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적자본과 주거만족도 측면에서 바라본 청년 1인 가구의 공유주택(Shared Housing) : Shared Housing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terms of Social Capital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은지

Advisor
이제승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2. 8. 이제승.
Abstract
1인 가구의 증가는 전형적인 가구유형의 변화뿐만 아니라 그들이 생활하는 주거유형과 주택환경의 변화까지 야기한다.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집은 생활과 휴식 이상의 공간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이와 함께 별도의 이동 없이 거주 공간 내에서 여러 공유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공유주택이 청년 1인 가구에게 주목받는 주거유형으로 부상하고 있다. 공유주택은 거주자 간 교류가 용이하며 한정된 주거비용으로 양질의 주거환경을 영위할 수 있다는 강력한 이점이 있다. 하지만 법적인 근거나 기준이 없어 열악한 주거환경을 양산할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의 대안적 주거로써 공유주택의 효용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를 통해 주택 유형 별 청년층 주거환경을 살펴보고,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교류에 공유공간이 끼치는 기여도와 청년층 주거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내 청년 1인 가구 및 공유주거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만 19-34세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사회적 교류도 및 주거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NOVA,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 정량분석을 통해 주택유형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주택 유형 별 사회적자본과 주거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공유주택 거주자 및 운영자 대상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공유주택 주거인식과 개선점, 사회적자본과 주거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 등 설문조사로 충분히 측정되지 않은 연구결과를 보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청년 1인 가구가 주거만족을 느끼기 위해서 최소 7평(24.1m2)의 거주면적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월 주거비용은 60만원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비공유주택에 비해 공유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자본과 주거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난다. 공유주택 내 공유공간은 사회적 자본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주거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피트니스 공간과 커뮤니티 라운지를 배치하면 사회적 자본을 효과적으로 높여 거주자 간 교류를 증진시킬 수 있다. 거주자는 주거지 내 교류도가 높을수록 공유공간까지도 거주면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주거지 내 공유공간을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청년 1인 가구 중 공유주택 거주자는 대부분한정된 비용으로 다양한 공간을 향유할 수 있음을 이유로 공유주택을 선택하였다. 주거비용이 월 80만원 이상인 고급형 공유주택을 제외하면, 비공유주택과 공유주택의 월 평균 주거비용은 40만원 이상 60만원 미만으로 비슷한 수준이다. 하지만 비공유주택의 경우 보증금이 비싸고 계약기간이 길며, 중도퇴실 하는 경우 위약금을 지불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고용과 소득 측면에서 다른 연령층에 비해 불안정성이 높은 청년층이 부모의 도움 없이 높은 주거비용을 감당하기는 쉽지 않다. 반면 공유주택은 보증금이 월세와 비슷한 수준이거나 평균 보증금보다 현저히 낮아, 목돈을 마련하기 어렵거나 주거지원을 받기 어려운 학생 및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 매력적인 주거모델로 각광받고 있다. 단기계약이 가능하고 위약금 부담이 없는 점 또한 주변 환경이 변하는 대로 언제든지 떠날 수 있는 학생과 사회초년생 청년 1인 가구에게 매력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증분석에서 공유 피트니스룸, 커뮤니티 라운지, 코워킹 스페이스는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자본과 주거만족도를 높이는 공유공간으로 나타난다. 공유 피트니스룸과 커뮤니티 라운지를 배치할 경우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켜, 거주자 간 교류를 도모하고 자연스럽게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코워킹 스페이스는 주거비용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인터넷에 연결된 장소 어디에서든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디지털 노마드 직종과 자유로운 형태의 계약을 가진 개인들이 늘어남에 따라 코워킹 스페이스와 같은 공유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주거기능이 복합화 되고, 팬데믹으로 인해 생활반경이 축소되면서 주거지 내에서 학업·업무·휴식·문화 등 다양한 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지가 주거 전반적인 만족도를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비공유주택과 비슷한 수준의 주거비용을 지불하면서도 공유주택 내 다양한 공유공간을 영위하며 교류할 수 있는 점은 청년층에게 분명 매력적인 주거 선택요인이다.
