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중국어 명사술어문 연구 : 现代汉语名词谓语句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공범련

Advisor
박정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명사술어문구문의다의성판단동등관계귀속관계경제성원칙전체-부분수량구소유관계존재관계‘是’통시유형론적특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2022. 8. 박정구.
Abstract
본고는 구문문법, 인지문법 및 언어유형론 이론에 입각하여 현대중국어에서 명사성 성분이 직접 술어로 기능하는 명사술어문에 대해 공시와 통시 두 가지 측면에서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명사술어문은 S+NP로 도식화할 수 있고 구문문법의 관점에서 이는 완전한 도식구문으로 간주되며 S와 NP는 구문에서 논항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주어와 명사술어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선택적 의미관계가 결국 명사술어문의 형성과 인지적 해석을 결정한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나아가 통시적 변천 과정의 고찰과 기타 언어의 명사술어문 사용 양상의 비교를 통해 현대중국어 명사술어문이 가진 유형론적 특성을 밝혔다.
본고는 먼저 명사술어의 통사구조와 주어, 명사술어 간의 의미관계에 근거하여 현대중국어의 명사술어문을 판단성, 묘사성, 수량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우선 3장에서는 판단성 명사술어문의 경우, 즉 맨명사, N1ㆍN2 구조, 시간명사, 장소명사, 의문대명사, X的 구조가 술어로 쓰이는 현상을 고찰하였다. 판단성 명사술어문은 여러 형식적 유형을 갖지만 주어와 명사술어 간의 의미관계는 크게 동등관계와 귀속관계 두 가지로 나뉜다. 동등관계를 나타내는 구문에서 명사술어는 주어의 등가물이며 지시적이다. 귀속관계를 나타내는 구문에서 명사술어는 주어의 속성을 나타내며 비지시적이다. 아울러 3장에서는 판단성 명사술어문이 경제성 원칙에 기초하여 대상-등가물, 대상-속성의 의미관계의 틀에서 하나의 구문으로 관습화되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어서 4장에서는 묘사성 명사술어문의 사용 양상, 즉 AㆍN 구조가 술어로 기능하는 현상을 분석하였다. 묘사성 명사술어문의 경우 형식적 측면에서 일음절 성질형용사, 이음절 상태형용사, ABB형식의 상태형용사, 중첩형식의 상태형용사, 부사+성질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여 형성된 구조가 술어 위치에서 직접 출현할 수 있다. 또한, 의미적 측면에서 명사술어는 주로 주어의 속성을 설명, 평가하거나 상태를 묘사하는 것이다. 이는 주어와 술어 간의 전체-부분의 관계와 형용사의 서술성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수식 기능을 하는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주어의 구별적인 특징을 드러내야 하고, 충분한 정보량을 갖고 있으며, 피수식 명사는 일반적으로 일가명사 특히 사람의 신체부위를 표현하는 명사이거나 사물의 구성 부분을 나타내는 명사여야 한다. 술어로 쓰인 AㆍN 구조에서의 명사는 일반적으로 비지시적이고 비슷한 의미를 표현하는 동사술어문, 형용사술어문, 이중주어문으로 전환되면 중심어 명사는 모두 지시적 성분이 된다. 끝으로 5장에서는 수량성 명사술어문의 경우, 즉 NumㆍCL 구조, NumㆍCLㆍN 구조, 一ㆍNclㆍN 구조가 술어로 쓰이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도량사를 사용하는 NumㆍCL 구조는 대상-수량 구문에 쓰여서 주어의 양적 속성을 설명한다. NumㆍCLㆍN 구조는 소유주-피소유물, 장소-존재물 구문에 쓰여서 유정성 주어, 장소 주어의 어떠한 정태적 특징을 설명한다. 