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럽 컨템퍼러리 댄스에 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ANALYSIS OF CONTEMPORARY DANCE : The Politics of Dance in a Post-Fordist Condition
포스트포드주의 조건에서의 무용의 정치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신우

Advisor
신혜경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유럽컨템퍼러리댄스무용의정치성포스트포드주의불안정노동기호자본주의마텐스팽베르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2022. 8. 신혜경.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examine the political capacities of Contemporary Dance in light of the current sociopolitical environment conditioned by Post-Fordism. The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politics of dance emerges through its capacity to reveal the ideologies of how the society governs the body, movement, and sensation, to break away from these orders through innovations in the art form, and ultimately in its power to propose alternative ways of existence that are different from the ones we know now.
Through this prism, I first acknowledge the significance of the radical dance practices that emerged in the mid-1990s across Europe, and reinspect the political power such practices generated. Works of key artists such as Jérôme Bel, Xavier Le Roy, William Forsythe, Vera Mantero, Mette Ingvartsen, and more are reviewed from this perspective. These artists have challenged the norms and hierarchies of dance institutions and theatre dispositifs, revealed how dance is produced and circulated as a product, and implemented alternative ways of working. Also, through an expanded notion of choreography, their works subverted the concept of dance, which has thus far been mostly considered as a continuous, conscious movement of human agencies. They revolutionized the standard of normative bodies on stage and embraced diverse practices and discourses within the realm of dance.
Yet, even as the study recognizes the value of these experiments, it questions whether such dance practices continue to hold the political capacity they once promised after three decades have passed. I claim that some of the key agendas of Contemporary Dance have come to render it particularly vulnerable to the operating mechanisms of Post-Fordism. In this dissertation, I perform a close analysis on how the core ideas of Contemporary Dance—the call for independent, free, fluid, and nomadic ways of working, a concentration on networks and mobility, an emphasis on semiotic and linguistic forms of dance, and the importance of showing the subjectivity and identity of the dancer on stage—closely resemble the ways capitalistic value is produced and accumulated in contemporary society. Today, dancers seem to be actively performing the role of the solo entrepreneur by constantly adding ones competitive value through the honing of their generic skills and the exhibition of their unique identity. At the same time, the conceptual, intellectual aspects of Contemporary Dance seem to be transforming the dance experience into an act of understanding a theoretical concept or the authors intentions, reducing it to a process of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that is prone to be co-opted by a semiocapitalistic drive.
Although it may seem that the engulfing dynamics of capitalism have led dance to an impasse where finding a solution seems almost impossible, this study aims to trace some alternative routes for dance to reclaim its political power. I analyze Mårten Spångbergs Natten (2016) as an attempt to create a zone of indiscernibility where semiotic meaning-making continues to fail, identities are blurred, and audiences are invited to experiment with their perceptive capacities, to leap beyond the visible, given world. Another work by Spångberg examined in this dissertation is Gerhard Richter, une pièce pour le théâtre (2017), as it creates the possibility of a contingent emergence of affect, particularly in the notion of Deleuzian ethology. This work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create a different relationality between entities by allowing dancers and audiences to experiment with ones physical capacity for affecting oneself and the other. Taking these works as entry points, this study explores pathways that can lead dance to recover its political capacity of creating ruptures in the dominant order, through which we glimpse alternative ways of world-making.
본 논문은 유럽 컨템퍼러리 댄스의 정치성을 오늘의 포스트포드주의 조건 속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유럽 컨템퍼러리 댄스는 1990년대 초중반에 유럽을 중심으로 시작된 실험적인 무용 경향으로, 이 시기 무용가들은 무용을 규정해왔던 관습과 제도에 도전함으로써 무용의 경계를 확장했고, 다양한 인문학적 사유를 흡수하며 그간 예술 담론의 변방에 있던 무용을 중심부로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무용의 정치성이 전면 재검토되기 시작했다. 이전까지 무용에서의 정치성은 구체적인 현실 정치에 참여할 때에만 발휘되는 것으로 여겨졌고, 예술의 자율성을 약화하는 것으로 폄훼되었다면, 이제 정치성은 무용에 본래 내재된 요소이자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하는 힘으로 떠올랐다. 유럽 컨템퍼러리 댄스 무용가들은 무용 형식에 이미 몸, 움직임, 감각을 지배하는 시대적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형식의 실험을 통해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대안적인 존재 방식을 제안하고자 했다.
