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해양쓰레기와 함께 세계 짓기 : Worlding with Marine Debris: Alliance and Split of Beings in Global Marine Conservation
지구적 해양보전에서 나타나는 존재들의 연합과 분열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혜

Advisor
윤순진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2. 8. 윤순진.
Abstract
해양쓰레기는 인공물이 해양까지 점령해버린 상황을 보여줌으로써, 인류세(Anthropocene)에서 나타나는 인간 활동에 의한 자연 파괴의 대표적인 예시로 표상되고 있다. 이제 해양쓰레기의 심각성이나 문제의식에 공감하기란 어렵지 않으며, 해양쓰레기는 응당 제거되어야 할 사물로 취급받는다. 국제기구, 정부, 환경단체, 개인, 기업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행위자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혹은 그 경계를 넘나들며 해양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러한 상황 인식에서 출발한다. 즉, 해양쓰레기는 당연히 나쁜 사물이며, 해양은 그러한 사물로부터 보호받아야할 공간이라는 명제에서 말이다. 이러한 명제는 너무도 당연해서 의심할 여지없이 사실로서 취급되며, 해양쓰레기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 역시도 그 사실에 입각하여 연구를 수행해왔다. 요컨대 해양쓰레기를 비롯한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과학적인 연구의 대부분에서 사물의 존재 방식은 너무나 당연해서 단지 배경이 될 뿐, 궁극적으로는 사람들의 인식, 행동, 제도, 구조 등, 인간적인 것만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때 연구들은 주로 사물의 부정성을 확고부동한 위치에 놓음으로써 연구의 정당성을 마련해왔다. 이러한 태도는 사실에 대한 탐구를 자연과학의 영역에 배당하고, 사회과학의 역할을 인간적인 것, 이를테면, 사회, 정치, 문화 등에 대한 분석으로만 한정시켰던 근대의 이분법을 반복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이 연구는, 사실을 토대로 연구를 수행하기보다는, 사실의 생산 그 자체를 연구의 일부로 다룬다. 그리하여, 해양쓰레기와 함께, 혹은 해양쓰레기를 통해 변화하는 존재들을 환경사회학의 본격적인 문제로서 다루고자 시도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해양쓰레기에 대한 선악의 판단과 당위에 의한 행동을 촉구하기 이전에, 해양쓰레기와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방식에 대해 탐구한다. 과연 우리는 해양쓰레기를 어떻게 보아왔으며, 해양쓰레기를 통해 무엇을 볼 수 있었으며, 해양쓰레기와 함께 활성화되는(animated) 것들은 무엇이었는가? 이러한 질문들을 통해 이 연구는 해양쓰레기와 함께 만들어가는 세계의 의미에 대해 탐구하며, 우리 삶과 유리된 초월적인 윤리가 아니라 삶 속에 뿌리박혀 있는 윤리와 실천을 배우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이해를 위하여 우선 해양쓰레기를 연구의 참여자로 여길 수 있는 이론적인 토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환경사회학에서 논의되어왔던 자연-사회 관계론을 점검하고,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자인 해러웨이의 자연문화(naturecultures) 논의를 통해 관찰 의존적인 복수의 자연과 사회에 대해 논하였으며, 이때 자연과 사회 혹은 자연과 문화라는 이 항들은 구별됨으로써 서로를 지탱하며 세계를 구성한다. 또한 관찰의 조건인 관찰자와 관찰자의 세계를 논의하기 위하여 세계짓기(worlding)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세계짓기란 세계 속의 존재자들이 세계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으로서, 이때 세계는 초월적인 설계자에 의해 지어진 고정된 용기가 아니라 끊임없이 형성되는 시공간으로서 가정된다. 세계를 함께 짓는 존재들은 인간에 한정될 수 없으며, 존재(사물 혹은 객체)은 존재한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위상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객체-지향 존재론에서 언급되는 초과객체(hyperobject)라는 개념이 지닌 유용성을 탐구하면서 해양쓰레기라는 사물을 초과객체로서 바라보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 연구에서 초과객체란 시공간적으로 육중하게 나타나는 사물을 일컫는다(Morton, 2013).