一ㆍNclㆍN 구조는 대상-속성 구문에서 술어로 기능하고 사람인 주어의 어떠한 정태적인 특징을 평가한다. S+NumㆍCL 구문은 경제성 원리로 인해 원형인 S+[NumㆍCL+A] 구문에서 형용사가 생략된 것이다. S+NumㆍCLㆍN 구문에서는 소유주인 주어와 피소유물인 NumㆍCLㆍN 술어, 두 가지 논항 역할로 충분히 구문을 이룰 수 있으며 이는 소유를 나타내는 동사 有의 기능과 일치하기 때문에 有가 출현하지 않는 것이다. S장소+NumㆍCLㆍN 구문의 형성과 인지적 기재도 마찬가지다. S+一ㆍNclㆍN 구문의 형성은 주어와 임시양사로 쓰인 신체부위와의 전체-부분 관계에서 기인한다. 특수한 상황에서 부분은 전체보다 더 두드러질 수 있고 부분의 특징을 가지고 전체를 설명하는 것이 인간의 일반적인 인지과정이다. 어휘의 다의성처럼 동등관계, 귀속관계, 전체-부분 관계, 수량관계, 소유관계, 존재관계 등 의미관계를 나타내는 판단성, 묘사성, 수량성 등 하위 구문들은 명사술어문의 네트워크에서 다의적으로 연결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명사성 성분을 술어로 사용하는 현상은 항상 계사의 사용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으므로 6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명사술어문에 是를 부가하여 是 구문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 전환 후 두 구문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비교를 통해 다양한 명사술어에 붙는 是의 성질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판단성 명사술어문에는 是를 부가할 수 있는데, 명사술어문에 비해 是 구문의 주술관계가 보다 명확하고 주어와 술어가 구조적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해당 명사술어문은 복문의 종속절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명사술어문은 구조적 확장에 의해 제한되고 주절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S+AㆍN의 술어에 是를 붙일 수 있는지의 여부는 형식에 따라서 내부적 차이가 존재한다. 일음절 성질형용사+명사 앞에는 是를 붙일 수 있지만, 이음절 상태형용사+명사, 중첩형식 상태형용사+명사, 부사+성질형용사+명사 구조 앞에는 是를 붙일 수 없다. S+AㆍN 구문과 달리 S+是+AㆍN 구문은 긍정과 대조의 의미를 갖는다. 술어로 기능하는 NumㆍCL 성분과 NumㆍCLㆍN 성분 앞에 是를 붙일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是 구문은 긍정과 대조의 의미를 갖는다. S+一ㆍNclㆍN의 술어에도 是가 붙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명사술어는 다른 부사의 수식을 받는다. 판단성 명사술어문에 부가된 是는 문장의 주요 동사가 되어 주어와 술어 간의 동등과 귀속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전형적인 계사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S+AㆍN 구문, S+NumㆍCL 구문, 소유관계를 나타내는 S+NumㆍCLㆍN 구문, 존재관계를 나타내는 S장소+NumㆍCLㆍN 구문, S+一ㆍNclㆍN 구문에 부가된 是는 계사의 기능보다 후행 성분이 문장의 초점임을 표시하는 초점표지 是의 기능과 더욱 유사하다. 이렇게 사용된 是는 계사에서 초점표지까지의 연속체의 과도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고대중국어에서 각 시기별로 명사술어문의 사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판단성 명사술어문의 경우 是가 계사로 문법화되기 이전의 상고 시기에는 주로 S(者)+NP(也)의 형식을 사용하였고 중고 시기에는 是 구문이 점차 판단문의 주요 표현형식이 되어 판단성 명사술어문의 사용 빈도가 많이 낮아졌으며 현대에 와서도 여전히 특수 의미를 표현할 때만 제한적으로 쓰이고 있다. 묘사성, 수량성 명사술어문은 是의 문법화 과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고 상고부터 근대까지 그 사용 빈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형식도 더욱 다양해졌다.
