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러시아어 발화동사의 상과 구문적 의미 - говорить - сказать를 중심으로 - : Aspectual Choice of Russian Verbs of Speech and Constructional Meaning - Focus on govorit - skazat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은지

Issue Date
2016-10
Publisher
한국슬라브어학회
Citation
슬라브어 연구, Vol.21 No.2, pp.87-114
Abstract
이상 본 연구에서 필자는 발화동사의 상 선택에 구문적 특성이 관여하고 구문과 상의 상호작용과 그 의미적, 화용적, 인지적 기능을 살폈다. 러시아어의 원형적 발화동사인 говорить-сказать가 이끄는 주절이 что 보어절을 갖는 구문은, 일반 직접목적어절의 종속관계의 구문이 아니라 불완전 타동성과 의미적 통합성을 갖고, 궁극적인 개념화 주체인 일인칭 발화사건 주인공 화자가 직접 혹은 삼인칭 주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발화내용에 대한 스탠스를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기제로서 이를 통해 또 다른 개념화 주체인 청자와의 상호인지적 인지적 조율을 돕는다고 주장하였다. 주절은 보어절과 통사적 통합의 정도가 о/про 전치사구의 부가어구보다 더 긴밀하고, 단일한 관점을 표지하는 부가어구와 달리 보어절 구문은 다중의 목소리가 내포된 구문으로 불완료상과 완료상의 선택을 통해 화자가 전달되는 발화내용에 대한 평가, 믿음, 발화효과행위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고 발화상대자가 전달되는 발화내용 메시지를 해석하는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사실 불완료상은 시간적 비한정성과 반복가능성, 비유일성, 가상성의 의미를 가짐을 보였는데 이런 의미자질은 보어절 구문에서 개념화 주체의 불확실성, 의구심의 태도를 드러내고 발화내용에 대한 거리두기를 통해 논쟁의 방향성과 강도를 조정하는 데 활용된다. 위에서 논했듯이, 주절의 인칭에 따른 완료상의 변별적 비중을 통해, 또한 부가어 구문과 보어절 구문의 변별되는 상 분포를 통해 부가어 구문에는 화자의 단일한 관점이 드러나고, 보어절 구문에는 이중의 관점이 조율됨을 알 수 있었다. 일반사실 불완료상이 보어절 구문과 상호작용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밝히지 못한 또 다른 화용적, 인지적 기능을 수행함을 보였고, 완료상 역시 그 한정성, 유일성, 실제성의 의미자질이 보어절 구문의 개념화 주체의 평가, 인식, 증거성의 스탠스를 유표적으로 드러내는 기능을 함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가 발화동사, 소통의미의 동사를 상과 관련하여 모두 동질적인 하나의 의미, 화용 범주로 취급하는 것에 대해서 본 연구는 говорить-сказать의 상 분포와 선택이 다른 발화 및 사고 동사와 변별됨을 보임으로써 향후 발화동사 개별적 특성에 주목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Ansombre & Ducrot (1989), Verhagen(2005) 등이 주장하는 언어의 문법과 어휘에 내재된 상호주관성과 논쟁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함의하는 연구로서도 의의가 있으며, 임의적, 자의적, 관성적으로 보이는 발화동사 상 선택이 인지적 조율을 바탕으로 한 상호주관적 소통이라는 언어의 본질, 근원적 목적에 충실함을 보이고자 시도하였다.

It has been noted that some Russian verbs, especially verbs of communication or speech, choose with no convincing grounds either perfective or imperfective aspect to denote a single past event. The so-called simple-denotational or general-factual usage of verbs of speech seems to be unconstrained and widely populated in Russian, serving only as an illocutionary marker or simply as a copula. Although there have been discourse-pragmatic approaches to explicate this apparent random choice of aspect, the previous studies treat all verbs of speech as a semantically homogeneous group and focus on the pragmatic features, such as authority or consequentiality of the given narrated event or its participants in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dicourse. In this study I deal with the most frequent and prototypical verbs of speech, specifically govorit(imp)-skazat(pf) and argue that semantics and pragmatics of various constructions of these speech verbs are interrelated with distinctive aspectual choices. Main focus is on the construction consisting of a main clause with govorit/skazat verbs in conjunction with a complement clause led by the conjunction chto, namely, the construction with finite complement clause. My argument is that this construction entails a specific cognitive structure: the subject of conceptualization(SC) and object of conceptualization(OC) are inseparably integrated and the SCs epistemic, evaluative, evidential stance is marked by the aspectual choice of the speech verbs, which differentiates this finite complement construction from the o / pro phrasal adjunct construction. Thus I argue that distinct aspectual distribution is due to the speakers stance toward the verbal material in the complement clause and the lack of this stance marking in the adjunct construction, where general-factual imperfective aspect can better be attested. The cognitive coordination grammatically assisted by finite complement construction, and discourse-pragmatic functions of Russian aspect in correlation with semantics of individual verbs and constructions represent another token of intersubjectivity and argumentativity, which is widely embedded and well exploited in language.
ISSN
1226-2323
URI
https://hdl.handle.net/10371/19136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