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patial Analysis of After-School Child Care Facilities in Seoul, Korea : 보편적 돌봄을 위한 서울시 초등돌봄시설의 공간 분포 및 불균형 분석
A Step Toward Universal Ca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현

Advisor
김부열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2. 8. 김부열.
Abstract
Nowadays, there is growing recognition for the provision of universal child care. Studies have shown the effectiveness of universal child care in reducing social inequality and potential social costs from the child care gaps. In Korea, emphasis has been put on establishing public child care since the revision of the child welfare act in 2004 and the Basic Act on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in 2005. However, a lack of attention has been given to assessing the regional accessibility of child car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service accessibility of child care facilities across Seoul, Korea, analyze the areas with over or undersupply,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o child care accessibility. From the analysi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hild care accessibility corresponds to the economic status of the regions, yet there, the child care supply did not parallel with the population of families with children. Also, the accessibility of child care in Seoul is far less than the surveyed demand ratio. Lastly, of all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population of children and land pri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to the child care accessibility, and the population of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recipi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o the accessibility. This study has originality in bringing together two topics from different disciplines, which are universal care and accessibility, obtaining empirical findings from the microscopic spatial analysis that estimated spatial accessibility using detailed demand population in the service windows. These findings off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landscape of universal child care accessibility in Seoul.
최근 보편적 돌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보편적 돌봄이 돌봄 격차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과 잠재적인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등장하였다. 국내에서는 2004년 아동복지법 개정과 2005년 저출산·고령화사회기본법 시행을 통해 보편적 아동 돌봄이 전개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보편적 돌봄 서비스에 대한 지역 접근성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전역의 초등돌봄시설의 서비스 접근성을 측정하고, 공급 과잉 또는 과소 지역을 분석하며, 지역적 특성과 돌봄 접근성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돌봄 접근성의 공간적 분포가 지역의 경제적 수준과 상응하지만, 돌봄 접근성은 자녀를 가진 가족 인구에 반대된다. 또한, 서울시의 전반적인 돌봄 접근성은 범정부 돌봄수요에서 조사된 수요 비율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지역적 특성 중 아동 인구와 공시 지가 지수는 돌봄 접근성에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인구는 접근성에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시적 공간 분석을 통해 보편적 돌봄의 서비스 지역 내 세부 수요 집단을 측정하여 보다 면밀한 공간 접근성을 추정하고 보편적 돌봄과 접근성이라는 서로 다른 분야의 주제를 함께 연구함에 의의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서울의 보편적 돌봄 접근성의 현재 지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5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