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동조합의 노조몰입도와 기업의 조직몰입도 관계 분석 : Relationship analysis of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d Commitment to the Union
공공부문(공기업, 준정부기관 구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수

Advisor
금현섭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동조합활동경험노동조합활동목적노조원반응노조몰입도조직몰입도공공기관유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2. 8. 금현섭.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노동조합과 기업의 노사관계에 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노동조합과 기업에 구성원인 노조원이자 근로자인 개인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고자 한다. 근로자와 노조원 상호 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노동조합과 기업의 발전적인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볼 것이다.
공공부문의 특수성(고용 안정성, 쟁의행위의 한계 등)으로 인해 노동조합의 노조몰입도가 기업의 조직몰입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노조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지표인 노동조합 활동 경험과 그에 따른 노조원의 반응을 정의하여 노조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또한 노동조합 활동의 목적이 노조몰입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조몰입도와 조직몰입도의 정(+)의 관계(이중몰입)이 공공부문의 유형별로 차이가 있을지 규명할 것이다. 연구 대상은 공공부문 중 공무원을 제외한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다.
(가설1)에서는 독립변수인 노동조합 활동 경험 및 목적, 노조원 반응(노조도구성, 노조지원지각)이 종속변수인 노조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가설2)는 독립변수인 노조몰입도가 종속변수인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가설3)은 공공기관 유형별 이중몰입도의 차이 등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운법 제4조에 의거 2021년 공공기관으로 지정된 370기관 중 공기업(36)와 준정부기관(96) 등 132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30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조사대상자의 개인특성 및 사회적 배경과 각 변수들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에 더 오랫동안 근로하고, 직급이 올라가고, 결혼하여 부양가족이 많아질수록 조직몰입도가 증가하였다. 비노조원보다 노조원이, 노동조합이 상급단체 미가입된 기관의 근로자보다 상급단체에 가입된 기관의 근로자가 노조몰입도가 더 높았다. 노동조합이 상급단체 미가입된 기관의 근로자보다 상급단체에 가입된 기관의 근로자가 노조원 반응(노조도구성, 노조지원지각)이 높았다.
(가설1-1) 노동조합 활동 경험과 노조몰입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모형에서 유의하지 않았지만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노동조합 활동을 경험하거나 노동조합 활동에 선호가 있는 집단이 노조몰입도가 더 높다는 결과는 도출할 수 있었다.
(가설1-2) 노조원반응(노조도구성, 노조지원지각)은 노조몰입도에 강한정(+)의 영향을 미쳤다. 노동조합이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는 정도인 노조도구성과 노동조합이 노조원들의 행복을 돌보는 정도에 관한 노조원들의 일반적 믿음인 노조지원지각이 클수록 노조몰입도가 증가하였다.
(가설1-3) 노동조합 활동의 목적 일부만 노조몰입도와 유의하였다. 당초의 가설은 노동조합의 제1목적인 근로조건 개선사항이 노동조합 활동의 목적일 경우 노조몰입도와 정(+)의 영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노동조합 활동의 목적으로 근로조건 개선사항, 인사사항, 경영사항등은 유의하지 않고 노사간 절차사항만 유의한 결과를 도출했다. 노조원의 노조몰입도를 증가시키는 노동조합 활동의 목적은 노사간 절차사항임을 입증했기에, 노조몰입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노동조합 활동의 방향을 제시했다고 본다. (가설1)을 종합하여 분석하면 노동조합이 노조원의 노조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들을 파악해 볼 수 있다. 노동조합은 노조원을 노동조합 활동에 참여시키거나, 그 활동의 목적이 무엇인지 노조원에게 주지시켜주는 것보다 노조원이 노동조합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더 나아가 노동조합을 유용한 수단으로 인지하기보다 노조원을 믿어주는 후원 관계로 인지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노조몰입도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일 것이다.
