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해방전후의 역사적 전환과 문학적 인식 : Perceptions of Literature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Before and After Liber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민수

Advisor
방민호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해방해방전후사관국민성관전사인민순수민족문학중간파통치적산문학학병조선의용군사후적글쓰기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2. 8. 방민호.
Abstract
The August 15, 1945 liberation was an important threshold as both a chronological (time) juncture divid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and a topological (space) rupture dividing North and South. The Korean Peninsula of the time was also one of the most intense laboratories of the nation-state in world history. In accordance with these circumstances, concepts such as liberation (independence, gwangbok [restoration of sovereignty], August 15), Joseon, nation, citizen, national borders, and literature were all in a state of convuls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ny layers of transnational narrative within literary depictions of this historical transition following liberation. In order to do so, I examine literary case studies of differing perceptions of the moment before and after liberation in terms of rupture, continuity, and post-border perspectives.
In chapter two, I examine the context of division and rupture as they are written into the literary field of the liberation period.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writers took signifiers like Joseon, nation, and literature as points of contention to make sharp distinctions between comrades and enemies as they each constructed their own theories of literature. In the struggle for hegemony between left and right over the term national literature, we can see that chronological and topological ruptures are emphasized. Shortly after the liberation, Yi Taejun, who spent the colonial period writing personal fiction (sasoseol), published Before and After Liberation (Haebangjeonhu), which internalizes the Joseon Writers League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people (inmin). This work takes the discourse of self-criticism instigated by the Korean Communist Party as its basis, makes a clear division between the time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promotes the call to be reborn as a new subject. Furthermore, he makes use of the term within-seas (haenae), as opposed to overseas (haeoe), in order to construct a narrative which draws a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Kim Dongri, in works like Rapids (Geumnyu) and Liberation (Haebang), depicts the left as an enemy who deals in terror. The pieces of literary criticism he published at the time also reveal a clear binary of hostility. Outwardly, Kim Dongri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centers on the concepts of pure literature and tradition, but its logical foundation rests on confrontation with the left. In this way, the episteme of the liberation-period literary field could be referred to as the multiplication or structuralization of division.
In chapter three, I examine the continuity of the colonization of everyday life to which the Korean Peninsula was subjected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Viewed through the conceptual framework of empire, the situation of the post-liberation Korean Peninsula was nothing more than a change in governing authority. On this point, Chae Man-sik observed sardonically that contemporary reality after the liberation was no different from the colonial period portrayed in his short story My Foolish Uncle (Chisuk). In this way, Chae Man-siks characteristic satire returns in the liberation period to expose the continuity of the firmly-rooted structure of exploi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Next, Yom Sang-seop can be taken as an author who used the novel to depict the neo-colonial field in which the meanings of the economy, everyday life, and governance were tangled together. After returning from Manchuria upon liberation, Yom Sang-seop bore witness to debates between left and right-wing writers about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minjok munhak) before fulminating that it was no different from the national literature (gungmin munhak) theory of the late-colonial era. In Dawn Breeze (Hyopung), he recalls that the fundamental issue of subordination surrounding the symbol of Joseon is not yet resolved, and experiments with the mode of neutrality. Even as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solidified, Yom Sang-seop sought to establish an inner front in his work. Novels like Red Flame (Hongyeom) and Rainstorm (Chwiu), which began serialization during the Korean War and take Seoul under DPRK rule as their setting, are examples of works that capture the continuity of everyday life and economics even in the absence of governance. Red Flame is of particular interest for its ridicule of the prevailing war discourses uselessness. The significance of Yom Sang-seops fiction from 1945 into the Korean War period is that it relativizes the ideological framing of the hostility and doesnt relegate to the other the issue of the reestablishment of the subject.
