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트랜지언트 신경 전자 소자를 위한 생분해성 이온 전자 혼합 전도체 연구 : Bioresorbable mixed ionic-electronic conductor for transient neuro-electronic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승균-
dc.contributor.author문준민-
dc.date.accessioned2023-06-29T01:55:05Z-
dc.date.available2023-06-29T01:55:05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683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3217-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831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2023. 2. 강승균.-
dc.description.abstractThe brain is an organ that controls all physiological phenomena in the body through ion signals, so it is essential to detect or monitor them. In order to clearly read the subtle signals of the brain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side effects of implantation, this study designed and realized a new bioresorbable ion-electron mixed conductor. A new material with biodegradability added to the advantages of PEDOT: PSS was synthesized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and its chemical structure was confirmed through FT-IR and NMR. Mixed conductors' polaron/bipolaron energ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considered through UPS and EPR analysis. In order to evaluat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synthesized mixed conductor, the device characteristics of the OECT using the material as an active channel were measured and analyzed.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reported limitations in deriving the results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biodegradable mixed conductor research.-
dc.description.abstract뇌는 체내 모든 생리학적 현상을 이온 신호를 통해 조절하는 기관이며 따라서 이를 감지하거나 모니터링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미세한 뇌의 신호를 선명하게 읽는 동시에 이식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새로운 생흡수성 이온-전자 혼합 전도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기존의 PEDOT: PSS의 장점에 생분해성을 추가한 새 물질을 유제 중합법을 통해 합성하였으며 FT-IR과 NMR을 통해 화학적 구조를 확인하였다. 혼합 전도체의 폴라론/바이-폴라론에 관한 에너지 특성은 UPS와 EPR 분석을 통해 분석 및 고찰되었다. 합성된 혼합 전도체의 실질적인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활성 채널로 물질을 사용한 OECT의 소자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 상에 보고된 한계점을 파악 및 분석하여 향후 생분해성 혼합전도체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01
제 1 절 연구의 배경 01
제 2 절 연구의 내용 06

제 2 장 이론적 배경 09
제 1 절 유기 전자 전도 메커니즘 09
제 2 절 혼합 전도체 내 이온-전자 상호작용 12
제 3 절 산화제 기반 유제 중합법의 원리 14
제 4 절 OECT의 작동 원리 16

제 3 장 실험 방법 18
제 1 절 사용된 재료 18
제 2 절 유제 중합 및 분자 합성 18
제 3 절 생분해성 OECT 공정 및 측정 19

제 4 장 실험 결과 및 고찰 20
제 1 절 생흡수성 혼합 전도체 합성 및 분석 20
제 2 절 생분해성 OECT 공정 및 분석 45

제 5 장 결 론 57

참고문헌 59

Abstract 63

표 목차
[표 1] 대한민국 2020년 사망률 통계 자료 05

그림 목차
[그림 1] 폴라론의 생성 및 전달에 관한 모식도 10
[그림 2] 폴라론 전달에 관한 모식도 11
[그림 3] PEDOT:PSS의 이온-전자 상호작용 모식도 13
[그림 4] PEDOT: DS의 유제 합성 모식도 15
[그림 5] OECT의 작동 방식에 관한 모식도 17
[그림 6] 합성된 PEDOT: DS의 사진과 FT-IR 데이터 21
[그림 7] PEDOT: DS의 전도성 측정 데이터 23
[그림 8] PEDOT: DS의 전도성 비교 데이터 24
[그림 9] PEDOT: DS의 UPS 측정, 전 범위 26
[그림 10] UPS 측정 데이터, 낮은 에너지 영역 27
[그림 11] UPS 측정 데이터, 높은 에너지 영역 28
[그림 12] PSS, DS가 도핑에 미치는 영향 모식도 29
[그림 13] PEDOT: DS의 EPR 측정 데이터 31
[그림 14] 폴라론, 바이폴라론이 EPR에 주는 영향 모식도 32
[그림 15] EDOT-TEG 결과물 사진과 H-NMR 데이터 34
[그림 16] EDOT-TEG: DS의 FT-IR 데이터 36
[그림 17] EDOT-TEG: DS의 FT-IR 데이터, 1번 영역 37
[그림 18] EDOT-TEG: DS의 FT-IR 데이터, 2번 영역 38
[그림 19] EDOT-TEG: DS의 전도성 측정 데이터 40
[그림 20] EDOT-TEG: DS의 전도성 비교 데이터 41
[그림 21] EDOT-TEG: DS의 EPR 데이터 측정 및 비교 43
[그림 22] 분자 길이에 따른 폴라론 비율 차이 모식도 44
[그림 23] 생분해성 OECT 최적화 공정과 결과 사진 46
[그림 24] PEDOT: PSS를 이용한 OECT의 측정 셋업 47
[그림 25] OECT의 output characteristic plot 48
[그림 26] OECT의 transconductance curve 49
[그림 27] OECT의 pulse reaction curve 50
[그림 28] PEDOT: DS OECT의 output characteristic plot 51
[그림 29] 문제의 원인에 대한 추측 1, 표면 거칠기 문제 54
[그림 30] 문제의 원인에 대한 추측 2, 수분 저항성 문제 55
-
dc.format.extentiii, 6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Neuro-interface-
dc.subjectElectrode-
dc.subjectMixed conductors-
dc.subjectTransient electronics-
dc.subjectPolaron-
dc.subjectOrganic electrochemical transistors-
dc.subject.ddc620.1-
dc.title트랜지언트 신경 전자 소자를 위한 생분해성 이온 전자 혼합 전도체 연구-
dc.title.alternativeBioresorbable mixed ionic-electronic conductor for transient neuro-electronic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un Min Moon-
dc.contributor.department공과대학 재료공학부-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3-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683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9▲000000000056▲00000017683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