공유주택에는 다양한 사회계층의 사람들이 모여살고 거주자들이 모일 수 있는 공유공간이 있어 비교적 자연스럽게 공동체 형성 및 교류가 가능하다. 공유주택 거주자 대부분 주거비용에 사회적 네트워크 비용, 외부활동에 견하는 공유공간이용의 비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일부 거주자는 주거비용이 다소 높아지더라도 다양한 공유공간을 향유할 수 있다면 공유주택을 선택할 것이라고 답하였다. 하지만 실제 거주자 및 운영자 인터뷰에서는 공유주택 내 공유공간 이용률은 높지만 거주자 간의 교류 정도는 낮은 수준이라는 답변이 전반적이었다. 운영자 측에서 커뮤니티 활동을 장려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참여도가 낮으며, 교류를 선호하는 일부 거주자만 꾸준히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공유주택 내 커뮤니티가 한정적이며, 이미 형성된 커뮤니티에 새로 유입된 거주자가 합류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교류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 및 운영방안이 필요하다. 공유주택 거주자들은 거주자 교류도를 높이기 위해 프로그램이 다양해질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특히, 직접 대면하여 물리적인 접촉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수강형의 수동적인 프로그램이 아닌, 직접 참여하고 활동할 수 있는 적극적인 프로그램 유형이 도움 된다고 답변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공유주택은 개인 또는 기업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개인이 아파트와 같은 주택을 매입하여 전대하는 방식으로 운영했으나, 최근에는 기업이 조직적으로 공유주택을 구축하고 운영·임대하고 있다. 기업의 개입으로 주택의 임대와 관리 측면에서 보다 전문성을 띄게 되었으며, 내부 공간 구성 및 인테리어 계획 시 전문가 개입으로 보다 쾌적한 내부 환경이 구축되어 거주자의 만족도 또한 증가했다. 거주자들은 주로 보안·비용 안전성·인테리어·청소·시설관리 측면에서 큰 만족도를 보였으며, 코리빙과 같이 공유공간이 다양하고 교류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경우에는 공유공간의 운영방식과 교류 프로그램의 질까지도 거주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공유주택은 사회적교류 및 주거만족도가 높은 주거유형이다. 하지만 공유주택은 잠시 머무르는 임시주택이라는 인식이 크고, 공간을 타인과 함께 공유하기 때문에 소위 내 집이라고 느낄 수 있는 심리적 안정감이 부족하다. 인터뷰에서도 공유주택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만, 사회적 시선 때문에 공유주택에 오래 거주하지 못하겠다는 거주자들이 많았다. 실증분석에서도 거주 면적이 일정 이상 넓어지게 되면 공유주택보다 비공유주택에 거주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공유주택의 주 이용층인 청년 1인 가구는 주변 환경의 변화가 잦기 때문에 이주율이 높고 거주 지속성이 낮다. 이러한 요인을 근거로 공유주택이 지속가능한 주거 모델로 자리 잡기 위한 안정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며, 공유주택의 인식 개선을 위해 홍보 기회를 확대하고, 다양한 관광·학교·비즈니스 등의 업계와 협업을 통해 서로 상부상조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창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causes not only changes in household types but also changes in the housing type and housing environment in which they live. With the prolonged pandemic, "home" has expanded its meaning to a space beyond living and resting. In addition, "Shared Housing," which allows users to use multiple shared spaces within the living space without movement, is drawing the atten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Shared Housing" has a strong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a high-quality residential environment with limited housing costs. However, there is no legal basis or standard, so there is a concern that it will mass-produce a poor housing environmen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the utility and sustainability of shared housing as alternative housing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hrough the study, I will examine the housing environment for young people and explore factors that can improve the contribution of shared space to the social inter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and the satisfaction of housing for young people. To this end, a survey on social interaction and housing satisfaction was conducted on single-person households aged 19-34 years old living in areas where young people and shared housing are concentrated in Seoul. Factors influencing housing type selection were examin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such as ANOVA, multi-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social capital and housing satisfaction by housing type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nalyzed data,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residents and operators of shared housing. Through this, research results that were not sufficiently measured were supplemented by surveys, such as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housing awareness and improvement in shared housing, and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social capital and housing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 minimum residential area of "24.1m2" must be secured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o feel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monthly housing costs should be set to "less than 600,000 won." In addition, both social capital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in shared housing is higher than that in unshared houses. The shared space in shared hous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t is important to form social capital because the higher the social capital, the higher the housing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placement of "fitness room" and "community lounge" can effectively increase social capital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residents. Since residents tend to recognize the shared space as a residential area, properly arranging the shared space in the residential area can be a way to increas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long run.
