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존재론적 시원 탐구를 통한 상호주체성의 가능성 고찰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inter-subjectivity through unearthing the ontological origin -in Lucy Irigarays philosophy-
뤼스 이리가레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용아영

Advisor
김상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시원2차적시원이중배제유아론적초월상호주체성촉각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2022. 8. 김상환.
Abstract
성차는 이리가레 철학의 핵심 개념어로 이것은 우리의 존재론적 시원인 어머니 또는 자연이다. 본고의 목표는 두 가지이다. 첫 째, 이 성차를 발굴해가는 과정을 명확하게 밝힌다. 둘째, 이리가레는 성차에 기반한 상호주체성이 전통적인 주체성의 문제를 해결한다고 주장하는데. 과연 이리가레가 상호주체성이 전통적 주체성의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고 있는지도 비판적으로 고찰해볼 것이다.
이리가레는 전통적 주체성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전통 철학은 존재론적 시원을 이중적으로 망각한다. 더불어 남성 주체는 유아론적 초월을 통해서 전통 철학 담론 내에서 유일한 주체로서 자리 잡는다. 전통적 주체성의 문제는 시원의 이중적 망각에 기인한다. 이리가레는 단순히 여성 또는 자연/어머니가 철학 텍스트 내에서 열등한 것으로 그려졌다는 것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리가레는 철학 텍스트가 자기 자신의 논리를 구축하는 시작점인 시원이 어떻게 만들어지는 지를 추적함으로써 이것이 내부적 모순을 가지고 있음을 비판한다.
첫째로, 성차의 발굴의 첫 단추는 성차인 시원의 이중적 망각을 추적하는 것이다. 철학 담론은 시원인 자연/어머니의 배제와 배제의 사실의 은폐를 통해 담론 그 자신을 구축 가능하다. 따라서, 철학 담론이 자기 자신의 시원이라 내세우는 것은, 자연/어머니인 원래의 시원을 배제하고 난 이후의 시원이다. 이러한 2차적 시원은 남성 주체가 탄생하는 장소이자, 남성 주체가 세계를 향해 초월하게 되는 한계이며, 죽음 이후 다시 되돌아오게 되는 곳이다. 그 결과, 자연은 문화의 발전을 위한 원재료일 뿐이며, 여성은 남성의 어머니로 축소되어서 남성 주체의 재생산의 역할만 맡게 된다. 달리 말하면 2차적 시원은 철학 담론 내에서 남성의 어머니 또는 자연으로 자주 표상되며 남성 주체의 시원을 담당하지만, 자기 자신의 시원은 갖지 못한다. 2차적 시원은 남성 주체의 유아론적 초월의 한계를 담당한다. 그러나, 2차적 시원인 어머니와 자연은 자기 자신의 한계를 가질 수 없다. 이는 자연과 어머니가 자기 자신의 기원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언제나 남성 주체를 위한 한계로서만 남아있음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2차적 시원은 자기 자신을 초월할 수 있는 힘을 가지지 못한다. 헤겔은 시원인 자연/어머니를 망각했기 때문에 그의 목표인 전체성을 이루지 못할 것이다. 하이데거는 존재와 사유의 공속을 통해 존재와 사유 모두 서로가 서로를 향해 초월할 수 있는 힘을 가졌음을 주장했다. 하지만, 하이데거는 자연을 배제하고 언어를 시원으로 삼음으로써 자연인 존재로부터 매개할 수 있는 힘을 탈취했고, 그 결과 헤겔과 유사한 유아론적 초월의 모습을 보인다.
