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Role-modeling or Counter-modeling : 롤모델링 또는 카운터모델링: 사회학습관점에서의 임파워링 리더십
Empowering leadership in social learning perspectiv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민주

Advisor
윤석화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social learning theoryempowering leadershipabusive supervisionreputationself-efficacytask performanceproactive behavi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경영대학 경영학과, 2023. 2. 윤석화.
Abstract
The effectiveness of empowering leadership has been well established in past research. However, existing studies largely neglect the significance of the antecedents and development of leadership. Considering that empowered leaders could affect widely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re than empowered subordinates, this study conduct to evaluate the role-modeling effect of second-level leaders on direct leaders in Banduras social learning perspective. After examining the cascading effect of second-level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on direct leaders,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of direct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on subordinates task performance and proactive behavior. This in-role performance and proactive behavior induces a virtuous cycle of empowering leadership in terms of similarity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role performance and proactive behavior. That is, subordinate who shows high task performance and proactive behavior will have high possibility to show empowering leadership after he/she get leader position. Additionally, this paper pay attention to boundary conditions in which situations the direct leader imitates the second-level leaders leadership behavior, and in which situations he/she rejects the second-level leaders leadership. Consequently, this paper increases understanding of the virtuous cycle of empowering leadership within the organization by examin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cond-level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direct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subordinates task performance and proactive behavior.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level leader do abusive supervision, this paper suggests a way to break the vicious cycle by identifying the reinforcing factors that can lead to empowering leadership.
임파워링 리더십은 그 효과성에 대하여 구성원의 성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들의 조직시민행동까지 가져오는 등 그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많은 선행 연구들로부터 밝혀져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가져오는 구성원 및 조직 측면의 효과에 대해서 집중할 뿐, 무엇이 그 리더십을 이끄는지, 어떻게 조직 내에서 임파워링 리더십과 같은 긍정적인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가 드문 실정이다. 권한 위임(empowerment)을 받은 구성원의 조직 내 긍정적인 효과도 중요하지만, 리더가 그의 차상위 리더에게 권한 위임을 받았을 경우 조직에 미칠 긍정적 영향은 일반 구성원에 비해 더 클 수 있다는 점에 집중하여, 이 연구에서는 반두라(Bandura)의 사회 학습 관점(social learning perspective)을 기반으로 차상위 리더가 임파워링 리더십을 행사하여, 리더가 권한 위임을 받았을 경우, 그것이 부하 리더에게 롤모델로서 작용하여 선순환이 이루어질 것인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리더십의 적하효과가 구성원의 직무 성과와 조직 내 주도적 행동을 이끎으로써 이것이 추후 구성원이 리더의 위치로 갔을 때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차상위 리더와 리더의 적하효과에 대해 어떤 경우 차상위 리더를 롤모델로 삼아 그의 행동을 따라할 것인지, 어떤 경우 차상위 리더를 반면교사 삼아 그의 행동을 따라하지 않으려 할 것인지에 대한 경계조건을 살펴보고자 한다.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강화요인에 착안하여, 이 논문에서는 그 경계조건으로서 차상위 리더의 관점에서, 따라하고자 하는 대상인 차상위 리더가 조직 내에서 높은 보상과 인정을 받을 경우, 즉 높은 평판을 가지고 있을 경우 그 리더의 행동을 더욱 따라할 것이라고 가정하였고(롤모델링 효과 강화), 낮은 평판을 가지고 있을 경우 그 리더의 행동을 따라하지 않으려 할 것이라 가정하였다(반면교사, 카운터모델링 효과 강화). 또한 받아들이는 리더 관점에서, 본인의 자기효능감, 즉, 과업수행자신감이 높을 경우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스스로 높은 확신을 가지고 본인만의 리더십을 수행해 갈 것이라고 가정하였고(반면교사, 카운터모델링 효과 강화), 반면 낮은 과업수행자신감을 보이는 경우, 스스로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이 부족하여 외부의 행동을 참고하고, 차상위 리더의 행동을 더 쉽게 따라할 것이라 가정하였다(롤모델링 효과 강화).
본 연구는 한국의 다양한 기업 내에서 구성원과 상사 각각 한 명을 쌍으로 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200쌍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가설 검증에는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분석 결과 차상위 리더가 임파워링 리더십을 할 경우 리더 역시 임파워링 리더십을 하여, 그것이 구성원의 높은 직무수행과 주도적 행동으로 이어짐을 확인하였으며, 차상위 리더가 비인격적 감독을 할 경우 리더는 사회 학습 관점에 따라 임파워링 리더십을 줄이고, 이것은 구성원의 낮은 직무수행과 주도적 행동으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경계조건인 차상위 리더의 평판과 리더의 과업수행자신감에 대한 조절효과는 지지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기여점을 갖는다. 첫 번째로, 임파워링 리더십의 적하효과를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부정적 선행요인으로 차상위 리더의 비인격적 감독 역시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비록 가설이 지지되지는 않았으나 반두라가 사회학습관점에서 제시한 사회학습 과정의 강화요인을 조절변수로 검증해 봄으로써 실제 조직 사회에서 사회학습의 강화요인이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확인해보았다. 향후 연구를 통해서 이 분야에 대한 이해가 더 깊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298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3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