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북한 공동주거의 형성요인과 변화과정 : Formation Factors and Change Process of Communal Housing in North Korea: Balance and Crack of Urban Planning Ideas of Modernism, Socialism, and Government
모더니즘, 사회주의, 통치의 도시계획의 균형과 균열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봄이

Advisor
박인권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북한 공동주거모더니즘사회주의통치합리성시장화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2023. 2. 박인권.
Abstract
It is confirmed that North Korea is the country that is physically closest but psychologically the most distant to us.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begun to narrow this mental distance. Based on similarities with South Korea, it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city of an unfamiliar country through communal housing, which has become a universal residence in North Korea. The majority of North Koreans, like South Koreans, live in communal housing. In particular, in the urban area of Pyongyang, 9 out of 10 people live in communal housing and 6 out of 10 people live in apartments. It is a higher figure than Seoul, and it is possible to estimate how overwhelming the ratio of apartment and communal housing is in the urban area of Pyongyang.
Therefore, North Korean communal housing is enough to be illuminated as a subject of research, but related research is lacking. Studies so far have revealed the limitations of analysis based only on the theory of socialist urban planning. In interpreting the formation and change of communal housing in North Korea,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limited to socialist principle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into communal housing in North Korea through a model combining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Modernism urban planning in the most general aspect, socialist urban planning in the general aspect of socialist countries, although somewhat special to us, and government of urban planning in the special situation of North Korea's three-generation hereditary dictatorship system are combined. It is an attempt at a mor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forming and change North Korean communal housing regarding the balance, imbalances and cracks of the forces of the three axes through the structured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of each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ism urban planning, major cities in North Korea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after the Korean War until the 1970s. It was confirmed that this was related to the heavy industry priority policy. In the case of Pyongyang, even now, compared to other cities, the population growth is steep. It was confirmed that this was also the result of the light industry growth policy that had been pursued since the 1970s. In order to respond to such rapid urbanization, after the Korean War, North Korea built a standard housing type of low-rise communal housing called Oirangsik (single corridor access) based on the model of the Soviet Union and East Germany, and supplied a large amount of housing. After that, from the 1970s, communal housing in North Korea began to become high-rise. Since the late 1980s, it has been shown to be horizontally large in terms of the length of the block, building, and the width of the central road of the apartment complex.
In this way, it can be evaluated as a natural result of modernism urban planning that the distribution of communal housing mainly in high-rise apartments in order to resolve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due to restoration projects and industrial promotion in cities devastated after the war. Le Corbusier's style of modernism, aiming for functionally standardized housing, was the most suitable solution to the challenges demanded by North Korea in this era. This can also be seen as being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apartments in South Korea in response to rapid urbanization since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ist urban planning,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s communal housing plan is the grouping of everyday spaces to realize socialist life. North Korean communal living area was planned based on the concept of Soguyeok (micro district), which was assumed as a spatial basic unit to organize the collective communal life of residents in socialist urban planning. Accordingly, from the late 1950s, the structure of housing + public facilities was formalized. Ideological and cultural facilities, distribution facilities, communal cooking facilities, and communal production facilities were established as public facilities. Along with this, Inminban and Women's Union were organized to manage communal life. Official practices and networks have been formed and strengthened, and collectivist norms and values that residents must have, have been learned and promoted. Therefore, in North Korea under the planned economy,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ommunal housing and service facilities was created, and the organizational system was established. The living space, collective practice, and the network of (re)produced relationships have repeatedly formed and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planning of governance, the three regimes in North Korea have strengthened the rationality of governance by utilizing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communal housing as a way to meet the immediate needs of the times. The Kim Il-sung regime put up the banner of constructing vast communal dwellings in order to restore urban functions that had been devastated by the Korean War. A large number of communal dwellings were quickly supplied through standardization of design and assembly of construction methods. This responded to the people's demand for housing and played a role in giving legitimacy to the fledgling Kim Il-sung regime.
On the other hand, the Kim Jong-il regime needed a strategy to highlight creativity and diversity, different from monotonous communal housing due to the quantitative demands of the previous period. Creating unique and new forms of communal housing and visually highlighting it became the most effective way to imprint him as a successor to the people and reveal his qualities as a ruler.
It can be seen as a natural development that the Kim Jong-un regime made the declaration of a civilized socialist country to build and enjoy world-class civilization to the people struggling with economic difficulties. The leader's vision to turn the socialist country into a civilized count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reates an ostentatious and splendid symbolic landscape and enhances the readability of government through the effect of large-scale communal housing construction that can transform the urban landscape.
