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족친화제도가 조직 동일시와 이직의향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Intensity of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male managers
남성관리자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유리

Advisor
이수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족친화제도가족친화제도활용가능도남성관리자조직동일시이직의향조직몰입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22. 8. 이수영.
Abstract
본 연구는 가족친화제도의 활용 가능도에 대한 인식 정도에 주목하여 그것이 남성 관리자의 조직 몰입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으며, 또한 이를 통해서 남성 관리자들의 조직 몰입을 좀더 향상시키기 위한 요인을 도출하여 일-가정 병행의 해결책을 제시함과 동시에 조직 관리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재직하는 직장의 가정친화제도 활용가능도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직장의 문제와 본인의 문제를 동일시하는 강도가 높아질 것이다, 재직하는 직장의 가정친화제도 활용가능도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질 것이다 등 2개의 가설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직장이나 국가적 차원에서 제공하는 가정친화제도 중 아주 일부제도의 활용 가능도에 대한 인식만이 남성 관리자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출산전후휴가(배우자 휴가 포함), 직장 보육시설 제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의 3개 제도 중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만이 그것의 활용 가능도에 대한 인식 정도가 강해질수록 남성 관리자의 조직 동일시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출산전후휴가 제도와 직장 보육시설 제도 등 나머지 제도들의 활용 가능도에 대한 인식 정도는 조직 동일시와 이직의향 강도 등 조직 몰입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은 기존 선행연구들이 주로 분석하지 않은 남성 관리자들의 가족친화제도의활용 가능도에 대한 인식 정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이것이 조직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정책 대상자인 남성들에게 좀더 어필하고 실효성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족친화제도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도울 수 있었다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또한 특정 가족친화제도의 도입이나 시행에 성공했다고 하여 모두 조직원들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가족친화제도의 유무나 도입 그 자체에만 만족할 것이 아니라, 일과 가정의 성공적인 병행과 그로 인한 조직원의 직무 몰입도 향상 및 사기 진작 등 추가적인 성과라는 성공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이후에도 지속적인 연구와 사후 분석, 치밀한 관리가 필요함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직장보육시설 제도나 출산전후휴가 제도보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가 남성 관리자들의 조직 동일시에 더 실효성이 있다는 검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근무 시간 동안에도 근거리에 돌보아야 하는 아동이 있게 하거나 아예 일정 기간 동안 근무 환경에서 이탈할 수 있게 하는 것보다는 정해진 일정 범위 안에서 육아를 위해 유연하게 기존보다 근무 시간을 낮출 수 있게 하는 것이 더 기대에 적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Focusing on the level of perception on the availability of the family-friendly system,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the family-friendly system on male mana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find factors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ale managers, and present a solution for dual pursuit of work and family and suggest useful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we verified two hypotheses mentioned below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re male managers perceive that the family-friendly system at the current workplace is highly available, the higher the intensity of their equating workplace problems with his own problems.
The more male managers perceive that the family-friendly system at the current workplace is highly available, the lower their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n the availability of only a few family-friendly systems provided at the workplace or national lev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le manag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detail,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ption on the availability of only one systems, such as working time reduction system during the childcare period, the more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male managers were likely to increase. But the degree of perception on the availability of other systems, such as the maternity leave system (including the leave of spouse) before and after the childbirth, the workplace childcare facility system,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a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intensity of turnover intentio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family-friendly syste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ale managers using the degree of their perception on the availability of the family-friendly system as an independent variable, which had not been analyz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we were able to help present guideline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family-friendly system, which can be more appealing and effective for men, the policy target groups. In addition, it was also revealed in this study that even if a specific family-friendly system was successfully introduced or implemented, it does not mean that every one of th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mbers of organization. This indicates that we should not be just satisfied with the existence or introduction of a family-friendly system, but we are in need of continuous research, follow-up analysis, and meticulous management of the family-friendly system in order to expect successful effects such as dual pursuit of work and family, improvement in job immersion of organization members, and boost of their morale.
Finally, it was also revealed in this study that the reduced working hour system during childcare are more effective for male manager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an the maternity leave system or workplace childcare facilities. It was also found in this study that flexibly reducing working hours to a certain extent for childcare may be more in line with their expectations than allowing the male mangers to keep away from their work complete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eaving their children in near distances they have to care for even during working hou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72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8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