자연과 사회의 관계와 (세계 속) 세계짓기 논의를 살펴보면, 자연 보전이란 개념은 모순적이다. 자연의 영역과 인간의 영역을 임의적으로 구분함에도 그것이 임의적인지 알지 못하는 맹목성을 지니고 있으며, 수동적인 자연과 보호자 인간을 가정할 뿐더러 자연의 변화와 복수성을 가려버리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라투르나 모턴과 같은 연구자들은 자연 개념을 폐기할 것을 권하기도 하였다(Morton, 2007; Latour, 2017). 그러나 현실에서 사용되는 개념을 폐기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으며, 자연 보전의 실천은 이미 우리들의 세계 속에서 고유한 의미를 엮어가고 있다. 자연 보전을 부정하는 것은 자연 보전에 대한 쉬운 비판이며, 사물이 야기하는 위험과 피해에 눈 감아 버리게끔 만드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연구는 그러한 쉬운 비판을 피한다. 대신에 우리의 삶이 이미 허구와 실재의 얽힘이라는 모순 속에서 존재한다는 해러웨이(Haraway, 1997)의 이야기를 기억하면서, 자연 보전의 집합체가 어떤 세계 속에 있고, 누구와 함께 세계를 만들어 가는지, 그 세계짓기의 과정을 섬세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위하여 해양쓰레기에 대해 활동하고 연구하는 비영리환경단체와 정부출연연구소에서 13개월 간 현장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민족지(ethnography)를 작성하였다. 이때 민족지는 특정한 편을 미리 들지 않으면서도 관심 갖는 세계에 깊게 개입하는 방식의 연구 방법론으로 사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크게 네 가지 흐름 속에서 해양쓰레기와 함께 짓는 세계를 탐구하였다. 먼저 해양쓰레기의 탄생과 포착, 드러남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양쓰레기는 다른 사물들과 구별되기 시작할 때부터 지구적인 문제로 등장했다. 이때 시각이라는 포착의 과정은 위치 지어진 몸에 의한 과정으로서 해양쓰레기 보기는 제도, 동물과 과학 도구, 사물, 이미지, 숫자 등을 통해 가시화되었다. 특히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쓰레기가 쉽게 볼 수 있는 사물이라는 명제를 뒤집으면서, 사물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을 연결시켜주었다. 맨눈으로는 보기 힘든 미세플라스틱의 존재는 오히려 해양쓰레기를 과학의 장에 편입될 수 있도록 허락하였으며, 해양쓰레기에 대한 보전 실천의 방식 역시도 바꾸었다. 해양쓰레기는 번역의 과정을 거치면서 해양쓰레기 그 자체보다 더 많은 의미를 담지한다는 의미에서 과잉된다. 번역된 해양쓰레기는 허구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게 되지만, 동시에 바로 그 점 때문에 풍부한 의미를 지닐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양쓰레기는 번역될 뿐만 아니라 다른 존재들을 매개하며, 특히 해양쓰레기 관찰자에 특정한 세계를 볼 수 있도록 허용한다. 해양쓰레기는 초과객체로서, 시공간을 초월하여 여러 지역의 해양을 하나의 해양으로 묶고 과거와 미래의 시간을 연결하면서 공간적으로 균질하지만 시간적으로는 단절된 세계를 상상하게 한다. 여기에서 해양쓰레기가 지구를 하나의 글로벌 공간으로 만드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해류이다. 해류는 인간이 의도하지 않은 인공물의 순환을 야기하였으며, 특히 동아시아의 해류 덕분에 일본-한국-중국의 인간들이 순환적으로 관계 맺을 수 있었다. 더불어 지구, 인간, 플라스틱이란 객체들 간의 시간 차이는 횡단하는 몸들의 연결을 위험의 관점에서 재생산한다. 해양쓰레기 덕분에 그와 연결된 인간들은 세계의 혼종성을 직시하게 되며 플라스틱세(Plasticocene)를 선언하기에 이른다. 이때 플라스틱세는 혼종성이 야기하는 위험의 신호로 다가오기 때문에, 혼종성으로부터 해양을 지키려는 사람들은 해양쓰레기와의 전쟁을 선포하기에 이른다.