Overall, from the perspective of weakening the balance and cracking, it can be said that communal housing in North Korea under the planned economy system has been balanced by shifting the center of power to modernist urban planning, governance urban planning, and socialist urban planning. However, the economic crisis of the 1990s markedly weakened the power of socialist urban planning and triggered a crack. As a result, communal housing faces significant practical, relational, and physical changes. The disintegration of the distribution system weakened the official practice and network of relations from the government, and brought a change that reduced public facilities that contained it.
On the contrary, the dynamics of the market mechanism have greatly increased. Private practice, which was thoroughly controlled under the planned economy system, sprung up spontaneously and led to great changes in formalizing the operation of the market. The network of private relationships tends to overwhelm the network of official relationships by embracing the network of communal relationship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market economy system replacing the planned economy system and playing a role as a mediator of social networks. This implies that the role of the market space as an intermediary space for the network will increase if market transactions are further liberaliz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government's obligation to supply housing is selectively fulfilled due to reduced capacity. The government's policy change to make up for the reduced housing supply through the market is diversifying the subjects of housing supply. This shows that the center of power is being divided into the private market economy system.
In the future, it is confirmed that the population will continue to be concentrated in Pyongyang City as the capital and because of its symbolism beyond that. This will continue to supply large-scale and high-rise communal housing under the banner of the current regimes civilized socialist country. Moreover, in a situation where the socialist system and the market economy system coexist, tower-type apartment housing with a small number of households on the same floor is preferred as a role of protecting private practice, and such a high-rise apartment housing policy is expected to gain more momentum. In the future, as the weakening of socialism continues, it is predicted that the power of urban planning of modernism, governance, and market economy will move toward a new balance point.
북한은 우리와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우면서도 심리적으로는 가장 먼 국가임이 확인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심적 거리감을 좁혀보고자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남한과의 유사성을 토대로 북한의 보편적 주거로 자리 잡은 공동주거를 통하여 낯선 국가의 도시를 이해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북한 사람들도 남한 사람들과 같이 대다수가 공동주거에 살고 있다. 특히, 평양 도시지역의 경우에는 열명 중 아홉명이 공동주택에, 열명 중 여섯명이 아파트에 살고 있다. 이는 서울보다도 더 높은 수치이다.
이에 북한 공동주거가 연구의 대상으로 조명되기에 충분하나 관련 연구는 부족하기만 하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사회주의 도시계획의 이론에만 근거하여 분석하는 한계를 드러냈다. 북한 공동주거의 형성과 변화를 해석함에 있어 이론적 틀이 사회주의적 원리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장 보편적인 측면에서 모더니즘 도시계획, 우리에겐 다소 특수하지만 사회주의 국가의 일반적 측면에서 사회주의 도시계획, 그리고 북한의 3대 세습 독재체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통치의 도시계획의 성격이 결합된 모형을 통하여 북한의 공동주거를 들여다보았다. 각 이론의 구성요소들의 구조화된 관계를 통하여 세 가지 축의 힘이 균형을 이루거나 불균형 및 균열을 겪으며 북한 공동주거를 형성하고 변화를 일으키는 것에 관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모더니즘 도시계획의 관점에서, 전후 북한의 주요 도시들은 1970년대까지 급속한 도시화 현상을 겪었으며, 이는 중공업 우선 정책과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평양시의 경우, 현재까지도 다른 도시들에 비하여 가파른 인구 성장을 보이는데, 이 역시 1970년대 이후부터 추진된 경공업 병행 성장 정책의 결과임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급속한 도시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후 북한은 소련과 동독의 모델을 바탕으로 한 저층 외랑식(편복도식)의 표준주거유형을 구축하여 대량의 주거를 공급하였다. 이후, 1970년대부터 북한의 공동주거는 고층화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대 후반부터는 공동주거 단지의 블록 길이, 주동의 길이, 중심 가로폭의 측면에서도 수평적인 대형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전후 초토화된 도시에서 진행된 복구사업과 산업 진흥으로 인한 인구 집중을 해소하기 위해 고층아파트 위주의 공동주거를 보급한 것은 모더니즘 도시계획의 당연한 귀결이라 평가할 수 있다. 기능 중심의 표준화된 주택을 지향한 르 꼬르뷔제 식의 모더니즘 계획은 이 시대 북한이 요구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가장 적합한 해법이었다. 이는 1970년대 이후 남한에서 급속한 도시화에 대응하여 아파트 개발을 추진하게 된 것과 궤를 같이한다고도 볼 수 있다.