둘째로, 전통적 주체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성차에 기반한 상호 주체성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리가레는 두 가지 전략을 세운다. 첫 번째 전략은 자연/어머니의 시원성 회복이다. 이리가레는 자연/어머니인 시원이 우리보다 시간적 그리고 인과적으로 앞선다는 것을 강조한다. 달리 말하면, 자연/어머니는 존재자들의 존재 근거가 되면서, 자기 자신의 존재 근거는 자기 자신 안에서 찾음을 의미한다. 즉, 자연/어머니의 시원성 회복은 이것이 모든 것을 창조하면서, 그 자체로 생성함을 의미한다. 망각한 자연-어머니를 회복함에 따라, 2차적 시원은 더 이상 남성 주체를 위한 한계로서만 존재하지 않게 된다. 두 번째 전략은 다음과 같다. 두 주체인 여성과 남성이 서로의 초월을 위한 한계로만 존재하지 않게 하는 것이 이리가레의 상호 주체성의 요지이다. 이것은 성적 타자를 나의 세계로 환원하겠다는 욕망을 멈추고 우리의 시원이 둘의 결합으로 이루어졌음을 인정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은 관계 맺음을 이리가레는 촉각으로 구체화한다. 촉각은 만지면서도 만져지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상대방을 만지면서 자기 자신은 만져지고, 동시에 상대방은 나를 만지면서 나에 의해 만져진다. 어느 한쪽은 만지는 것이고 다른 한쪽은 만져지는 것으로 고정될 수 없다. 더불어 촉각은 우리가 어머니의 배 속에 있을 때 가장 먼저 생성되는 감각이자 어머니와의 관계 맺음을 가능하게 하는 시원성을 갖고 있다.
Sexual difference is a main concept of Irigarays philosophy and an our ontological origin: mother or nature. This paper has two aims. First of all, elucidating the way Irigaray unearths sexual difference. Irigaray insists that inter-subjectivity based on sexual difference solves the problem of traditional subjectivity. Thus, in this paper, I would also examine whether inter-subjectivity settles the problem of traditional subjectivity or not: The second aim.
According to Irigaray, the problem of traditional subjectivity is as follows. Traditional philosophy has forgotten, twice, the ontological origin. Moreover, a male subject becomes the only subject in the traditional philosophys discourse through solipsistic transcendence. In short, the problem of traditional philosophy stems from the double forgetting of origin. Irigaray does not simply criticize that a woman or nature has been described something inferior within philosophy. Rather, she criticizes that the texts of philosophy has its internal contradiction. To prove this, she investigates how the origin, philosophys starting point of its logic, has been made.
To begin with, the first step of sexual differences excavation is tracing the double exclusion of–sexual difference-origin. Philosophy can form its discourse through the double exclusion: one for origin, another for this activity. Consequently, the origin claimed to be its origin by philosophy can be the origin only after philosophy excluded its actual origin; mother or nature. This secondary origin is the place where a male subject is born, the limit of which he transcends the world, and the place where he returns after his death as well. As a result, nature is raw materials for developing culture, and women, reduced to mens mother, play a role in reproduction. In other words, the secondary origin has been often described as mens mother or nature as raw materials, even if it gives birth to a male subject, it cannot have its originality. The secondary origin plays a role in the limit of a male subjects solipsistic transcendence, although the secondary origin cannot have its limit. This means that mother or nature remains as the limit for a male subject, but it cannot return its origin. To put it differently, the secondary origin has been deprived of the power that transfers itself. Hegel cannot satisfy his aim to totality since he forgets his philosophical origin: mother or nature. Heidegger asserts co-belonging of Being and Thinking makes it possible that both of them have the power of transcending towards one another. However, Irigaray thinks that Heidegger exploits the power of Being-Nature by eliminating nature and taking language as an origin. As a result, his philosophy ends up with being similar to Hegels one.
On top of that, Irigaray works out two strategies so as to settle the problem of traditional subjectivity and form inter-subjectivity based on sexual difference. The first strategy is the recovery of–mother or nature-origin. Irigaray emphasizes that-mother or nature-origin is always ahead of us temporally and causally. In other words, mother or nature becomes the ground of other beings and finds its ground in itself. To sum up, the recovery of–mother or nature-origin means that the origin creates everything and it creates itself. If the origin recovers its power, the secondary origin will not have played a role only in the limit for a male subject. Furthermore, the second strategy as follows. That is, no longer do two subjects, a woman and a man, remain as the limit for each other's solipsistic transcendence. It is possible only by stop traditional subjects desire from reducing sexual-other to its world, and recognizing that our origin is formed by two subjects union. Irigaray embodies this reciprocal relationship in touching. Touching is to touch and is to be touched as well. In other words, one touches other, also the other is touched by one and vice versa. It is not fixable that one side is to be touched and the other side is to touch. Also, touching is created in the first place when we are in a mothers womb, and it has originality that enables us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our mother.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6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1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