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함북 육진 방언의 음운 변이 연구 : 咸镜北道六镇方言的音韵演变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미혜

Advisor
김성규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함북육진방언경흥지역어음운현상세대별변이성조형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2. 8. 김성규.
Abstract
本文以咸镜北道六镇方言变种之一的中国吉林省珲春地区方言为调查对象,旨在厘清不同年龄段的音韵现象及其之间的声调变化过程,并探讨其变化的趋势和原因所在。
本文共有五章。第一章主要介绍了研究主题、研究目的和相关的研究现状,并对调查资料和论文结构进行说明。
第二章讨论了咸镜北道六镇方言的音素及调素(toneme)目录。咸镜北道六镇方言的辅音目录由19个辅音音素构成。该方言具有/y/、/w/两种滑音,并拥有8种单元音。就该方言的音素目录而言,并不存在代际之间的差异。另外,该方言拥有低调[L]和高调[H]两种调素。
第三章从元音和谐、元音变音(umlaut)、前舌母音化、复辅音单一化、词干末尾ㄹ脱落等音韵现象出发,探讨了咸镜北道六镇方言中音韵现象的变化过程、趋势及其原因,并针对每一种音韵现象,具体讨论了从80岁高龄话语者到年轻话语者的代际之间的实际表现差异。
首先就元音和谐而言,该地区的80岁年龄层话语者普遍遵守这一发音规则,而到了60岁年龄层,开始有发音规则的变化或随意反复的现象出现。元音变音和词干末尾ㄹ脱落的现象亦如是,虽然它们在该地区80岁话语者之间是必然存在的规律,但随着代际的变化,年轻话语者当中遵守该规律的人越来越少。其次就前舌母音化而言,其完全不见于80岁年龄层话语者之间,但20岁年龄层话语者身上出现这一现象的频率达到了近80%。不过,这一现象的出现并不是语言内部的原因所致,而是受到了当地语言教育的外部影响。最后就复辅音单一化而言,以ㄼ尾音的体词词干和ㄺ尾音的谓词词干为例,不同代际之间存在不同的单一化现象:高年龄层倾向于ㄹ的脱落,而低年龄层则倾向于ㅂ、ㄱ的脱落。
第四章以咸镜北道六镇方言中体词和谓词的声调类型为中心,考察了体词+助词和谓词+语尾两种形式当中所出现的代际之间的类型差异。本章在叙述该方言的声调时,以80岁年龄层话语者的声调类型作为该地区方言的基本类型,首先对其进行分析,进而考察了其中出现的代际之间的变化。
首先是体词的声调类型。从不同的词干音节来看,单音节词干可分为L型和H型两种类型,若再考虑体词+助词中的词干声调,H型又可分为H1型和H2型;双音节词干可分为LL型、LH型和HL型;三音节词干可分为LLL型、LLH型、LHL型和HLL型四种类型;四音节词干则同时出现LLLL型、LLLH型和LLHL型。
接下来是谓词的声调类型。从不同的词干音节来看,首先单音节词干可以分出五种类型:第一种类型是固定式低声调,其词干声调永远以低调(L)呈现;第二种类型是固定式高声调,其词干声调永远以高调(H)呈现;第三、四、五种类型的词干声调并不固定,随着添附语尾的不同而或高或低。其次,双音节词干可分为LL型、LH型和HL型三种类型,三音节词干则可分为LLL型、LHL型和HLL型三种类型。
以上述声调类型为基础考察其中出现的代际之间的类型变化,可以发现其变化主要存在两种形式,一是不同类型之间的整体变化,二是某一类型当中结合特定助词和语尾后的特殊变化。
第五章对本文主要内容进行了梳理总结,并指出本文存在的问题以及今后改进的方向。
본고는 咸北 六鎭 방언의 변종인 中國 吉林省 琿春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연령에 따른 음운 현상과 성조형의 변화 과정, 변화 추세 및 변화하는 기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에서는 연구 주제와 연구 목적을 밝혔고 본고의 연구 주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 성과들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조사 자료와 논문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2장에서는 함북 육진 방언의 음소 및 성조소 목록에 대해 기술하였다. 함북 육진 방언의 자음 목록은 19개의 자음 음소로 이루어졌고 이 지역어는 /y/, /w/ 두 개의 활음을 가지고 있으며 8개의 단모음이 존재한다. 함북 육진 방언의 음소 목록에 대해 살펴본 바에 의하면 음소 목록에 있어서 세대 간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이 지역어는 저조[L]와 고조[H] 두 가지 성조소를 가지고 있다.
