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근린환경 요인이 야간 이동제약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on Nighttime Mobility Restri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Fear of Crime and Gender Effect
범죄두려움의 매개효과, 젠더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다은

Advisor
박인권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2. 8. 박인권.
Abstract
Ensuring that everyone has free and equal access to the city's public spaces is one of the main agendas of urban planning. Although physical urban spaces seem to be open to everyone, they have been recognized and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one's socioeconomic status. In particular, perception of urban space at night shows a large difference in relation to fear of crime depending on ones gender. In other words, although seemingly accessible to everyone, the practical accessibility of public spaces is accepted differently depending on gender. Nevertheless, fear of crime, which well-explains the different use and perception of urban space according to gender, was not under study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ccordingly, the relationship in which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nighttime mobility restrictions through fear of crime was analyzed in this study.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within women was analyzed.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s the Korean Crime Victim Survey in 2018, condu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The method of analysis 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age group within wome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fear of crime in the relationship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affecting nighttime mobility restrictions. That is,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fear of crime have an amplify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nighttime mobility.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nighttime mobility restrictions include not only obj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esence of bars and clubs, industrial areas, or lighting in the neighborhood, but also subjective perceptions toward physical and social disorder or the bond of community.
Second, gender plays an important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nighttime mobility restriction. The magnitude or significance of the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hysical disorder and community ties on nighttime mobility restrictions through fear of crime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In particular, young women show a higher level of both fear of crime and nighttime mobility restrictions than other groups. Also, the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nighttime mobility restrictions through fear of crime is often insignificant for young wome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empirically demonstrating that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can limit ones free use of urban space by affecting ones fear of crime, and that there exist differences in this relationship according to gender or age. In order to promote free mobility and use of urban spaces, not only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crime rate but also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fear of crime should be considered in urban planning.
In addition,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urban space according to gender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and managing urba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s. The effect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on ones mobility can be different even under the same objective situation, depending on gender or age group within women. In particular,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exis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within women, which implies that the distinctiveness of young women, who have not traditionally been considered the weak,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urban planning.
도시의 공공공간에 모든 사람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도시계획의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도시는 물리적으로는 모두에게 동일하게 주어졌을지라도 개인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어 왔다. 특히 야간의 도시 공간의 이용에 있어서는 젠더에 따라 경험하는 두려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즉, 도시의 공공공간은 형식적으로는 모두에게 접근 가능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인 접근 가능성은 젠더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럼에도 도시계획 분야에서 젠더에 따른 도시 공간의 이용 및 인식 차이에 있어 주요한 개념인 범죄두려움에 대한 관심은 부족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근린환경 요인이 범죄두려움을 매개로 야간 이동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탐구하고, 영향 관계에 있어 성별 및 여성의 연령대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시행한 2018년 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범죄피해조사)의 원자료이다. 분석의 방법은 구조방정식 분석이며, 성별 및 여성의 연령대 집단 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서 다중집단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린환경이 야간 이동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어 범죄두려움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존재한다. 이는 범죄두려움이라는 심리적 요인이 근린환경과 야간의 이동성 제약의 관계를 증폭시키는 효과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야간 이동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요인은 근린 내 유흥업소 밀집지역, 공단지역, 외부 조명의 유무와 같은 객관적 특성뿐 아니라 근린의 물리적, 사회적 무질서나 커뮤니티 유대감과 같은 주관적 인식도 포함한다.
둘째, 근린환경이 야간 이동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가 존재한다. 근린의 물리적 무질서나 커뮤니티 유대 등의 근린환경 요인이 범죄두려움을 매개로 야간 이동제약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나 유의성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여성들 간에도 연령대에 따라 근린환경이 야간 이동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차이가 존재한다. 특히 청년 여성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범죄두려움 및 야간 이동제약을 보이는데, 다른 집단들에서 범죄두려움을 매개로 야간 이동제약에 영향을 주는 근린환경 요인의 효과가 청년 여성에게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다른 집단들과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근린환경 요인이 범죄두려움이라는 개인의 인식에 영향을 미쳐 도시공간의 이용을 제한한다는 점과 이러한 관계에 존재하는 성별 차이와 여성 내 연령대에 따른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도시민의 자유로운 이동과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범죄율과 같은 객관적 지표뿐만 아니라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인지적, 심리적 요인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기한다.
또한 도시 및 근린 환경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데에 있어 젠더에 따라 공간이 어떻게 인식되는지에 대한 차이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이 제기된다. 동일한 근린환경 하에서도 그것이 개인의 이동성에 대해 가지는 효과가 성별 및 여성 내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여성 집단 내에서도 연령에 따른 차이가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를 볼 때, 전통적으로 도시 내 약자로 여겨지지 않았던 청년 여성 집단의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53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