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기관의 이완결합 양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Loose Coupling Aspect in Public Institutions : Focusing on public institutions of culture and art
문화예술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병석

Advisor
최태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문화예술공공기관조직결합이완결합조직통제경영평가협업공공기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22. 8. 최태현.
Abstract
Public institutions were established to achieve the purpose of each institution along with publicness. Public institutions provide necessary projects and services to the people in the middle of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Therefore, the field and scope of public institutions are very wide throughout society. However, that is why analysis and management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 may not be effective. This study identified the organizational linkag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s and analyzed how they appeared, focusing on cultural and artistic public institu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stitutional efficiency and goal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organizational link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rganizational linkage pattern of public institutions in culture and arts. To find out of organizational linkage in public institutions of culture and arts, it was analyzed in four aspects: whether organizational linkage called 'loosely coupled system' are appearing, what are the causes, what are their effects, and how organizational linkage chang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workers of institutions that provide culture and arts services, and literature studies on 12 institutions were also conducted.
As a result, firs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organizational linkage in the form of loosely coupled system that exist individually when it is one organization as a whole but is internally unique and exists individually. Although subordinated within one organization, the combination form between management - business departments and between business departments was loosely connected and existed independently and individually.
In this study, the causes of loosely coupled system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six categorie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ack of control. It was confirmed that external control over the business department was weak and focused on formal control.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tended to be fragmented because control was made using the relative evaluation system, and there was no incentive to control and monitor between departments. Second, in terms of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 qualitative evaluation was difficult, so the actual evaluation of the project requiring expertise was not performed. This is a similar result to previous studies that revealed that the main cause of loose coupling was insufficient control, monitoring, and evalu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need to understand mutual work because the possibility of mutual work circulation is very low. Fourth, in terms of collaboration, it was found that coordination, control, and incentives for collaboration were insufficient. Fifth, the ambiguous organizational purpose setting was identified as the cause of loose coupling. Since the stakeholders surrounding the organization are diverse, the purpose required by each stakeholder is changed, and ambiguity is generated in the organization's goal setting itself. This is consistent with the argument that organizations with loosely coupled system have ambiguous purposes. Sixth, the appearance of the linkage changed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However, when there is a systematic work system, the impact tends to decrease.
In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the loosely coupled system was disadvantageous in control and coordina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However,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creativity, and innovation required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In public institutions of culture and arts, the linkage of organizational tended to change from loosely coupled system to bureaucratic linkage. Institutions conform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ystem to secure their survival and legitimacy, and it can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ical institutionalism as they are subordinate to laws and procedures due to their identity as public institutions. In particular,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reason for this tendency to intensify is that it conforms to the needs of the subsidy provider because of its high dependence on external budgets.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limitations in data collection and subjectivity in setting research categories due to insufficient previous studies. However, since it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analyzes the linkage of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However, if the research is conducted by including not only public institutions in culture and arts, but also institutions that require expertise and creativity, such as research institutes,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will be further improved.
공공기관은 각 기관마다 고유의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공공성과 더불어 해당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공공기관은 정부 영역과 민간 영역의 중간지대에 위치하며, 국가와 사회에 필요한 사업,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그 분야와 범위가 사회 전반에 걸쳐서 매우 넓게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일률적이고 통일된 분석과 관리는 효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조직결합 특성을 이해하고, 그 중에서 문화예술 공공기관에서는 어떤 형태로 조직결합 형태가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조직결합에 대한 이해가 있을 때 기관 효율화, 목적 달성도 향상에 필요한 조직정책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공공기관의 결합 특성에 대해서 이완결합이 나타나고 있는지, 어떤 영향이 있는지, 원인은 무엇인지, 조직결합의 변화는 어떤 방향으로 나타나는지 총 4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문화예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종사자와의 심층 면접을 통해 진행되었고, 12개 문화예술 공공기관에 대한 문헌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화예술 공공기관에서는 조직이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조직으로 존재하나 내부적으로는 각각의 고유성을 가지고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이완결합 조직 형태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의 조직 안에 종속되어 있기는 하지만 경영관리부서-사업부서 간, 사업부서-사업부서 간의 결합형태는 느슨하게 연결되어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이완결합의 원인은 크게 6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 측면에서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사업부서에 대한 외부 통제가 약하고, 형식적 통제에 치중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대평가를 통한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조직이 파편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서 상호 간 통제와 감시를 할 유인이 없었다. 둘째, 평가의 측면에서는 정성적 평가를 도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성을 요구하는 사업에 대해 실질적 평가를 하지 못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완결합의 주요 원인으로 통제, 감시와 평가의 미흡함을 말하는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상호 업무 순환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상호 업무이해를 할 필요성이 없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협업의 측면에서는 협업을 위한 조정, 통제 장치와 협업을 위한 유인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모호한 목적 설정이 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해관계자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 이해관계자가 요구하는 목적이 달라지고, 거기에 따라 목적 설정 자체에서 불분명한 양태를 보였다. 이는 조직결합이 느슨한 조직들은 모호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과 일치하는 현상이었다. 여섯째, 기관장의 성향에 따라 결합의 모습이 달라지는 모습을 보였으나, 업무 시스템화 정도가 큰 경우는 그 영향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문화예술 기관에서 이완결합 형태는 조직 차원에서의 통제와 조정에서는 불리한 모습을 보였지만, 문화예술에서 요구되는 전문성과 창의성, 혁신성 발휘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 공공기관에서 결합 형태는 이완결합에서 관료적 결합으로 변화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사회학적 제도주의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기관은 자신의 생존과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변 환경과 제도에 순응하게 되는데, 공공기관으로서 가지는 정체성 때문에 법령과 절차에 종속되어 가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특히 이러한 경향이 심해지는 이유는 예산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지원금, 보조금 지급 주체의 요구에 순응하는 것으로 파악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자료수집의 제한성, 부족한 선행연구로 인한 연구범주 설정의 주관성 등 한계가 있으나, 문화예술 기관의 결합 특성을 분석하는 탐색적 연구이기 때문에 추후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문화예술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연구기관과 같이 전문성과 창의성이 요구되는 사업을 진행하는 공공기관까지 포함시켜 연구를 진행한다면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74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0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