(가설2) 노조몰입도가 조직몰입도에 강한 정(+)의 영향을 보여주며 이중몰입 발생을 검증하였다.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조법) 상 제한과 국민들의 높은 관심으로 공공부문(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은 민간부문보다 쟁의행위가 발생하기 어려운 노동조합 집단의 특수성이 있다. 또한 공공부문은 민간부문보다 고용안정성이 높고 근속연수가 길다는 노조원 개인의 특수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공공부문에서 노동조합의 근로조건 개선사항이 단체협약에 반영되고 노조원들이 개선된 근로조건을 경험하면서 조직에 더 몰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공공부문에서는 조직의 성과와 직결되는 조직몰입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노조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공공부문의 노동조합과 노사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은 협력적 노사관계를 위해 다양한 노사관계 정책과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지만, 노조몰입도 제고만으로도 기업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가설3) 노조몰입도와 조직몰입도의 정(+)의 관계에서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지만 조절효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설립형태 및 정부와의 관계에 대한 차이점과 노조법 상 쟁의행위 효과의 차이점을 고려하여 조절효과를 예상했지만, 두 집단 간 차이점이 뚜렷하지 않았기에 조절효과가 도출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노조몰입도와 조직몰입도의 관계, 나아가 이중몰입의 정도는 공공부문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환경에 따라 시계열적 변화가 가능하므로 공공기관의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연구의 한계점은 노조몰입도와 조직몰입도의 인과관계의 선행성에 대해 밝히지 못한 점, 노조몰입도와 조직몰입도의 정의관계(이중몰입)는 시계열적 변화가 가능할 것인데 공공기관 유형이라는 조절변수를 통한 횡단면 분석만 시행한 점, 코로나19로 인한 설문조사의 한계로 대표성 있는 표본을 확보하지 못한 점, 변수 중 일부를 범주형 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의 한계가 있었던 점 등이 있다. 향후 다른 연구에서 위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더욱 발전된 분석결과를 도출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does not focus on labor-management relations between labor unions and companies, but rather on the interaction of individuals who are members of labor unions and companies. Let's discus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labor unions and companies through the impact on workers and union.
I would like to study how commitment to the union affects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public sector (employment stability, limitations of disputes, etc.). In order to do so, I will look at the impact on commitment to the union by defining the experience of labor union activities, which is a leading indicator that affects commitment to the union, and the reaction of union members. It will also look at how the purpose of union activity affects commitment to the union.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d commitment to the union (double commitment) was identified by type of public sector. The subjects of research shall be workers of public corporations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excluding public officials, among the public sector.
(Hypothesis 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xperience and purpose of labor union activities,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impact of the union member reaction (union instrumentality, perceived union support) on commitment to the union, which is a subordinate variable, (Hypothesis 2) the impact of commitment to the union,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on th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which is a subordinate variable, and the relative size of double commitment by type of public institution (Hypothesis 3).
A 306-minute survey was conducted on 132 institutions, including public enterprises (36)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96), among 370 institutions designated as public institution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backgrounds of the subjects surveyed and each variable. The longer they worked in the organization, the higher their positions, and the more dependents they got married, the more their o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increased. Union members were more engaged than non-union members, and workers at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Senior labor union organization were more engaged than those at institutions without Senior labor union organization. Workers at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Senior labor union organization responded more to union members (union instrumentality, perceived union support) than workers at institutions not affiliated with Senior labor union organization.
(Hypothesis 1-1) The experience of labor union activities and commitment to the union were not produced any significant results. Although it did not produced any significant results to the research model, Annova analysis has led to the result that groups that experience labor union activities or prefer labor union activities have a higher level of commitment to the union.
(Hypothesis 1-2) The reaction of union members (union instrumentality, perceived union support) had a strong (+) influence on commitment to the union. The larger union instrumentality, which is perceived as a useful tool, the greater commitment to the union. In addition, the greater perceived union support, the general belief of the union members on the degree of taking care of the happiness of the union members, the greater commitment to the union.
(Hypothesis 1-3) The purpose of the labor union activities and commitment to the union resulted in only a few significant results. The original hypothesis was that if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which is the primary purpose of the labor union, is for the purpose of labor union activities, it will have a (+) influence on commitment to the union. However, for the purpose of labor union activities, working conditions, personnel, and management failed to produce significant results and only paid attention to the procedure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Since the purpose of labor union activities to increase commitment to the union of being proved to be a procedure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I think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labor union activities that could enhance commitment to the union.
(Hypothesis 2) Commitment to the union have a strong (+) influence on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d verified the occurrence of double commitment. Under the Labor Union Act, restrictions and high public interest make it difficult for the public sector (public corporations and quasi-government agencies) to engage in disputes(strike, etc) than the private sector, which has a special nature of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The public sector ha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union members who have higher job security and longer service years than the private sector. In the public sector, improvements in the working conditions of labor unions will be reflected in collective agreements and union members will be more immersed in the organization as they experience them. Therefore, the public sector should consider ways to improve commitment to the union in order to increas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direc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Labor unions and organizations in charge of labor-management affairs in the public sector carry out various labor-management policies and activities for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but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enhancing commitment to the union itself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companies.
(Hypothesis 3) The type of public institution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the un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but no adjustment effect was achieved. Although the adjustment effect was expected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ype of establishment of public corporations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and the effects of the dispute(strike, etc) under labor union law, it is interpreted that no control effect was achieved because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simply difficult to grasp the adjustment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public institution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the un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d even the degree of double immersion can change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public sector.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nclude the failure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the un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e lack of representative sample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urvey due to COVID-19, and the limitations of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some of the variables as categorical variables. I hope that the above limitations will be supplemented in other studies in the future to produce more advanced analysis resul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69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2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