3장에서는 함북 육진 방언에서 보이는 음운 현상의 변화 과정, 변화 추세 및 그 원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모음조화, 움라우트, 전설모음화, 자음군단순화, 어간말 ㄹ 탈락과 같은 음운 현상에 대해 검토하였다. 각 음운 현상을 살펴봄에 있어 먼저 80대 화자를 대상으로 한 노년층에서의 실현 양상을 기술한 다음 세대별 화자들 간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모음조화 현상부터 보면 이 지역의 80대 화자에게서는 잘 지켜지다가 60대 화자에게서부터 모음조화가 파괴되거나 수의적인 현상으로 나타난다. 한편 움라우트, 어간말 ㄹ 탈락의 경우 또한 이 지역의 80대 화자에게는 필수적인 현상이지만 젊은 세대로 갈수록 비교적 낮은 실현율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 전설모음화 현상을 살펴보면, 이 지역의 80대 화자에게서는 전설모음화가 적용된 개신형이 전혀 확인되지 않지만 20대 화자에게서는 거의 80%에 달하는 실현율을 보인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 보이는 개신형의 출현은 순수한 언어 내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교육에 의한 표준어의 차용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자음군단순화 현상에 대해 살펴본 데 의하면, ㄼ 말음 체언 어간과 ㄺ 말음 용언 어간은 ㄹ이 탈락하여 ㅂ 또는 ㄱ으로 단순화되던 데로부터 ㅂ, ㄱ이 탈락하면서 ㄹ로 단순화를 겪는 자음군단순화 규칙의 적용 양상이 달라진 것이 확인된다.
4장에서는 함북 육진 방언의 체언과 용언의 성조형에 대해 살펴본 뒤 곡용형과 활용형에서 보이는 세대별 성조 실현의 차이에 대해 기술하였다. 함북 육진 방언의 성조를 기술함에 있어 80대 화자의 성조형을 이 지역의 기본 성조형으로 보고 먼저 노년층의 성조형에 대해 살펴본 다음 체언과 용언 성조형에서 보이는 세대 간의 차이에 대해 기술하였다.
체언의 성조형을 어간 음절수에 따라 살펴보면 1음절의 경우 L형과 H형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고 곡용형에서 보이는 어간 성조를 함께 고려하면 H형 또한 H1형과 H2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지역의 2음절 체언 어간 성조형은 LL형, LH형, HL형으로 나타나고, 3음절 체언 어간 성조형은 LLL형, LLH형, LHL형, HLL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4음절 체언 어간 성조형은 LLLL형, LLLH형, LLHL형과 같이 나타난다.
용언의 성조형을 어간 음절수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음절의 경우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제1유형은 어간 성조가 항상 저조로 실현되는 고정적 저조형이고, 제2유형은 어간 성조가 항상 고조로만 나타나는 고정적 고조형이며 제3유형, 제4유형, 제5유형은 결합하는 어미에 따라 어간 성조가 저조 또는 고조로 실현되는 성조형이다. 이 지역의 2음절 용언 어간이 보이는 성조형은 LL형, LH형, HL형과 같이 세 가지 유형이 있고, 3음절 용언 어간 성조형은 LLL형, LHL형, HLL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함북 육진 방언의 체언과 용언의 성조형을 바탕으로 이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체언·용언 성조형의 세대 간 변화는 크게 전체 패러다임이 바뀌는 성조 변화와 특정 조사·어미와의 결합에서만 나타나는 성조 변화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5장은 결론으로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였으며 본고의 한계 및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3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9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