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Compatibility of Forming Digital Trade Norms with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Norms : 형성 중인 디지털 무역규범과 세계무역기구 규범의 조화: 디지털 무역협정과 WTO 규범과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Digital Trade Agreements and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Norm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주하

Advisor
구민교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WorldTradeOrganizationNorms(WTONorms)DigitalTradeNormsDigitalTradeDigitalEconomyDigitalFenceDigitalEconomyPartnershipAgreement(DEPA)세계무역기구규범디지털무역규범디지털무역디지털경제디지털장벽디지털경제동반자협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글로벌행정전공, 2022. 8. 구민교.
Abstract
WTO체제가 지난 30여년간 쌓은 자유무역의 경험과 관행은 국제 무역에서 꽤 잘 적용되어왔고 자유무역규범 확산에 기여한 것은 명백하다. WTO는 다양한 무역분야에서 98%를 차지하는 최다수의 회원국을 보유하면서 자유무역의 다자적 규범을 창설하고, 분쟁해결체계를 도입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코로나19 전염병 확산 상황에서의 디지털 무역의 증가는 디지털 분야에서의 새로운 규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디지털 분야에서 WTO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서 개별 국가들은 자국의 이익을 반영한 국제적 표준을 선제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결국 디지털 무역분야가 아직 충분히 발전하지 않았고 여전히 규범을 형성 중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현재 미국과 중국, 그리고 제3국이 형성중인 디지털 무역규범이 기존 다자무역 규범인 WTO 규범과 공존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제기한다. 특히, 디지털 무역분야에서 대표적인 규범창설자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미국은 시장개방을 중시하는 자유무역에 치우쳐있는 반면, 중국은 자국 유치산업을 보호하고자 하는 보호무역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미국과 중국의 국내 정책과 국내법과 더불어 양자가 진행해온 각각의 자유무역협정에 반영되어 있다. 특히 미국이 밑그림을 그렸던 두 협정인 서비스무역협정(Trade in Service Agreement)과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은 민간분야의 자율성을 강조하면서 자유무역을 강조하는 WTO의 비차별주의, 시장접근성 강화, 공정경쟁과 투명성 원칙 등을 담고 있다. 반면, 중국의 경우는 반대로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에서 WTO의 자유무역규범을 원론적인 수준에서 제시하거나, 비차별원칙을 의도적으로 배제함으로써 보호주의적인 관점을 담아냈다.
한편, 미국과 중국 주도의 다자무역협정에서 벗어나, 뉴질랜드, 싱가포르, 칠레 3국은 독자적인 디지털경제동반자협정(DEPA)을 체결하였다. 이 협정은 대상범위는 확대하고 보다 포괄적인 자유무역규범을 제시하면서 다양한 디지털 관련 주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소통창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그 회원국으로 미국이나 중국을 포섭하지 못한다면 협정의 영향력은 기대 이하가 될 가능성이 있고, 자유무역의 주요 원칙인 비차별원칙이 분쟁해결의 주제에서 제외됨은 그 구속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이렇게 대치되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정책기조는 단기적일 것으로 보이며, 중국 디지털 유치산업이 충분히 성장하여 시장확대를 노리는 장기에는 중국 역시 디지털 자유무역으로 선회할 가능성이 보이므로 장기적인 자유무역 협력이 기대된다. 즉, 장기적으로 디지털 산업이 충분히 성장하게 된 이후엔 개별국가들이 디지털 무역에서 이익 조정을 통해 비차별, 시장접근성, 공정경쟁, 투명성 등의 자유무역 규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그 결과 다자간 자유무역 규범이라 할 수 있는 기존의 WTO 체제는 디지털 자유무역 규범의 버팀목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특히 WTO 분쟁해결기구가 개별 국가들의 자유무역 규범 이행에 구속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해왔음을 고려할 때, 디지털 무역규범이 WTO 체제를 활용하여 자유무역규범을 공고히 하는 경우, 새로운 체제를 구축하는 비용은 극소화되고 기존 분쟁해결 인프라를 활용하는 이익은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WTO 역시 새로운 규범에 맞춰 보다 유연한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이다. 특히 분쟁해결제도와 관련하여, 디지털 무역에 기존 비차별원칙의 동종상품에 대한 판단 기준이 적용되기 어렵고 개별 국가들은 비차별적 조치에 대한 디지털 무역 분쟁을 분쟁해결제도하에서 해결하길 원치 않는다. 그러므로 WTO 역시 디지털무역에 관한 한 분쟁해결제도를 보다 정교화하고 점진적으로 적용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구속력을 높여갈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It is clear that World Trade Organization (WTO)s experience and practice of free trade for about three decades have worked quite decently and have devoted to widespread free trade norms. In addition, WTO system is crucial in the free trade history because its members account for 98% of world trade and it introduced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The number of its members and binding effects of dispute settlement are enough to create the multilateral free trade norms in global econom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pandemic, however, have required for new norms in digital economy. As soon as WTO fails to respond to the new area, individual states started to make an effort to form new global standards in global economy second to none.