Most of the residents of shared housing chose shared housing because they could enjoy various spaces at a limited cost. The average monthly housing costs of unshared housing and shared housing are 400,000 won to 600,000 won, which is similar. However, in the case of unshared housing, the deposit is expensive and the contract period is long, and if you leave on the way, they have to pay a penalty. In addition, it is not easy for young people with high instability in terms of employment and income to cover high housing costs without the help of their parents. On the other hand, shared housing is an attractive model among students and job seekers because the deposit is similar to the monthly rent or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verage deposit. The fact that short-term contracts are possible and there is no burden of penalties is also an attractive factor for student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who are new to society and can leave at any time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hanges.
fitness room, community lounge, and co-working space are the shared spaces that increase the social capital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fitness room and community lounge" increases social capital and promotes interaction between residents and form communities. "Co-working Space" increases satisfaction with housing costs. as the number of individuals with free contracts with digital nomads increases, the demand for shared spaces such as co-working spaces is increasing. As residential functions are complexed and the radius of living is reduced due to the pandemic,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such as study, work, rest, and culture in the residential area is affecting the increase of housing satisfaction. The fact that people can use various shared spaces and interact with residents while paying a similar level of housing costs to unshared houses is clearly an attractive housing choice for young people.
In the shared housing, there is a shared space where people from various social classes live together and residents can gather, so it is possible to form and interact with communities relatively naturally. Most residents of shared housing recognize that housing costs include social network costs and shared space fees. Some resi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choose shared housing if various shared spaces were available even if housing costs were somewhat high. However, actual residents and operators answered that the utilization rate of shared space in shared housing is high, but the degree of interaction between residents is low. Although operators are encouraging community activities, participation is low. only some residents who prefer communication are steadily participating. As such, communities in shared housing are limited, and it is difficult for new residents to join communities that have already been formed. A new program and operation plan are needed to supplement this. Residents of shared housing mentioned the need to diversify their programs to increase the degree of resident interaction.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increase physical contact face-to-face and that the type of active program to participate and engage in activities is helpful.
In the past, individuals mainly purchased and subleased apartments, but recently, companies have systematically built, operated, and rented shared housing. Due to corporate intervention, it has gained expertise in terms of housing rental and management, and a pleasant internal environment has been established when planning interior spaces and interiors, increasing residents' satisfaction. Residents showed great satisfaction mainly in terms of security, cost safety, interior, cleaning, and facility management, and when shared spaces are diverse and interactive programs are operated, even the operation methods of shared spaces and the quality of programs are factors to improve residents' satisfaction.
Shared housing is a type of housing with the high social exchange and housing satisfaction. However, there is a large perception that shared houses are temporary houses that stay for a while, and because they share space with others, there is a lack of psychological stability that can feel like a so-called "my home". In interviews, satisfaction with shared housing was high, but many residents said they could not live in shared housing for a long time due to regarding social. In the analysis, if the residential area is wider than a certain amount, the probability of living in a non-shared house is higher than that of a shared house.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are the main users of shared housing, have a high migration rate and low residence persistence becaus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hanges frequently. Based on these factors, it is necessary to find a stabilization plan to establish a sustainable residential model, expand promotional opportunities to improve awareness of shared housing and create various opportunitie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through cooperation with various industries such as tourism, school, and business.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55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