마지막으로 명사술어문이 범언어적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중국어 명사술어문의 유형론적 지위를 탐색하였다. 영어를 비롯한 형태 변화가 풍부한 언어에서는 명사성 성분이 술어로 직접 사용될 수 없지만 러시아어, 터키어, 히브리어, 헝가리어 등 일부 언어에는 현재시제에서 동등과 귀속관계의 판단성 명사술어문을 사용할 수 있다. 베트남어와 인도네시아어가 중국어 명사술어문의 사용 양상과 가장 가깝지만, 이 두 언어에는 AㆍN 구조를 직접 술어로 사용할 수 없다. 현대중국어와 같이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많은 소수민족 언어는 명사술어문을 사용하지만 그 형태는 현대중국어만큼 다양하지 않다. 현대중국어는 영계사 언어에서 계사 언어로까지의 연속체의 중간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是의 사용은 강제적이지 않고 문장 각 구성 성분 간의 의미관계를 매우 중시하기 때문에 명사술어문의 구조 및 의미유형은 가장 다양하다.
본고는 공시와 통시, 중국어 내부와 외부의 각도에서 명사술어문에 대한 보다 전면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명사술어문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의 제고와 유형론적 측면에서의 특성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本文从构式语法、认知语法以及语言类型学的视角出发,从共时和历时两个方面对现代汉语中的名词谓语句现象集中进行了研究。名词谓语句的句法结构可以概括为S+NP,从构式语法的观点来看,它可以看作一个完整的图式构式,S和NP在构式中起论元作用。本研究不仅说明了主语和名词谓语之间存在的多种复杂的选择性语义关系决定名词谓语句的形成和认知性解释,而且通过历时变化过程的考察及与其他语言的名词谓语句使用情况的比较,揭示了现代汉语名词谓语句所具有的类型学特征。
本文首先根据名词谓语的结构特点和主语、名词谓语之间的语义关系,将现代汉语的名词谓语句分为判断性、描述性、数量性三种类型进行了分析。首先,在第3章中考察了判断性名词谓语句的情况,即光杆名词、N1+N2结构、时间名词、处所名词、疑问代词、X的结构用作谓语的现象。虽然判断性名词谓语句的谓语由上述多种语言形式充当,但主语和名词谓语之间的语义关系大致可以归纳为等同关系和归属关系两种。在表示等同关系的句子中,名词谓语是主语的等价物,是指示性的,在表示归属关系的句子中,名词谓语表示主语的属性,是非指示性的。同时,在第3章,本文还证明了判断性名词谓语句以经济性原则为基础,在对象-等同物、对象-属性的构式语义框架下,成为一种约定俗成的特殊句式。第4章我们分析了描述性名词谓语句S+AㆍN的使用情况。从形式上来看,单音节性质形容词、双音节状态形容词、ABB形式的状态形容词、重叠形式的状态形容词、副词+性质形容词修饰名词所形成的结构可以在谓词位置直接出现。另外,从意义上看,名词谓语主要是说明、评价主语的属性或描述主语的状态。这种主谓关系的形成源于主语和谓语之间整体-部分的语义关系和形容词的谓语性,而在这种构式中,具有修饰功能的形容词一般应体现主语的区别性特征,具有充分的信息量,被修饰名词则一般是一价名词。作谓语的AㆍN结构中的名词是非指示性的,而表达相似语义的动词谓语句、形容词谓语句、主谓谓语中的中心语名词则都是指示性的。在第5章中,我们考察了数量性名词谓语句的情况,即NumㆍCL结构、NumㆍCLㆍN结构、一ㆍNclㆍN结构用作谓语的现象。具体来说,使用度量衡量词的NumㆍCL结构用于对象-数量构式说明主语的量化属性,NumㆍCLㆍN结构用于领属者-被领属物、处所-存在物构式时主要用来说明有生命度的主语以及处所主语的某种静态性特征。一ㆍNclㆍN结构在对象-属性构式中作谓语,也主要用来评价主语的某种静态性特征。