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Workplace Domination and Relational Egalitarianism : 작업장 지배와 관계적 평등주의: 엘리자베스 앤더슨의 고용조건부 해석의 내부적 비판
An Internal Critique of Elizabeth Andersons Employment Conditionality Interpret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상범

Advisor
김현섭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relationalegalitarianismsufficientarianismworkplacedominationreciprocitynon-idealtheorydistributivejustice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2022. 8. 김현섭.
Abstract
The moralized notion of work represented by the precept The one who is unwilling to work shall not eat continues to hold significant influence in liberal theories of distributive justice. On a common understanding of that notion in relational egalitarian theories, it is the states role to make sure that decent living standards for those who require state support are normally conditioned on employment. Call this employment conditionality.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give an internal critique of employment conditionality as it appears in the context of Elizabeth Andersons widely influential theory of democratic equality. My main thesis is that the ideals of non-domination and equal standing cannot be made consistent with employment conditionality.

In the first two main chapters, I address background issues that serve as the basis of my internal critique. In Chapter 2, I explain the theoretical motivations of Elizabeth Andersons endorsement of sufficiency, most chiefly her endorsement of pareto superior of market inequalities. In Chapter 3, I argue that workplace domination is an endemic feature of economic institutions characterized b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rgaining power between ordinary workers, on the one hand, and firms, on the other.

In Chapter 4, I advance my internal critique. My arguments are two-fold. First, I argue that employment conditionality imposes workplace domination under conditions of large economic inequalities, and so objectionable on Andersons own terms. Second, I argue that that employment conditionality institutionally ranks wealthy individuals as superior to those without wealth and so objectionable on Andersons own terms.
일하지 않는자, 먹지도 말라는 계율로 대표되는 도덕화된 노동의 관념은 계속해서 자유주의적 분배정의 이론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갖는다. 그 관념에 대한 주요한 관계평등주의적 해석에 의하면, 국가의 역할 중 하나는 양질의 삶의 질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고용에 조건화 시키는 것에 있다. 이를 노동조건부 해석이라고 하자.

본고의 목적은 엘리자베스 앤더슨의 관계적 평등주의 이론인 민주적 평등에서 나타나는 노동 조건부 해석에 대한 내부적 비판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앤더슨의 관계적 평등주의적 이상인 비(非)지배와 평등한 지위는 노동조건부 해석과 충돌한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본고의 첫 두 장은 내부적 비판의 기반이 되는 배경문제들을 다룬다. 제2장에서는 엘리자베스 앤더슨의 분배적 (평등주의와 반하는) 충분주의 지지기조의 이론적 동기들을 설명한다. 제3장에서는 일반적 노동자와 회사 사이에 주요한 협상력(bargaining power)을 허용하는 경제제도 내의 고질적인 문제임을 논증한다.

제4장에서는 내부적인 비판을 진행한다. 본고의 논변은 두가지이다. 첫째, 노동조건은 큰 경제적 불평등이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작업장 지배를 일반노동자에게 강요하기 때문에 앤더슨의 비지배 이상과 상충한다고 논증한다. 둘째, 노동조건은 제도적으로 자산가들을 일반 노동자보다 높은 지위의 사람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앤더슨의 관계적 평등 이상과 상충한다고 논증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6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00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