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Factors and at-risk group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self-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amo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 latent class analysis :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고혈압 지체장애인의 자가관리행위 유형과 관련요인 탐색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남혜진

Advisor
윤주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hronic diseaseshypertensionhealth behaviorlatent class analysislifestylesphysically disabledself-management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3. 2. 윤주영.
Abstract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vulnerable to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In South Korea, over half of the population living with a physical disability suffers from hypertension. Understanding the typology of hypertension self-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will assist with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ology of hypertension self-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atent classes, and to recognize potential at-risk populations by comparing potential health outcomes among hypertensive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ata of 1,551 participants were extracted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Disabled Persons.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using five dichotomous indicators of self-management behaviors: smoking,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diet, and weight control. LCA model comparisons were performed using the measure of model-fit indices including AIC, BIC, saBIC, entory, and LMR. Determinants of self-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factors, and social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Further, health measures, such a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ubjective health, psychological health, patient satisfaction, and unmet medical needs, were compared.
The following thre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high self-management group (40.8%), harmful habitual behavior group (20.6%), and inactive behavior group (38.6%). Compared with the high self-management group, the predictors of belonging to the harmful habitual behavior group were being male, young, and single. Being female, employed, severely disabled, dependent with ADL, and unsatisfied with the number of friendships were predictors of the inactive behavior group. Those in the inactive behavior group had a po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oor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unmet medical need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re are mutually exclusive subgroups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regarding self-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identifies an array of predictive factors in each latent class membership, and distinguishes a high-risk group by comparing the health measures among patients with hypertension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alyzing subgroups may assist in identifying and meeting the diverse needs of self-management behavior support in hypertensive pati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현대사회가 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서 만성질환으로 인한 건강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고혈압은 전체 인구 사망의 13.5%를 차지할 만큼 심각한 만성질환이다. 특히 장애인은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의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은 건강취약집단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체 15 종류의 장애유형 중 가장 많은 장애 비율을 차지하는 지체장애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56.4%로 절반 이상이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증과 같은 대부분의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이며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라는 점에서 치명적인 질병이다. 더욱이 이는 한 번 발병하게 되면 평생을 두고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으로 높은 의료비용을 야기하기 때문에 예방과 관리가 중요하다. 고혈압은 일시적인 치료나 간호로써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압조절관리가 요구되고, 무엇보다 약물요법 외에 식이요법, 운동요법, 금연, 체중조절, 신체활동과 같은 생활양식을 통한 계속적인 자가 관리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 된다. 이러한 생활습관 자가 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그간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기존의 고혈압 관리를 위한 건강관리행위 연구는 개별 변수를 중심으로 접근하여 여러가지 생활습관 변화의 상호관련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행위들의 경험가능성을 기반으로 각 사례들의 이질적 집단을 구분해내는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사용하여 자가관리행위의 유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건강취약집단인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고혈압 자가관리행위가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를 LCA를 활용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고혈압 자가관리행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각 유형집단에 따른 건강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분석을 위해 총 1,551명의 고혈압 지체장애인 데이터가 산출되었다. 잠재계층을 탐색하기 위하여 고혈압 자가관리의 대표적인 생활습관 지표인 금연, 절주, 신체활동, 건강한 식습관, 체중조절 등 다섯 개의 변수를 잠재변수로 설정하여 LCA 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계층 추정을 위한 적합지표는 AIC, BIC, saBIC, entropy, LMR 을 이용하였다.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확인된 집단 유형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장애관련 특성, 건강관련 특성을 이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 유형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주관적 건강, 정신적 건강, 환자경험을 ANOVA 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LCA 분석 결과, 세 개의 잠재계층 유형의 적합지수는 AIC=8854.69, BIC=8977.66, saBIC=8904.59, Entropy=0.58, LMR=25.13(p <.05)로 나타났으며, 다른 잠재계층 유형과 비교한 결과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개의 잠재계층 집단이 나타내는 특징에 따라 high self-management 그룹(40.8%), harmful habitual behavior그룹(20.6%), inactive behavior그룹(38.6%)으로 명명하였다. 세 그룹 중 가장 고혈압 자가관리행위를 잘 하는 것으로 보이는 high self-management 그룹은 다섯 개의 자가관리 행위를 모두 높은 수준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 그룹의 모든 구성원이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harmful habitual behavior 그룹은 가장 낮은 수준의 금연과 절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nactive behavior 그룹은 건강한 식습관과 체중조절을 할 확률이 가장 낮은 것과 더불어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구성원은 아무도 없다는 특징이 확인되었다.
각 집단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high self-management 그룹을 참조그룹으로 설정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 harmful habitual behavior 그룹의 영향요인은 남성 (OR=8.63, CI=5.53~13.46), 미혼 (OR=1.55, CI=1.06~2.26), 젊은 사람 (OR=0.94, CI=0.92~0.95)으로 나타났고 inactive behavior 그룹은 여성 (OR=0.46, CI=0.34~0.61),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 (OR=0.49, CI=0.36~0.65), 중증 장애인 (OR=1.91, CI=1.36~2.70), 의존적 ADL (OR=1.50, CI=1.09~2.07), 친구 수에 대한 불만족(OR=1.61, CI=1.21~2.15)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건강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inactive behavior 그룹이 가장 낮은 건강관련 삶의 질 (0.72±0.23, p <.001)과 주관적 건강 (2.09±0.75, p <.001), 높은 우울수준 (21.9%, p =.006), 미충족 의료경험 (23.7%, p =.001)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규모 고혈압 지체장애인 자료를 활용하여 자가관리행위의 상호배타적인 유형을 확인한 첫 연구이다. 또한 각 잠재 계층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건강수준을 비교하여 고위험 집단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건강행위는 단일 행동에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닌, 집단 유형의 특성과 욕구 등 차별적 요인에 따라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유형화 연구를 통해 자가관리행위를 구분하고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건강증진 개입 및 정책 수립에 주요한 정보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장애인이라는 집단 내부의 이질적 속성에 따른 자가관리행위 유형에 따른 중재개입의 근거 마련과 고위험 집단에 집중하여 집단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 필요한 자원 및 서비스 연계 등에 보다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295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50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