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보행중심가로 조성을 통한 역사문화지역의 공간변화 연구 : A study on spatial change i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through the creation of a pedestrian-oriented street : Focusing on the Seosunla-gil area
서순라길 일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숙향

Advisor
성종상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2. 8. 성종상.
Abstract
In Seoul,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at form the identity of the region are scattered, and traces of each era appear everywhere. However, th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disappear in a uniform and integrated manner based on finance, or the historical identity is obscured and recognized as an uncharacteristic area. (Seoul City, 2017) Therefore, 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to find the historicity and identity of the city.
On the other hand, in the city, street is a major space for local culture, economy, and life, and it can be seen that i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Therefore, it is a place where you can experience various experiences beyond just physical functions, and as a representative space that has continued to grow and decline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plays a role in connecting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o each other. However, through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and urban improvement projects, the streets in the city suffered rapid street compartment and land consolidation, and as a result, historical traces of the city disappeared or residents lost their homes due to rising land prices.
The target site of this study is Seosunra-gil, which has a history of 600 years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but it was cut off from the surroundings and rarely visited by people as new roads and buildings were built. Accordingly, the area of the target site was maintained as a pedestrian street in 2017, and it is called a stone wall road that is good to walk and is in the spotlight as a new hot place. However, as issues of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exist, appropriate responses are required for local preservation.
Against this research backgroun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numerical topography, plan, status map, and satellite images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a pedestrian street,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ublic and private areas, and interviewed insiders (merchant and residents) and outsiders (visitors) to deriv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pedestrian street.
Changes in space are as follows. There was a change to the street for people, such as removing street parking lots and carrying out car-free streets, and a landscape green area was created to restore and improve the local scenery in the vacant lot at the entrance of Seosunda-gil, and a walking plaza was created by introducing facilities such as a plant that distinguished roads and sidewalks. In addi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hanok cafes, restaurants, galleries, and workshops, it coexisted with old bars, and with outdoor business regulations, merchants temporarily using the space in front of the store in a limited space appeared.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derived through interviews between insiders and outsider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chievements were re-examination of Jongmyo Stonewall Road after it was built as a pedestrian street, pride in the changed street environment, and have a sense of ownership, and the limitations were the disappointment of local resources such as street trees and old trees that disappeared fo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changes in spac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creation of pedestrian streets, and prepares basic data for futur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merchants, residents, and outsiders.
서울시는 낙후된 지역의 정주환경을 개선하고 지역의 문화적 가치와 사라진 공동체를 복원하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민현석, 오지연, 2019). 특히 서울에는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이 산재해있고, 공간에 각 시대의 흔적이 함께 나타난다. 하지만 장소의 특성을 고려하기보다 재정에 기반한 획일적이고 통합적인 방식으로 장소의 모습과 특징이 사라지거나, 지역의 공간적 단절로 역사적 정체성은 가려진 채 특성 없는 낙후지역으로 인식되기도 한다(서울시, 2017). 이에 최근에는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찾으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의 형성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고, 그 역사 속에서 길과 필지가 만들어졌다. 도시 속 가로는 그 지역의 문화, 경제, 생활의 주요한 공간이며, 역사문화지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가로는 교통로로서의 역할, 공공공간으로서의 역할, 주변 건축물로의 접근공간의 역할, 도시 체험장의 역할, 도시 경관과 특징을 보여주는 장소 및 지역개발의 기준 및 구획의 역할 등의 다양한 기능을 보여준다(박철희 외, 2007). 따라서, 단순히 물리적인 기능을 넘어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장소로서 도시문화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공간이며, 오랜 시간을 걸쳐 성장과 쇠퇴를 거듭한 대표적인 공공공간으로서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자원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연결통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시 속 가로는 오랜 시간 속 사람들이 모여 삶의 터전을 만들고, 삶의 터전 속에서 사고 파는 행위가 생겨나면서 상업가로가 생겨나고, 상업지역의 밀도가 점점 높아지면서 도시개발, 도시개선사업 등의 과정에서 변형이 생기기 시작했다. 급격한 가로의 구획과 필지의 합필 등으로 도시의 역사적인 흔적들이 지워지기도 하고, 지가 상승 등으로 인해 지역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잃게 되기도 한다.
본 연구 대상지인 서순라길 일대는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600년 역사를 품고 있지만 새로운 도로와 건물이 들어서면서 주변과 단절되고, 좁은 거리로 인해 사람들의 발길이 뜸했던 곳이다. 돈화문과 종로3가를 연결하는돈화문로는 차도의 폭을 10m에서 7m로 줄이고, 보도의 폭을 6.5m까지 확대했으며, 종묘를 에두르고 있는 서순라길은 골칫거리였던 도로 위 불법 주정차 차량과 적치물들을 없애기 위해 돌 포장 보행길을 만들어 걷기 좋은 돌담길로 불리며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골목마다 음식점과 카페, 공방 등이 생겨나고 일대가 활성화되면서 지가상승 및 젠트리피케이션의 우려도 생겨나고 있다. 서순라길 일대는 보전과 개발, 거주환경과 상업지역의 이슈가 상존하고 있는 곳으로 지역의 보존을 위해 적절한 대응이 요구되는 곳이다.
역사문화지역의 가로는 오랜시간 복잡한 변화과정이 축적되어 있으며, 많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고유한 역사성과 정체성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지역의 가로를 중심으로 변화된 도시 형태를 파악하고, 보행 중심의 가로 조성을 통한 공공의 영역과 민간의 영역에서의 물리적인 변화를 살핀 후 공간의 실질적인 이용 주체인 내부인(상인과 주민)과 외부인(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인식 조사를 통해 성과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역사문화지역의 공간변화에 대한 해석은 향후 역사문화지역의 보존이나 관리에서 참고할 만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보행중심의 가로가 실효성이 있고 합리적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5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