결어미에 주로 결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어에서 연결어미를 통해 표지되는 절과 절 사이의 관계, 즉 연결, 대조, 비교, 대안, 원인, 양보 등의 여러 관계 중 해석 영역 한정이라는 기능과 어울릴 수 있는 관계가 시간 혹은 조건뿐이기 때문이다. 시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연결어미는 후행절이 성립하는 시간 영역을 한정하며, 조건절 또한 주절이 참이 되는 영역을 한정한다는 점에서 이 둘은 유사한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시간절과 조건절은 해석 영역을 한정하는 은/는과도 함께 어울릴 수 있게 된다.
대조 표지로 기능하는 은/는은 대개 주절 서술어 바로 앞에서 사용되어 대조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는 방법절 혹은 일부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절에 주로 결합하는데, 특히 목적절이나 결과절은 필수적 부사절로 실현될 때만 은/는이 결합 가능하다. 은/는이 결합 가능한 방법절 혹은 일부 목적·결과절은, 모두 주절 동사를 수식하여 동사가 실현되는 구체적인 모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은 여타 연결어미가 이끄는 절들과 달리 주절과 별개의 사태·명제를 나타내지 않고, 동사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나 내용을 나타낸다.
연결어미와 은/는이 하나의 단위로 굳어진 경우도 존재한다. -고는/고서는/다가는/어서는은 후행절이 언제나 부정적인 내용만을 나타내고, 은/는을 생략하면 문장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미 하나의 단위로 굳어졌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고는/고서는/다가는/어서는을 함축의 관습화를 거치며 형성된 결과물로 본다. 이들 구성은 청자가 이미 습관적으로 수행하고 있거나 곧 수행하기로 마음먹은 행위, 혹은 현재 처해 있는 상태에 대해 부정적인 결과를 언급함으로써 청자의 행위·상태를 변화시키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고는/고서는/다가는/어서는 구성의 특수한 의미는 발화 전체의 정보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함축이 빈번히 발생하다가 그것이 의미 자체로 굳어지면서 생겨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2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8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