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세기본법에 따른 실체법?절차법 체계하에서 정확한 담세력에 따른 과세를 어디까지 추구할 수 있는가? : A Giant Leap for Fairer Tax or Blind Compromise with Public Opin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지현-
dc.date.accessioned2023-04-20T07:06:03Z-
dc.date.available2023-04-20T07:06:03Z-
dc.date.created2018-10-10-
dc.date.issued2016-11-
dc.identifier.citation조세법연구, Vol.22 No.3, pp.9-63-
dc.identifier.issn1598-479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1354-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에서는 2000년대에 선고된 대법원 판결들 중 국세기본법 또는 세법 총론에 해당하는 쟁점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론적?실무적인 중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9개를 골라서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 각 판결의 배경과 주요 판시사항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평가하는데, 각각을 따로 고찰하기보다는 이들 판결들로부터 일정한 방향성을 찾아보려고 시도하였다. 특히 이러한 기본적인 실체적?절차적 사항들과 관련하여, 정확한 담세력에 따른 과세라는 가치와, 그 밖에 또 다른 가치를 추구하는 실체법?절차법적 제약 사이에서 결단을 내려야 할 때, 대법원이 많은 경우 정확한 담세력에 따른 과세를 우선시키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모든 판결에서 그러한 방향성이 일관되는 것은 아닌데, 그러한 경우라면 정확한 담세력에 따른 과세라는 가치를 희생시키면서 그보다 더 중시한 가치가 어떤 것인지, 그리고 실제로 그와 같이 중요하게 여길 만한 필요가 있는 것인지 여부를 분명히 따져 본 다음에 그러한 결과에 이르러야 함을 강조하였다.-
dc.language한국어-
dc.publisher한국세법학회-
dc.title국세기본법에 따른 실체법?절차법 체계하에서 정확한 담세력에 따른 과세를 어디까지 추구할 수 있는가?-
dc.title.alternativeA Giant Leap for Fairer Tax or Blind Compromise with Public Opinion?-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16974/stlr.2016.22.3.001-
dc.citation.journaltitle조세법연구-
dc.citation.endpage63-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9-
dc.citation.volume22-
dc.identifier.kciidART002170344-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윤지현-
dc.type.docTypeArticle-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subject.keywordAuthor국세기본법, 담세력, 절차법, 실질과세 원칙, 신의성실 원칙, 총액주의, 흡수설, 특례제척기간, 후발적 경정청구, 소득금액변동통지, 재조사결정, 세무조사, basic framework act for national taxes, ability-to-pay, tax procedures, tax administrative appeal, tax litigation, substance-over-form, estoppel or principle of “good faith, ”special statute of limitations for tax assessment, tax audit-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