이 해양쓰레기와의 전쟁은 지구적 해양보전의 다른 이름으로, 과학에의 순종이 강조된다. 과학은 실천의 근거이자 전략이 되며, 과학적 지식을 획득한 전문가들이 해양쓰레기 문제의 대표자가 되었다. 또한 전문가는 과학을 담지하는 투명한 존재로 여겨지고, 과학 역시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유일한 지식 형태로 간주된다. 이 과학을 순종하는지, 불복종하는지에 따라 옳고 그름이 나뉘기 때문에, 이들은 과학을 믿는다면 사실상 누구와도 싸울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이 전쟁은 누구도 비판받지 않고 오직 협력만을 요청하는 교육의 형태가 되었다.
하지만 이 모순된 전쟁이 지닌 한계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세계를 직조할 가능성은 전쟁 안에 있었다. 적을 알아가고 이해해가는 과학적 탐구활동의 수행 속에서, 해양쓰레기라는 초과객체는 분류됨으로써 쪼개지고 다른 존재들이 부상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분류는 앎의 기본적인 행위이자 다른 실천을 유도하는 정치적인 행위이며, 입장에 따라 다른 분류를 선호하게 된다. 해양쓰레기의 부분들이 관심의 대상이 됨으로써, 가령 스티로폼 부자나 어구, 사탕 껍질 등이 주목됨으로써, 혹은 해상기인과 육상기인 쓰레기라는 이름을 획득함으로써 인간은 결코 하나의 인간이 아니라 입장을 달리하는 인간들이 되며, 그들과 연합하는 비인간 역시 비인간들이 된다. 이에 따라 사물 정치는 인간 대 비인간의 정치가 아니라 {비인간-인간}의 연합들 간의 정치이며, 이 연합들은 타협과 적대, 분열과 재결합을 반복한다. 그 과정에서 사물과의 전쟁은 패배를 예견함에도 절망하지 않을 수 있었다. 이로써 과학은 그 자체로 예찬되거나 부정될 것이 아니라 순종을 요구하는 규범이 아니라 정답이 없는 정치를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서 이해되었다.
세계의 동적 가능성은 자칫하면 무한한 다중성과 우연성의 예찬으로 정리되기 쉽다. 그러나 존재의 구조적인 제약은 결코 우리에게 책임을 방기하도록 내버려두지 않는다. 이 연구는 해양쓰레기와 인간의 관계가 무한한 가능성의 지평에 있다고 이야기하면서도, 동시에 해양쓰레기의 피해가 심각하며 우리가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것을 결코 부정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제기하는 문제는 오히려 관계 맺음의 태도인데,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지 모르는 타자를 향한 인간의 태도에는 오만함이 내재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는 세계를 총괄하려는 야심에 세계를 균질하게 만들어버린다. 그러나 우리는 그 오만함의 내러티브를 쪼갤 때, 전체보다 큰 부분들을 만나게 되며, 부분성으로부터 겸손함을 되찾는다. 그때 인간은 인간들이 된다. 작은 인간들은 작은 비인간들과 연합과 분열을 반복하는 과정 속에서 세계의 복잡성과 우연성을 감내할 줄 알게 되며, 새롭게 출현하는 의미들 속에서 천상의 윤리가 아니라 지상의 윤리를 찾아낼 수 있다. 그때 비로소 한 세계는 다른 세계로 되어갈 가능성을 지닌다. 이 연구는 이처럼 현실에 박혀있으면서도 다른 세계의 가능성을 주시하는 겸손함에 대한 열망으로 쓰였다.
