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연과 인공 공간의 경계 완화를 위한 매개체 디자인 연구: 자연 현상에서 도출되는 경험적 감성을 적용하여 : A Study on Intermediate Space for Alleviating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Artifacts: by applying empirical sensibilities from natural phenomen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휘

Advisor
장성연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간 디자인자연자연 현상매개체매개 공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2023. 2. 장성연.
Abstract
The huge artificial space of the city provides people with convenience in life, while overcrowded buildings and uniform design can also cause emotional fatigue. People are making various attempts to bring nature back into life to relieve this fatigu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bring nature into indoor space in the field of space design, but most of the cases that have introduced nature into space so far have been to bring natural objects into cities or to design artifacts imitating nature. Although these attempts give an oasis-like space in a dry artificial space, the boundary between artificiality and nature becomes clearer, resulting in a seemingly disconnected phenomenon and awkward coexistenc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tificiality and various natural phenomena that can be a resource for design, and to experiment with designs that ease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artificiality by studying intermediate shapes, mediums with blurring properties, and medium spaces.

Prior to conducting the work experiment,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changes in the field of art, design, and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times. Second, cases of introduction of nature in artificial spaces that have been previously conducted were investigated. Finally, the case of using natural phenomena as a method of introducing nature in space was investigated, and the direction of differentiated medium design was established only by researcher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rior case study, the first design study explored design as a medium that can alleviate the boundary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by utilizing design formative language close to nature. In this process, there was a limit to the connection with artificiality because it was closer to imitating the formulation of nature itself than the formulation as a medium connecting nature and artificiality. Thus, second design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finding the intermediate form, location, and nature of nature and artificiality. While conducting the experiment, it was expected that the formulation of the medium would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nature and artificiality, but no clear difference in formulation was obtained, and the intermediate formulation was not sympathized. In addition, it found a problem that the user's empirical aspect was not considered by focusing on formulation. In this way, in the first and second design studies the focus was on finding intermediate formations,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imit to simply formations. In the third design study, a medium and a medium space where you can experience natural phenomena that have been blocked from entering the artificial space for promoting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was tested. Natural phenomena smoothly penetrated into artificial space through the medium, inducing people to blur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artificiality.

Through these design studie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medium design that alleviates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artificial by using natural phenomena as design resources. It is judged that if you experience natural phenomena that can be encountered in daily life such as dew, rain, and snow in an indoor space, rather than artificially processing nature and attracting it into an artificial space, the boundary between artificial and nature will be eased.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work study will be a material that provides another way to contact nature in an indoor space.
도시라는 거대한 인공 공간은 사람들에게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과밀된 빌딩들과 획일화된 디자인은 정서적 피로감을 유발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이러한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해 자연을 다시 삶 안에 도입하는 다양한 시도들을 하고 있다. 공간 디자인 분야에서도 자연을 공간에 끌어들이고자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금까지 자연을 공간에 도입한 사례들의 경우, 대부분 도시 속에 자연물을 그대로 가져오거나, 자연을 모방한 인공물을 세우는 것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이, 메마른 인공 공간 속 오아시스 같은 공간을 부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인공과 자연사이의 경계가 더욱 뚜렷해지며, 이는 단절되어 보이는 현상을 초래, 서로 조화되지 못한 채 어색하게 공존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자연과 인공의 관계, 디자인의 자원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자연적 현상들을 살펴보고, 자연과 인공이 한 공간 안에서 조화롭게 어우러질 수 있는 중간 조형, 경계를 흐리는 성질을 가진 매개체, 매개 공간을 연구하여, 자연과 인공의 경계를 완화시키는 디자인을 실험하는 것이 목적이다.

작품 실험을 진행하기에 앞서, 첫 째, 시대에 따라 예술, 디자인, 건축 분야에서의 자연관의 변화에 대한 문헌 고찰을 진행하였다. 둘 째, 기존에 이루어져 왔던 인공 공간 속 자연 도입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 내 자연 도입 방식으로 자연 현상을 이용한 사례를 조사 하였고, 연구자만의 차별화 된 매개체 디자인 방향성을 정립하였다.

문헌 고찰과 선행 사례 조사를 바탕으로, 작품연구 1차는 자연에 가까운 디자인 조형언어를 활용하여 인공과 자연의 경계를 완화시킬 수 있는 매개체로서 디자인을 탐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연과 인공 사이를 이어주는 매개체로서의 조형보다는, 자연 그 자체의 조형을 모방한 것에 더 가까워 인공과의 연결성에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작품연구 2차에서는 자연과 인공의 중간 조형, 위치, 성질을 찾는 것을 목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자연과 인공의 종류에 따라 매개체의 조형이 달라질 것이라고 기대하였지만 뚜렷한 조형 차이를 얻지 못하였고, 중간 조형에 대해 공감 받지 못하였다. 또한 조형에 치중하여 사용자의 경험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작품연구 1, 2차에서는 중간 조형을 찾는 것에 집중했으나, 단순히 조형으로만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작품연구 3차에서는 그동안 쾌적함을 위해 인공 공간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차단되었던 자연 현상을 경험할 수 있는 매개체, 매개공간에 대해 실험하였다. 매개체를 통해 자연 현상이 부드럽게 인공 공간으로 침투되어, 사람들이 이를 경험함으로써 자연과 인공의 경계가 흐려짐을 유도하였다.

본 작품 연구를 통하여, 자연 현상을 디자인 자원으로 활용하여 자연과 인공의 경계를 완화시키는 매개체 디자인 창작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인위적으로 자연을 가공하여 인공 공간 내에 끌어들이는 방식이 아닌, 이슬, 비, 눈과 같은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자연 현상을 실내 공간에서 경험한다면 인공과 자연의 경계를 완화시킬 것이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본 작품 연구가 실내 공간에서 자연과 접촉할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을 제공하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2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38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