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Potential Effects of ESG Materiality and Compatibility on Post-M&A Performance : ESG 중대성(materialtiy)과 양립성(compatibility)이 기업 인수 후 성과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기연

Advisor
박선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ESG MaterialityCompatibilitySustainability GapConformity in dyadPost-M&A performance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경영대학 경영학과, 2023. 2. 박선현.
Abstract
Prior studies have examined the roles of ESG and how it would affect a firm from a variety of aspects including firm performance, status, and shareholder value. In this research, I aim to consider whether a firm would benefit from acquiring a target with not only a high ESG rating on the 3 major categories (i.e., E, S, G), but also impactful scores in the material sectors subjected to the acquirers industry. To explore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I examined 111 dyads formed under the structure of M&A and computed the ESG materiality score for the target firm based on the acquirers industry-specific characteristics. Th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the target firms ESG materiality would positively enhance the acquirers financial outcomes in the long term.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two firms ESG pre-deal gap, especially in the social sector, provides a rather different finding from the existing research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fit achieved in terms of sustainability orient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cent discussions on ESG materiality as well as the desired dyadic structure (i.e., priority over compatibility or complementarity) between acquirer and target.
선행 연구에서는 ESG의 역할과 ESG가 기업 성과, 사회적 인식 및 주주 가치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업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탐구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인 ESG 등급에 초점을 두는 것 보다 인수 기업의 산업 특성 기반으로 특정한 ESG 분야를 선출하여 이와 관련된 피인수 기업의 ESG 경영이 기업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살피고자 한다. 이론적 관점을 검증하기 위해 총 111건의 인수합병 사례를 분석하고 피인수 기업의 ESG 중대성(materiality) 점수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피인수기업의 ESG 중대성(materiality)이 인수기업의 장기적 재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치성 이론(Congruence Theory) 관점에서 출발해서 두 기업의 ESG 격차를 분석하였고 ESG 측면에서 인수기업과 피인수기업의 조직적 적합성에 대해 검토를 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Social) 분야에서 두 기업의 격차가 작을수록 기업 성과가 더욱 향상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299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83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