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Latent Classes of Frailty Trajectories and Their Predictors among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 지역사회 거주 중·고령자 노쇠 궤적의 잠재계층유형 및 예측요인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아람

Advisor
윤주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FrailtyFrailty trajectoryMiddle agedOlder adults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National population cohort study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3. 2. 윤주영.
Abstract
There is no study on the frailty trajectory including both middle-aged and older peopl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long-term frailty trajectory is insufficien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railty trajectory, subgroups of the frailty trajectory, and the predictors that differentiate these subgroups among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participants were 9,775 individuals aged 45 years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06–2018). Frailty was measured using a frailty instrument comprising three items: grip strength weakness, exhaustion, and social isolation.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latent class growth modeling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frailty trajectory and latent classes of the trajector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confirm the predictors that classified the latent classes.
Over 12 years, the slope of the frailty trajectory among the participants showed a gradual increase.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atent class of frailty trajectorie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middle-age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maintaining robustness and changing from pre-frailty to robustness. The older adul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maintaining robustness, maintaining pre-frailty, and changing from the frailty to pre-frailty group. Regular exercise, cognitive dysfunc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hat differentiated each latent class in both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dditionally, current smoking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middle-aged people.
Various subgroups within the frailty trajectory existed among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o reduce frailty,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with modifiable factors appropriate for each age group.
현재까지 중년층과 노년층 모두를 포함한 노쇠 궤적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장기적인 노쇠 궤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중년 및 노년층의 노쇠 궤적, 노쇠 궤적의 하위 그룹 및 이러한 하위 그룹을 구분 짓는 예측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대상자는 2006~2018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참여한 지역사회 거주 45세 이상 성인 9,775명이었다. 노쇠는 악력 약화, 피로, 사회적 고립의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노쇠 도구(Frailty instrumen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노쇠 궤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잠재성장곡선모형을, 노쇠 궤적에 따른 하위 그룹인 잠재계층을 파악하기 위하여 잠재계층성장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잠재계층을 구분 짓는 예측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잠재성장곡선모형 분석 결과, 전 연령층에서 12년간의 노쇠 궤적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잠재계층성장모형 분석 결과, 노쇠 궤적의 잠재계층 수 및 양상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중년층에서는 총 2개의 잠재계층이(건강 유지군, 전노쇠에서 건강으로의 변화군), 노년층에서는 총 3개의 잠재계층이(건강 유지군, 전노쇠 유지군, 노쇠에서 전노쇠로의 변화군) 도출되었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중년층과 고령층 모두에서 규칙적인 운동, 인지 기능 장애, 사회 참여가 잠재계층을 구분 짓는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추가적으로, 중년층에서는 흡연 및 만성질환의 수가 잠재계층을 구분 짓는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사회 거주 중년층 및 고령층에서 노쇠 발달 궤적이 상이한 다양한 하위 그룹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노쇠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 연령대에 적합한 수정 가능한 요인을 사용하여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295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8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