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Hamidian Damage Control : 압뒬하미드 2세 정권의 정치적 피해 관리: 오스만 제국은행 점거사건(1896)과 사진 프로파간다
Occupation of the Ottoman Bank (1896) and Photographic Propagand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백경

Advisor
이은정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OttomanEmpireAbdülhamidIIArmenianQuestionOccupationoftheOttomanBankandIstanbulMassacre(1896)DamageControlPhotography.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아시아언어문명학부, 2022. 8. 이은정.
Abstract
본 논문은 이스탄불에서 벌어진 아르메니아인 학살(1896) 이후 압뒬하미드 2세 정권(1876-1909)이 구축했던 사진 프로파간다에 대해 분석한다. 1896년 8월 26일, 무장한 아르메니아 혁명연맹의 일원들이 오스만 제국은행을 공격, 직원과 손님들을 인질로 삼아 동(東)아나톨리아 지역의 개혁을 요구하였다. 이에 격노한 무슬림 군중들은 이스탄불의 아르메니아인 주민들을 공격하기 시작하였으며, 폭력 사태는 끝내 대규모 학살로 번졌다. 유럽 정부와 언론들은 아르메니아인 학살에 미온적이고 소극적으로 대응했다며 압뒬하미드 정권을 일제히 비판하였고, 심지어 술탄이 비밀리에 학살을 획책하였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격렬한 비난에 직면한 오스만 행정가들은 은행 점거에서 아르메니아인 학살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을 정권에 보다 유리한 방식으로 규정하고자 했다. 즉 학살 자체보다는 그 기폭제가 된 혁명가들의 테러 공격을 중심으로 사건을 제시함으로써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합리화하거나 적어도 그 심각성을 축소하려 했던 것이다. 따라서 오스만 관료들은 은행 점거사건에 관한 사진들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이들을 프로파간다에 활용하려 했다.
본고는 압뒬하미드 정권이 은행 점거사건을 제시하는 세 부류의 사진들(테러 공격에 가담한 아르메니아인들, 테러 공격으로 부상을 입어 병원에 입원한 사람들, 그리고 경찰이 혁명가들로부터 압수한 폭탄들의 사진들)을 어떻게 입수하고 선전에 동원하였는지 추적한다. 아르메니아인 혁명가들의 이미지를 활용하려는 시도들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오스만 정부는 은행을 습격한 뒤 망명한 혁명연맹원들의 사진을 손에 넣는 데 실패하였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경찰이 체포 및 촬영에 성공한 다른 아르메니아인 혁명가들의 사진들이 유럽 대사들의 태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없으리라는 것이 드러나면서, 이 사진들을 선전에 동원하려는 계획은 흐지부지되었다. 반면, 테러 공격으로 부상당한 피해자들의 사진은 선전용 매체의 형태로 변모하였다. 사진에 달린 캡션은 사태의 성격을 선량한 오스만 시민들에 대한 아르메니아인의 폭력 행사로 축소하려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서구의 비난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했던 압뒬하미드 정권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일련의 사건들을 본질적으로 오스만 제국에 대한 아르메니아인들의 폭력 행사로 규정한다면, 국가의 역할은 아르메니아인들이 책동한 혼란을 수습하는 것에 국한되기 때문이다. 이는 국가의 의료적 역할에 대한 새로운 이해, 즉 국가가 사회적 병리(즉, 아르메니아인이 가져온 혼란)를 해소하고 국민과 사회의 안녕과 보건을 증진해야 한다는 관념이 반영된 것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의 사진들은 널리 배포되지 않았다. 오스만 중앙에서는 이 사진들이 위험하고 예측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진 촬영자의 전략에 동의할 수 없었고, 그 때문에 이 사진들의 활용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사진의 의미는 통제하기 어렵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던 오스만 제국의 행정가들은, 이 이미지들이 원치 않는 해석들을 초래할 가능성을 깊이 우려했던 것이다. 대신, 오스만 정부는 아르메니아인의 끔찍한 테러를 암시하는 폭탄 사진들을 배포하였다. 폭탄의 이미지들은 19세기 말 유럽에서 급진주의 테러의 상징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었기 때문에, 부상을 입은 환자들의 사진들보다 더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프로파간다 매체로 간주되었을 것이다. 압뒬하미드 정권은 압수한 무기류를 보여주기 위한 전시회를 열었으며, 폭탄의 사진을 유럽의 삽화 신문들에 싣는 데도 성공하였다. 무기의 사진은 안전하고 믿을 만하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오스만 국가체제에 대한 폭력을 기록하는 사진 기록물의 하위 장르로 자리잡게 된다.