본고는 무용의 정치성을 혁신적인 형식을 통해 일상의 질서에 균열을 내고 또 다른 가능 세계를 제시하는 힘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20세기 무용사를 되짚어보고, 유럽 컨템퍼러리 댄스의 급진적인 실천이 갖는 무용사적 의의를 조명하며, 이 실천들 속에서 무용이 획득했던 정치성에 주목한다. II장에서는 제롬 벨(Jérôme Bel), 크사비에 르 르와(Xavier le Roy), 윌리엄 포사이스(William Forsythe) 등 핵심 무용가들의 실천을 재탐색한다. 이 시기 무용가들은 제도 속에서 무용이 생산, 공연, 유통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성찰했고, 무용수의 노동을 가시화했으며, 상품화된 무용 공연에 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절대적인 것으로 여겨져 왔던 무용의 전제, 즉 무용이란 인간의 몸이 수행하는 연속적인 움직임이라는 생각에도 도전했다. 인간 대신 사물이 움직이거나, 무용가가 춤을 추는 대신 렉처를 하는 공연들이 등장했다. 한편 무대에 서는 이들에 관한 사유에도 변화가 생겼다. 무용수가 무용 체제의 부품이 아닌 주체로 복권되고, 가치로 포섭되거나 생산성을 갖지 않는 비규범적이고 혼종적인 몸들이 무대에 올랐다. 본고는 이러한 유럽 컨템퍼러리 댄스의 실천이 일차적으로는 위계적인 무용 제도와 낡은 무용 관습에 대한 도전이었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움직임, 몸, 감각을 조직하는 현실의 질서에 균열을 내고 대안적인 존재 방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정치성을 담지하고 있었음을 논증한다.
30년이 지난 오늘날, 이와 같은 컨템퍼러리 댄스의 비판적 실천은 여전히 유효한 것일까? 지난 30년은 냉전 체제 종식 이후 대안과 견제가 사라진 상황 속에서 시장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가 전 지구적 지배 질서로 심화되는 과정이었다. 이 과정에서 자본주의는 수평적 노동, 네트워크, 유동성, 창의성, 다양성 등 한때 대안으로 여겨졌던 가치들을 다시금 이윤 창출의 수단으로 포섭하는 데 성공했다. III장에서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유럽 컨템퍼러리 댄스의 핵심 기치들 역시 포스트포드주의적 작동 원리로 포섭되는 양상에 주목한다. 유럽 컨템퍼러리 댄스가 추구했던 수평적이고 독립적인 활동 방식은 오늘날 포스트포드주의 사회에서 다수의 불안정노동을 수행하는, 신자유주의적 사업가 모델로서의 무용가를 양산하는 조건으로 작동한다. 무용수 개인의 주체성이 작품의 중심으로 부상하게 됨에 따라 개인의 차별화된 내면과 다양한 정체성이 자원으로 추출되며 새로운 착취구조가 나타난다. 더 나아가 개념적 사유를 소통하고 해석하는 것에 방점을 두는 유럽 컨템퍼러리 댄스의 실천이 정보 소통으로 포화된 오늘의 기호자본주의하에서 대안적 감각을 생성해내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유럽 컨템퍼러리 댄스가 당초 가졌던 문제의식이 오늘날 파열의 경험을 만들어내는 대신 지배 질서의 작동원리를 답습할 때, 무용이 지닌 정치성은 무력해질 수 있다. 일견 자본주의 시스템과의 결탁 속에서 발생하는 현재의 교착 상태로부터 무용이 벗어날 길은 요원해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는 스웨덴 무용가 마텐 스팽베르크(Mårten Spångberg)의 작품에서 돌파의 실마리를 가늠해본다. (2016)에서 발견되는 식별 불가능성의 지대는 의미작용이 실패를 거듭하고 정체성이 무화되는 곳이며, 이곳에서 보는 이는 인간의 지각 능력 너머에 존재하는 세계를 감지한다. (2017)에서는 서로 다른 존재들이 행동학적 결합을 시도하는 일련의 실험이 이루어지며, 새로운 관계맺기 방식이 제안된다. 이 작품들은 오늘날 지배 질서에 대한 균열을 일으키고 대안적인 가능 세계를 제시할 수 있는 무용의 잠재성을 시사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8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3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