在经济性原则的推动下,S+[NumㆍCL+A]构式中的形容词可以不出现,从而演化为S+NumㆍCL构式。在S+NumㆍCLㆍN构式中,领属者主语与被领属物NumㆍCLㆍN谓语是该构式的两个论元,它们之间所形成的领属关系与领属动词有的功能基本一致,因此即使有不出现,整个句子也可以被听话人成功解读。S处所+NumㆍCL构式的形成和认知机制也是如此。S+一ㆍNclㆍN构式的形成源于主语与临时用作名量词的身体部位之间的整体-部分关系,在特殊情况下,部分可能比整体更加突出,以部分的某种特征去说明整体是人类的普遍认知过程。判断性、描述性、数量性名词谓语句分别表现了主语与名词谓语之间的等同、归属、整体-部分、数量、领属及存在关系,像词汇的多义性一样,这三大类型在名词谓语句的构式网络中形成多义性连接。
名词性成分作谓语与系词的使用有密不可分的关系,因此在第6章中,我们对各类型的名词谓语句进行了能否添加是转化为系词句的测试,而且对可以转化的名词谓语句与是字句之间的差异进行了比较。通过比较我们发现,判断性名词谓语句可以添加是,与名词谓语句相比,是字句的主谓关系更加明确,主谓和谓语在句法结构上都可以进行扩展,而名词谓语句的句法结构的扩展则受到限制。此外,是字句既可以用于主句,也可以用于从句,但名词谓语句则只能用于主句。S+AㆍN结构的名词谓语句前能否加是,内部存在差异。单音节性质形容词+名词前可以添加是,但双音节状态形容词+名词、重叠形式状态形容词+名词、副词+性质形容词+名词结构前则无法添加。与S+AㆍN构式不同,S+是+AㆍN构式具有肯定和对比意义。在作为谓语的NumㆍCL成分和NumㆍCLㆍN成分前也可以添加是,这样形成的是字句同样具有肯定和对比意义。S+一ㆍNclㆍN构式的谓语前也可以添加是,但大部分情况下,都是由于名词谓语受到了其他副词的修饰。判断性名词谓语句中添加的是成为句子的主要动词,具有明确主语和谓语之间的等同和归属关系的系词功能。但是附加在S+AㆍN、S+NumㆍCL、S+NumㆍCLㆍN、S处所+NumㆍCL、S+一ㆍNclㆍN构式中的是,其主要功能则是标示其后成分为句子的焦点所在,与分裂句中作焦点标记的是的功能更为接近,因此我们可以把是的这种用法看做从系词到焦点标记这一连续统的过渡阶段。
名词谓语句共时层面的分化与其在历时层面的变化过程也密切相关。在是语法化为系词之前的上古时期,判断性名词谓语句主要采用S(者)+NP(也)的形式,到了中古汉语,是的系词用法逐渐成熟,是字句成为表达判断的主要手段,判断性名词谓语句的使用频率虽大幅下降,但直至近现代汉语,在表达时间、人的身份、籍贯等语义时,仍在使用判断性名词谓语句。描述性与数量性名词谓语句与是的语法化过程没有直接关系,从上古到近代,它们的使用频率与使用范围都在持续增加与扩大,形式也变得更加多样化。
最后,本文从跨语言的视角考察了名词谓语句的使用情况,进而探讨了汉语名词谓语句在类型学上的地位。在包括英语在内的形态变化丰富的语言中,名词性成分不能直接用作谓语,但在俄语、土耳其语、希伯来语、匈牙利语等部分语言中,表示等同和归属关系的判断性名词谓语句用于现在时和第三人称是一种较为普遍的现象。越南语和印度尼西亚语都是有系词的语言,在这两种语言中,名词谓语句的使用情况与现代汉语较为接近,但这两种语言中都不存在AㆍN结构直接作谓语的现象。中国境内与汉语同属汉藏语系的众多少数民族语言也使用名词谓语句,但形态不如现代汉语丰富多样。通过比较我们发现,现代汉语处于零系词语言到系词语言连续统的中间位置,系词是的使用句法上并不是强制性的,更多的是受到语义和语用的制约,而且汉语非常重视句法成分之间的语义关系及句子的语用功能,因此汉语的名词谓语句的结构及语义类型是最为多样的。
本研究从共时和历时、汉语内部和外部对名词谓语句进行了全面的研究。本文的考察与分析,在深化对汉语名词谓语句的理解以及探寻其类型学特征等方面,具有一定的学术价值与意义。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6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97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