본고는 프로파간다 사진이 갖는 특정한 양식적 특징을 압뒬하미드 정권의 이데올로기와 대응시키는 단순하고 피상적인 해석을 거부하고, 사진 이미지를 의미론적으로 열려 있는 유동적인 존재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압뒬하미드의 이을드즈 사진 아카이브(Yıldız Photography Archive)에 소장된 사진들 중, 종래 연구들이 주목하지 않던 지저분하고 정돈되지 않은 사진들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결점이 있는 사진들은 국가 사진 프로젝트의 중간 산물 혹은 부산물로서, 사진의 의미와 정권의 의도와 전략들이 지속적으로 교섭, 재조정되는 과정을 읽어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This thesis traces how the Ottoman sultan Abdülhamid II (r.1876–1909) and his regime constructed photographic propaganda to settle hostile public opinion in Europe after the Armenian massacre in Istanbul (1896). On August 26, 1896, militants of the Armenian Revolutionary Federation forcefully occupied the Ottoman Bank, calling for international intervention to push the Ottoman government to implement reforms in Eastern Anatolia. The hostage standoff infuriated a Muslim mob in Istanbul and triggered mass killings of Armenian civilians in many parts of Istanbul. European governments and press harshly criticized Abdülhamid II for his passive, lukewarm attitude toward the atrocities against the Armenians and even suspected him of secretly instigating the massacre. In the face of Western opprobrium, Ottoman administrators sought to frame the event in a way more favorable to the Hamidian regime and to present the citywide massacre as thoroughly centered on and triggered by the terrorist attack by Armenian revolutionaries, thereby rationalizing, or at least offsetting, the gravity of the subsequent massacres. Accordingly, Ottoman functionaries concentrated on obtaining photographs pertaining to the Armenian attack on the bank and attempted to use them for propagandistic purposes.
The present work examines the attempts of the Hamidian regime to procure and mobilize three types of photographs on the terrorist attack: photographs of the Armenian perpetrators, the hospitalized victims, and the seized bombs that the perpetrators had reportedly planned to use. Attempts to use images of the Armenian revolutionaries were largely unsuccessful. The Ottoman government failed to obtain photographs of the bank attackers who fled overseas; the mugshots of other Armenians in custody turned out to have little impact on the European ambassadors stance on the Armenian massacres, and the Hamidian regimes plan to use them seems to have soon fizzled out. In contrast, photographs of the victims of the terrorist attacks were developed into propaganda materials. The captions given to the images reflect the Hamidian governments intention to distance itself from Western accusations regarding the Armenian massacre by reducing the event to indiscriminate, Armenian-perpetrated violence against innocent Ottomans. The photographs also suggest a novel understanding of the states medical function of providing social well-being and healthiness, which seems to have played a key role in the Ottoman governments justification for limiting its responsibility to rectify the Armenian-instigated chaos.
Nevertheless, the photographs of the hospitalized were not widely distributed. The Yıldız Palace may have disagreed with the photographers strategy, deeming it dangerous and unpredictable, and abandoned the idea of using the photographs. Aware of the open-ended nature of photographic meaning, Hamidian administrators took extreme caution not to induce unwanted interpretations of the images. Instead, they opted to disseminate photographs of bombs as appalling emblems of Armenian terrorism. The bomb images were considered safer and more reliable propaganda materials than images of wounded patients because bombs were established symbols of radical terrorism in the public imagination of fin-de-siècle Europe. The Hamidian government opened an exhibition of the seized weapons and succeeded in having photographs of the weapons published in European illustrated journals. With its safety and reliability verified, photography of weaponry soon became an established subgenre of photographic documentation of violence against the Ottoman state.
Rejecting simplistic interpretations of propaganda photography that relate certain formalistic qualities to a monolithic ideology of the Hamidian regime, this thesis attempts to approach the images as semantically fluid and open-ended. To that end, it sheds light on untidy and careless photographs in the Yıldız Photography Archive, which have received little scholarly attention, and suggests that such defective images were intermediate products or by-products of state photographic projects, reflecting the continual processes of adjusting and negotiating the images meanings and the regimes strategies.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5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7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