Marine debris is represented as an example of "destruction of nature by human activity" in the Anthropocene by showing the situation in which man-made objects have occupied the ocean. Now, it is not difficult to sympathize with the seriousness or recognize problems of marine debris, and marine debris is treated as an object that should be removed. As such, various agents,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overnments, environmental groups, individuals to corporations, work in their own way or across borders to remove marine debris.
This study starts with situational awareness. In other words, it begins with the point that marine debris is a bad thing "of course", and that the ocean is a space that needs to be protected from such things. These propositions seem so natural that they are undoubtedly treated as "facts". Similarly, most social science research on marine debris has also been conducted based on these facts. In short, in most social scientific studies on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that on marine debris, the way things exist is considered a given, so it only serves as a background and only "human things", such as people's perceptions, actions, institutions, and social structures, have become the subjects of these disciplines. Such studies have found legitimacy in their research by placing the negativity of things in a firm and fixed position. This attitude repeatedly shows the modern dichotomy that assigned the search for facts to the realm of the natural sciences and limited the role of social sciences only to the analysis of exclusive realms of human beings, such as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However, rather than conducting research on the basis of facts, this research treats the production of facts itself as a part of the research. Thus, it tries to deal with changes of beings with or through marine debris as a problem of Environmental Sociology.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way we live together with marine debris before judging the value of the thing or urging actions against marine debris. How have we looked at marine debris? What could we see through it? What is "animated" with marine debris? Through these questions,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worlds created with marine debris and seeks to learn the ethics and practices rooted in our lives, not transcendental ethics separated from our live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tries to form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onsidering marine debris as a "participant" in the study. The nature-society relationship theories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discussed i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Political Ecology are reviewed, and in order to sophisticate the theory of the rel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observation-dependent differentiation of nature and society through discussing on Actor-Network Theory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TS) and the concept of natureculture(s) coined by Haraway, a Feminist STS scholar. At this point, two terms (nature and culture) are dependent on each other but distinguished and constitute worlds together. This study also introduces the concept of worlding to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an observer seeing a world and the world which regulates the observer. Worlding is a process in which beings in a world make the world, where the world is assumed not as a fixed container built by a transcendental designer, but as a space-time that is constantly formed by beings in the world. The beings who build a world together cannot be limited to humans. In addition, this study refers to the "hyperobject" concept, as mentioned in Object-Oriented Ontology, an ontology which advocates for the equality of beings in terms of existence to explain marine debris. A hyperobject, in this study, refers to an object that appears massively in space and time (Morton, 2013).
Looking at naturecultures and worlding, the concept of "conservation of nature" is contradictory. This is because, even when arbitrarily dividing the realm of nature and the realm of humans, it has the blindness of not knowing whether it is arbitrary, and it not only assumes a passive nature and protector humans, but also hides changes and pluralities of natures. Therefore, others such as Latour and Morton have recommended that the concept of nature be abandoned (Morton, 2007; Latour, 2017). However, no one has the right to discard concepts used in reality, and the practice of conservation of nature is already weaving its own meaning in our world. Denying "nature conservation" is an easy criticism of reality, and it can have the effect of blinding one's eyes to the dangers and damages that deconstructions cause. This study avoids such easy criticism. Instead, remembering the story of Haraway (1997) that our lives already exist in the contradiction of the entanglement of fiction and reality, this study explores what world the nature conservation collectivities are in and with whom it is worlding the world in detail.
To this end, I conducted field work for 13 months at a non-profit environmental organization and a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both of whih actively act against and research on marine debris, and wrote an ethnography based on this work. Ethnograph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deeply intervenes in a world that a researcher is concerned with, without taking a particular side in advance.