사회주의 도시계획의 관점에서, 북한 공동주거 계획의 핵심적 특성은 사회주의적 삶의 구현을 위해 일상공간을 집단화한 점이다. 북한 공동주거지는 사회주의 도시계획에서 주민의 집단공동생활을 조직하기 위하여 공간적인 기초단위로 상정한 소구역(마이크로 디스트릭트) 개념을 바탕으로 계획되었다. 이에 1950년대 후반부터 주택+공용시설(봉사시설)의 구조로 정식화되었으며, 공용시설로서 사상·교양시설, 배급시설, 공동 취사시설, 공동 생산시설 등이 자리 잡게 되었다. 이와 함께 공동생활의 운영을 위해 인민반, 여성동맹 등이 조직되어 공식적 실천 및 관계망을 형성·강화하며 주민들이 갖추어야 할 집단주의적 규범과 가치관을 학습하고 장려해왔다. 따라서 계획경제 하에 북한에서는 공동주거와 봉사시설이라는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고 인민반, 여성동맹이라는 조직체계를 구축하여, 생활공간과 집단적 실천, 그리고 그것을 통해 (재)생산된 관계망이 형성과 발전을 거듭해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통치의 도시계획의 관점에서, 북한의 3대 체제는 당면한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방편으로 대규모 공동주거 건설을 활용하여 통치합리성을 강화하였다. 김일성 체제는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초토화된 도시 기능의 복구를 위하여 방대한 공동주거의 건설을 기치로 내걸었다. 설계의 표준화 및 규격화, 건설 방법의 조립화를 통하여 대량의 공동주거를 신속하게 공급하였던 점은 인민들의 주택수요에 대응하여 신생 김일성 체제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였다. 김정일 체제는 이전 시기의 양적 요구로 인한 단조롭고 획일화된 공동주거와 차별되는 독창성과 다양성을 부각하는 전략이 필요하였다. 특색있고 새로운 여러 가지의 형식의 공동주거를 만들어내고 시각적으로 부각한 점은 인민에게 후계자로서 본인을 각인시키고 통치자로서의 자질을 드러내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되었다. 김정은 체제에서는 고난의 행군을 겪은 인민들에게 세계적 수준의 문명을 건설하고 이를 향유하도록 하겠다는 취지에서 사회주의 문명국을 표명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사회주의 조국을 문명국으로 이룩하겠다는 지도자의 비전은 도심의 경관을 전변시킬 수 있는 대규모 공동주거 건설의 효과에 힘입어 과시적이면서 화려한 상징경관을 연출하며 통치적 가독성을 높이고 있다.
종합하면, 계획경제 체제하에 북한의 공동주거는 지속적으로 마주한 도시화 문제에 대량공급으로 맞선 모더니즘 도시계획, 인민의 주택수요에 대응하고 지도자의 자질을 부각하여 체제의 정당성에 힘을 실어준 통치의 도시계획, 그리고 사회주의적 삶을 구현하기 위하여 집단공동생활의 주거유형을 적극적으로 이식한 사회주의 도시계획 등 세 가지 도시계획 이념이 균형을 이루어 형성되고 발전돼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1990년대 경제난은 사회주의 도시계획의 힘을 현저히 약화시키며 균열을 촉발하였다. 이에 공동주거는 실천적, 관계망적, 물리적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배급제의 와해는 국가로부터의 공식적 실천과 관계망을 약화시켰고 이를 담아내던 공용시설들을 축소시키는 변화를 가져왔다. 반면 시장기제의 동력은 크게 증가하였다. 계획경제 체제하에 철저히 통제되었던 사유적 실천이 자생하여 시장의 운영을 공식화하는 큰 변화를 이끌어냈다. 사유적 관계망은 공동체적 관계망을 포섭하며 공식적 관계망을 압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시장경제 체제가 계획경제를 대체하여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로서 역할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향후 시장거래가 보다 자유화할 경우 관계망의 매개공간으로서 시장공간의 역할은 증대될 것을 시사한다. 또한 국가의 주택 공급 의무는 여력이 감소한 상황에서 선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감소한 주택 공급력을 시장을 통해 메우고자 하는 국가의 정책변화는 주택 공급의 주체를 다양화시키며 민간의 시장경제 체제로 힘의 중심이 나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평양시는 수도로서, 또 이를 넘어서는 상징성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인구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현 체제의 사회주의 문명국의 기치 아래 고층화한 대규모의 공동주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할 것이다. 더욱이 사회주의 체제와 시장경제 체제가 병존하는 상황에서, 같은 층 세대수가 적은 타워형 공동주거는 사유적 실천을 보호해주는 역할로서 선호되어 이와 같은 초고층 공동주거 정책은 보다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사회주의의 약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모더니즘, 통치의 도시계획과 시장경제의 도시계획이 새로운 균형점을 만들어낼 것으로 전망해 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40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87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