In chapter four, I reconsider the deferred writings (sahujeok geulsseugi) of student-conscript and Korean Volunteer Army authors to examine the post-border strain in their work. Lee Byung-joo and Kim Hak-cheol not only both traversed East Asia during the colonial period, but also both suffered from the generational ripples caused by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By focusing on the narrative of their inability to fully realize their potential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 can return to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a border is. Beginning with his censored piece of criticism, The Absence of the Fatherland (Jogukui Bujae) Lee Byung-joo weighs the meaning of the term fatherland against the geopolitical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readings of his debut work Novel · Alexandria (Soseol · Alleksandeuria) and novels like Kampu Ferry (Gwanbuyeollakseon) and Mount Jiri (Jirisan), I show that these works are a result of his exploration into the issue of the Korean Peninsulas nomos. In relation to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Kim Hak-cheol, who spent his life narrativizing the history of national liberation, I focus on the process by which it broke through topological and chronological restraints to return to Korea at the time of the 1987 lifting of the ban (haegeum jochi). By analyzing the bording-crossing or trans-frontière narrative on display in their work, we can see the multifaceted aspects of pre- and post-liberation history.
The August 15, 1945 liberation was referred to variously at the time as the liberation, independence, gwangbok, or August 15, and the word liberation cannot capture all the differing discourses presupposed by each term. In addition, literary historical research has referred to the succeeding period by the terms liberation period, liberation space, pre/post-liberation, immediate post-liberation, nation-building period, restoration period, American and Soviet military government period, the eight years following liberation, and so on, unable to come to a consensus. It is clear that we must encounter literary history around the time of liberation once more from the standpoint of regional configuration and reinvention. It is now time to analyze and delineate a new system of values from among these various perspectives.
1945년 8월 15일 해방은 근대와 현대를 가르는 연대기적(시간) 분기점임과 동시에 남북의 분할이라는 위상학적(공간) 단절이 한꺼번에 주어진 일대 문턱이었다. 당시 한반도는 세계사적으로도 가장 치열했던 국민국가의 실험장 중 한 곳이었다. 이와 조응하는 방식으로 해방(독립, 광복, 8월 15일), 조선, 민족, 국민, 국경, 문학 등의 개념이 말 그대로 요동치고 있었다. 이 글은 해방과 함께 주어진 역사적 전환과 이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사례들 속에서 관국민적(transnational) 서사의 다층적인 국면을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해방전후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문학적 사례들을 각각 단절과 연속, 탈경계의 차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해방공간의 문학장에 기입된 분할과 단절의 문맥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방 직후 문학가들은 조선과 민족, 문학 등의 기표를 쟁점으로 삼아 동지와 적을 준별하는 방식으로 각자의 문학론을 구축해 나갔다. 민족문학 개념을 둘러싼 좌우익 진영의 헤게모니 투쟁 과정에서 연대기적이거나 위상학적 단절이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일제 시기에 사소설에 천착했던 작가 이태준은 해방을 맞이한 뒤 인민 개념에 기초한 조선문학가동맹의 민족문학론을 내면화한 소설 「해방전후」를 문단에 제출한 바 있다. 이 작품은 조선공산당에 의하여 촉발된 자기비판 담론을 근거로 해방 전과 이후의 시간대를 구분 짓고, 새로운 주체로 거듭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더 나아가 이태준은 해내(海內)라는 용법을 구사함으로써 한반도의 안과 밖을 경계 짓는 서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다른 한편 김동리는 「급류」, 『해방』 등의 작품에서 좌익세력을 테러를 일삼는 적으로 그려내고 있었다. 당시에 그가 문단에 제출한 비평들 또한 이분법적 적대 구도가 명징하게 드러나 있다. 순수와 전통의 개념을 외장으로 두르고 있던 김동리의 민족문학론은 기실 좌익에 대한 대타 의식을 논리적 기틀로 삼고 있었다. 해방공간 문학장의 에피스테메(episteme)를 분할의 증식, 혹은 그것의 구조화라 이름 지을 수 있을 것이다.