As a result, considering that the digital trade sector has not ripen yet and states are still in the process of molding the norms, this research expects to see if those trade norms made by the United States (U.S.), China or the third parties can coexist with the existing WTO system. Especially, the U.S., a representative in global norm making, is relatively more tilting toward the free trade tendency focusing on market opening, while China takes more protectionist stance setting a high value on raising its infant digital industry.
Those ideas are reflected into the digital trade agreements from the U.S. and China as well as their domestic policies and domestic laws. First of all, the Trade in Service Agreement (TiSA) that the U.S. concluded and the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CPTPP) that the U.S. designed put an emphasis on autonomy of private sectors and contain free trade norms of WTO such as non-discrimination principles, improvement of market access, support for fair competition and transparency principle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China,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led by China holds the WTOs free trade norms in a soft language or shows the protectionism aspect by leaving out the non-discrimination principles of WTO,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free trade.
Meanwhile, aside from the U.S. and China-led multilateral trade agreements, the research takes a look into the Digital Economy Partnership Agreement (DEPA), which was concluded by Singapore, New Zealand and Chile in 2020 in order to promote digital trade and set a framework for the digital economy. DEPA is meaningful because it officially broadens the range of digital agreements, and comes up with more comprehensive norms than before, providing the communication window to quickly respond to the uprising issues. However, if it fails to embrace the U.S. or China as its member, the significance of the regime can be underestimated. Moreover, the fact that DEPA excludes the non-discrimination principle from subjects of th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weakens the binding effect of itself.
Nevertheless, this confront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n digital trade norm making seems temporary. Because China expects to nurture its infant digital industry enough to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long term, China would change its attitude toward free trade in order to penetrate into foreign markets, resulting in the free trade cooperation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in the end, when digital industry develops enough to open its market and find outer markets, individual states would adjust interests among them and would form a global consensus on free trade norms such as non-discrimination, market access, fair competition and transparency in digital trade. As a result, the existing WTO system as multilateral free trade norms plays the supporting role for digital free trade norms. If digital trade norms make use of the existing WTO system in order to consolidate its free trade system, it can minimize the cost of building a new system. In particular, regarding that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DSB) has implemented a binding effect in the WTO system by inducing member states to follow the WTO norms, digital free trade norms based on the WTO system can maximize the benefits of dispute settlement infrastructure of DSB.
At the same time, the WTO system also needs to take more flexible attitude in line with the new global norms. Especially regarding the dispute settlemen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existing the like product judgement of non-discrimination principle and individual states have made the exceptions in the digital trade agreements, showing that they do not want to bring disputes on non-discriminatory treatments to the dispute settlement regime. Therefore, WTO also needs to design more elaborat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adequate to digital trade and makes efforts such as gradual implementation of th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This adjustment can help WTO reinforce its binding effects, which other agreements are not equipped with.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72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2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