In this study, the world built with marine debris is explored in four major streams. First, it looks at a process of capture and revelation of marine debris in Korea. Marine debris has emerged as a global problem since it began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objects, such as marine waste or just litter. At this point, vision, the process of capturing things, depends on the situated body. Marine debris is visualized through institutions, animals and scientific instruments, tangible things, images, and numbers. In this study,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marine debris by various forms is called translation. In particular, microplastics have overturned the proposition that marine debris is an easily visible object and has connected a new way of understanding objects. The existence of microplastics, which is difficult to see with the naked eye, has allowed marine debris to enter into the scientific field, and has also changed the way of conservation practices against marine debris. Marine debris through translation has taken on more meaning than marine debris itself. Translated marine debris cannot be free from fiction, but at the same time, it can have richer meanings because of that.
In addition, marine debris is not only translated but also mediates other beings, in particular allowing the marine debris observer to see a specific world. Marine debris, as a hyperobject, transcends a particular space-time, tying local seas as one homogeneous ocean, connecting the past and the future. It helps build a world which is spatially homogeneous but temporally disconnected. Here, it is the ocean currents that play a decisive role in making the earth a 'global space' of marine debris. The ocean current causes a circulation of artifacts that humans do not intend. In particular, thanks to the current in East Asia, humans in Japan, Korea, and China have formed a "social" relation through "gifts (Mauss, 1925)," or marine debris . Moreover, the difference of temporality among objects such as Earth, human beings and plastic amplifies the sense of transcorporeality in terms of risk (Alaimo, 2010). The human connected to marine debris faces the hybridity of a world, leading to the declaration of the Plasticocene. A "war" against marine debris is justified because the Plasticocene is a sign of risk of hybridity for conservationists.
The war on marine debris is another name for global marine conservation, which emphasizes obedience to science. Science becomes the basis and strategy of practices, and 'experts' who have acquired scientific knowledge have become the representatives of the marine debris problem. In addition, experts are regarded as transparent beings which present facts, and science is also regarded as the only form of knowledge that reveals nature as it is. Because right and wrong are divided by whether they obey or disobey the science, they have virtually no need to fight anyone if they believe in science. Thus, this war becomes a form of education in which no one is criticized, but rather only asked for cooperation and partnership.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is contradictory war, the possibility of weaving a new world was within it. This is because, in the practices of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to get to know and understand the enemy, the hyperobject, marine debris is split and becomes other beings, that is, parts of whole debris, through being classified. Classification is not only a basic practice of knowing, but also a political action that makes different positions and stands against a counterpart, because it makes different narratives showing different small things depending on the ways of classification. When parts of marine debris, for example, Styrofoam buoys, fishing gear, food wrappers and so on, become a matter of concern, human being become split in multiple and various beings associated with them. Accordingly, the politics of things is not a competition between non-human versus human, but a politics between the associations of {nonhuman beings-human beings} which repeats compromises, antagonisms, splits, and reunions. In this way, science could be understood as a tool for realizing politics without the only one answer, rather than being praised or denied by itself.
The dynamic possibilities of a world can easily be defined as praise to infinite multiplicity and contingency. But the structural constraints of beings never allow us to let go of our responsibilities. This study say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ne debris and humans is on the horizon of infinite possibilities, but at the same time it never denies that the damage caused by marine debris is serious and that we must do something about it. The problem posed here is rather about the attitude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rrogance is inherent in the attitude of the "Human" towards others who might appear in ways we do not know. Humankind makes the world homogeneous with its ambition to control the world. But when we split the narrative from the arrogance, we come across parts that are greater than the whole, and we recover modesty from the parts. Then the Human becomes small and various human beings. In the repeated process of building alliances and splits with small non-humans, small humans learn to endure the complexity and contingency of a world, and in the newly emerging meanings, they can find an earthly ethics rather than a heavenly one. Only then does one world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another world. This study was written with an aspiration for the modesty which is produced by seeing the possibilities of other worlds while being so entrenched in reality.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5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