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영화적 시공간 속에 나타난 리얼리즘적 유령기록의 비교연구 : 比較研究電影時空間中展現的 現實主義幽靈記錄
이창동의 <박하사탕>, 허우샤오시앤의 <비정성시>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보메이

Advisor
강우성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크데리다유령차연리얼리즘영화이창동허우샤오시앤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2022. 8. 강우성.
Abstract
德里達在《馬克思的幽靈 Specters of Marx》裡第一次將幽靈 haunt和存在論 ontology合併,創造出幽靈論 hauntology一詞。德里達借此表達了幽靈與存在二者之間不可割離的內在關係。幽靈論是指已經過去的某種類似於幽靈的存在,再次浮現在現前之中,並與現前共存的現象。對於德里達所說的幽靈論,我們可以在虛構的時間之中尋找到其意義。即,我們永遠無法將存在(生)和不在(死),現在存在和曾經存在以及將會存在,或是時間自身等等進行簡單的二分法式的意義賦予,這種事實其本身便是這裡所說的幽靈。在虛構的時間之中,與時間本身對視的瞬間,則是直面幽靈的瞬間。總而言之,幽靈存在於時間的間隙之中,即存在於我們無法用任何方式進行意義賦予的存在與不在的間隙之中。進一步來說,時間與空間也存在著不可割離的關係,因為時間自身在永不停歇地創造著空間。幽靈的出沒便是時間的空間創造的具體的體現。在時間和空間的間隙之中反覆出沒的某物,便是本論文的核心概念之幽靈。
以此論點為基礎,本論文以幽靈為關鍵詞,研究分析了現實主義電影中紀錄的時間與空間的幽靈性。本論文選擇了現實主義電影的代表作——李滄東的《薄荷糖》(2000)和侯孝賢的《悲情城市》(1989)為分析對象進行了比較研究。在這兩個作品中,都記錄了近代化過程中所產生的歷史性傷痕對個人的人生所帶來的污染,在此視角之中,筆者將這兩部作品視作為記錄現實主義幽靈的代表作。同時,在這兩部作品當中,無論是從形式上,還是從內容上,都包含著差延 différance的意義,並將差延進行了可視化的詮釋。但,在時間與空間的概念上,筆者並非認為幽靈的出沒,是起源於近代化過程中的特殊歷史事件及其造成的傷痕,而是將時間與空間本身的特性視為了幽靈的出沒。此處所說的空間,在《薄荷糖》與《悲情城市》之中,特別是指身體的空間。兩部作品將身體空間化,並且利用空間化後的身體進行了幽靈的記錄。
首先,在《薄荷糖》的研究當中,本論文關注到了倒敘手法,筆者將《薄荷糖》中使用的特殊的倒敘手法視為對事後性的體現。接著對《薄荷糖》開始與終結的兩個場面中所展示的相同的空間(野遊會)進行了分析。最後研究了空間化的身體,即,金永浩的身體空間在無法分割生與死的狀態下,其中出沒的幽靈現象。在對於《悲情城市》的研究中也從類似的出發點進行了分析。在電影手法方面,《悲情城市》採用了語言的混用(文字語言與聲音語言)形式。在幽靈的可視化記錄方面,《悲情城市》在開始與結束的場面中反覆出現了小上海的空間,以及林氏四兄弟的身體空間裡保有的障礙。
本論文以德里達的差延概念中所意義化的時空間概念中的幽靈為基礎,對《薄荷糖》與《悲情城市》中所記錄的時間和空間的幽靈性進行了研究。同時,本論文分析了現實主義電影中對於非可視性的幽靈可視化的方式與記錄。
데리다는 『마르크스의 유령들』에서 처음으로 유령 haunt과 존재론 ontology을 연결해 유령론 hauntology이라는 합성어를 만들었으며, 유령과 존재의 분리 불가능한 관계를 보여준다. 유령론은 과거의 어떠한 유령 같은 것이 다시 나타나며 현전 속에 현전과 함께 공존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데리다가 만든 용어 유령론의 관점으론 허구적인 시간 속에서 유령이라는 것의 의미도 조명될 수 있다. 존재(삶)와 부재(죽음), 있다와 있었다와 있을 것이다, 시간 자체 등의 이분법으로 쉽게 의미화 할 수 없는 것이 곧 유령이다. 허구적인 시간 속에서 시간과 마주치는 순간은 유령과 대면하는 순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요컨대, 유령은 늘 시간의 사이 속에 존재하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의미화될 수 없는 존재와 부재 그 사이에 속한 것이다. 나아가 공간과 시간도 서로 분리 불가능한 관계에 있으며, 시간 자체는 늘 공간내기를 하고 있다. 유령의 출몰이란 이러한 시간의 공간내기의 구체적인 사례이다. 시간과 공간 속에서 반복적으로 출몰하는 그것이, 바로 본고에서 핵심개념으로 다루고자 하는 유령이다.
이러한 논의에 근거해 본고에서는 유령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리얼리즘 영화 속에서 시간과 공간이 지니는 유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근대화 관련 리얼리즘 영화의 대표작으로 인정을 받는 이창동의 (2000)과 허우샤오시앤의 (1989)를 분석하였다. 이 두 작품은 한국과 대만 이 가까운 두 나라의 근대화 과정에 나타난 역사적 상흔으로 인해 개인의 삶이 오염된 것 이면에 시간과 공간의 리얼리즘적 유령을 기록하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형식과 내용 모두에서 특정한 차연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두 작품으로부터 차연을 영화적 기법을 통해 가시화한 양상을 읽어낼 수 있다. 두 작품에서 시공간적 개념을 비롯한 유령이 출몰하게 된 까닭은 어떤 특정한 역사적 사건으로 인한 트라우마 혹은 상처 때문이 아닌 시간과 공간 자체의 특성에서 비롯되었다. 리얼리즘 영화인 과 에서 그러한 공간은 특히 신체를 통해 유령을 기록한다.
먼저 에서는 시간의 사후성을 구현한 플래시백 영화 기법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영화의 시작과 종결 장면에서 공통적으로 조명된 공간인 야유회가 지니는 시공간의 다중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에 공간으로 간주된 신체에 대해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는데 첫째는 공간 속의 공간(신체)이 지니는 삶과 죽음의 분리 불가능성에 대해서이며, 둘째는 유령의 출몰을 가능하게 해주는 공간으로서의 김영호의 신체에 대한 리얼리즘적 영화기록 기법에 대해서이다. 이어 에서도 두 가지 관점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첫째는 언어의 혼용(음성언어 및 문자언어)으로 보는 리얼리즘적 영화기법에 대해서이며, 둘째는 반복된 작은 상하이라는 공간과 린 씨 형재의 신체적 장애를 통하여 표현된 차연적인 유령기록에 대해서이다.
요컨대, 본고는 데리다의 차연을 의미하는 시공간적 개념 유령을 바탕으로 과 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의 유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리얼리즘 영화가 이러한 비-가시적인 유령성을 가시화한 방식과 기록을 읽어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8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93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