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뜻과 획의 예술: 북한 서예서체의 시각문화적 특성 : The Art of Meaning and Stroke: Visu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Calligraphy Letter Styl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김민수-
dc.date.accessioned2023-06-27T06:36:07Z-
dc.date.available2023-06-27T06:36:07Z-
dc.date.created2023-06-15-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citation아시아리뷰, Vol.12 No.3, pp.205-235-
dc.identifier.issn2234-038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286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북한에서 뜻과 획의 예술로 표현되는 서예서체가 어떠한 시각문화적 특성을 띠는지 북한의 서체 이론을 분석 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의 서체는 1980년대 이후에 구체적으로 서체 이론이 형성되어 개념과 유형이 체계화되면 서 지도자 필체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백두산 3대 장군의 필체에서부터 서사체의 범주를 포괄하는 서예서체는 주민들 의 생활 곳곳에 배치되어 북한만의 독특한 시각문화 경관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사회주의적 내용을 민족적 형 식에 담아내는 주체미학의 연장선상에서 당의 목소리는 서예서체로 시각화되어 대중에게 전달되었다. 오늘날 북한의 서 체는 700여 종에 이르며 다변화되고 있다. 북한의 서예서체를 분석하는 것은 변화하는 북한 시각문화의 흐름과 경험을 해 석해내는 데 하나의 단초를 제공한다.-
dc.language한국어-
dc.publisher아시아연구소-
dc.title뜻과 획의 예술: 북한 서예서체의 시각문화적 특성-
dc.title.alternativeThe Art of Meaning and Stroke: Visu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Calligraphy Letter Style-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24987/SNUACAR.2022.8.12.2.205-
dc.citation.journaltitle아시아리뷰-
dc.citation.endpage235-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205-
dc.citation.volume12-
dc.identifier.kciidART002914241-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민수-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subject.keywordAuthorNorth Korea-
dc.subject.keywordAuthorletter style-
dc.subject.keywordAuthortypography-
dc.subject.keywordAuthorcalligraphy-
dc.subject.keywordAuthorvisual culture-
dc.subject.keywordAuthor북한-
dc.subject.keywordAuthor서체-
dc.subject.keywordAuthor서예-
dc.subject.keywordAuthor타이포그래피-
dc.subject.keywordAuthor시각문화-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