3장에서는 일상의 식민화라는 주제 아래 해방전후 한반도를 종속하고 있었던 연속의 층위에 관하여 살피고자 하였다. 제국이라는 문제틀에서 조망하자면 해방 이후 한반도가 처한 상황은 통치 권력의 주체가 자리를 바꾼 것에 지나지 않았다. 이에 채만식은 「치숙」을 방불케 한다는 점을 들어 당대 현실이 식민지 시기와 차별화되지 않노라 냉소한 바 있다. 그가 해방공간에 다시 한번 선보인 특유의 풍자소설들은 한반도에 뿌리내린 착취구조의 연속성을 들추어낸 사례라 할 수 있다. 해방 이후 경제와 일상, 통치의 의미망이 한데 얽혀 있던 신식민화의 자장을 장편소설로 묘파해낸 작가로 염상섭을 들 수 있다. 해방을 맞아 만주에서 귀환한 염상섭은 민족문학 개념을 둘러싼 좌우익 문학가들의 쟁론을 목도한 뒤 이를 일제 말기의 국민문학론과 대차 없는 행태라 질타한 바 있다. 염상섭은 『효풍』에서 조선이라는 표상을 둘러싼 본원적 종속의 문제가 해소되지 않은 것임을 환기함과 동시에 중립의 양태를 실험코자 하였다. 분단체제가 공고하게 자리를 잡아가던 시기에 이르러서도 염상섭은 자신의 작품 안에 내밀한 전선을 구축해 나가고자 하였다. 한국전쟁기에 연재를 시작한 『홍염』과 『취우』 등의 작품은 인공치하 서울을 공간적 배경으로 삼아 통치의 공백 속에서도 일상과 경제의 연속성을 포착하는 작업에 뛰어든 사례라 할 수 있다. 『홍염』의 경우 당대에 팽배했던 전쟁 담론의 무용함을 조소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1945년부터 한국전쟁기에 걸쳐 그가 선보인 장편소설들은 이념에 근거한 적대 구도를 상대화하고, 주체 재건의 문제를 타자화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4장에서는 학병과 조선의용군 출신 작가들이 선보인 사후적 글쓰기의 의미를 재고함으로써 탈경계의 흐름에 관하여 살피고자 하였다. 이병주와 김학철은 식민지 시기에 동아시아를 횡단했을 뿐 아니라, 남북 분단에 의한 시대적 파고에 희생된 작가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해방공간에 잠재적 역량을 온전히 발휘할 수 없었던 두 사람의 서사를 주목함으로써 경계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물음을 향하여 되돌아갈 수 있다. 이병주는 그를 필화사건에 휘말리게 만들었던 평론 「조국의 부재」에서부터 한반도의 지정학적 조건과 조국의 의미를 저울질하고 있었다. 그의 실질적인 데뷔작 「소설 · 알렉산드리아」부터 『관부연락선』, 『지리산』 등의 장편소설을 독해함으로써, 그의 작품이 한반도의 노모스(Nomos) 문제에 천착한 결과물임을 살피고자 한다. 다른 한편 평생에 걸쳐 민족해방의 역사를 서사화한 김학철의 전기문학이 해금을 전후로 한 시기에 위상학적 조건과 연대기 모두를 뚫고 한반도로 돌아오는 과정을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두 사람이 선보인 관경계적(trans-frontière) 서사를 분석함으로써 해방전후사를 둘러싼 다층적인 국면을 엿볼 수 있게 된다.
1945년 8월 15일 해방은 당대에 해방, 독립, 광복, 8월 15일 등으로 제각기 다르게 호명되었으며, 각각의 용어가 전제하고 있는 담론의 상이함은 해방이라는 단어로 한데 수렴되지 않는다. 문학사 연구에 있어 8월 15일 이후를 지칭하는 용어 또한 해방기, 해방공간, 해방전후, 해방 직후, 건국기, 광복기, 미소군정기, 해방 후 8년사 등으로 공통의 합의를 이루지 못한 상황이다. 국지적인 배치와 재발명의 차원에서 해방전후의 문학사를 다시금 마주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제 공존하고 있던 각기 다른 입장들 사이에서 가치의 체계를 새로이 분류하고 분석하는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6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