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 공예 전시 형식의 변천 연구 :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Display in Contemporary Craft Exhibitions
진열 방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소현

Advisor
허보윤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예 전시현대공예 전시진열 방식화이트 큐브공예의 일상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공예전공, 2023. 2. 허보윤.
Abstract
본 연구는 화이트 큐브에서 비롯된 미술 전시의 진열 형식이 현대공예 전시에도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가운데, 이 형식이 공예를 전시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근대 전시제도에 진입한 이후 공예는 미술 전시 형식을 활용하여 현대적 양상으로 전개되었으나, 전시장에서 순수미술처럼 진열된 공예는 특성을 잘 드러내지 못하고 가치 절하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예가 전시제도를 활용해야 한다면 효과적인 진열 방식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연구를 통해 근대 이후 공예 전시 형식의 변천 과정과 국내 현대공예 전시 현황을 살피며 진열 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예의 가치를 충실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발전적 전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공예품을 발표하고 감상하는 데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방식으로 인식되는 전시의 유래와 형식적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사물을 진열하는 행위는 형식적 발전과정을 거쳐 서구 근대기에 대중에게 개방된 전시로 제도화되었다. 최초의 전시 공간인 박물관과 만국박람회에서 시대순으로 전시물을 배열하여 관람 동선을 만들고 진열장을 사용하는 근대적 진열 방식이 등장하였으며 이는 오늘날 보편적인 전시의 원형이 되었다. 공예는 박물관 전시와 작가협회 전시를 통해 처음으로 근대적 전시제도에 진입했으며 이후 20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전시를 통해 제시되었다. 박물관·미술관, 공예 관련 기관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공예의 진열 형식은 개념과 특성에 따라 진열장 유형, 판매대 유형, 생활공간 유형, 보조자료 유형, 미술 전시 유형의 5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었다. 이 중 화이트 큐브라고 일컬어지는 미술 전시 유형이 공예 진열 방식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끼쳤는데 이는 작품의 맥락을 제거하고 순수한 미적 감상의 대상으로 보여주는 순수미술을 위한 전시 방식이다. 미술 전시 형식은 결과적으로 공예의 쓰임새와 같은 특성을 전달하지 못하고 미적 요소만을 부각시켰다.

다음으로 서구에서 발전한 전시 형식이 국내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공예전시의 태동과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였다. 각종 언론매체에 기록된 전시 정보와 모습을 통해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국내 공예 전시에 나타난 형식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해방 후 수출공예품 전시와 부업 및 취미공예 전시에서는 판매대 유형 진열 방식이 주로 활용되었으며, 현대공예의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는 현대공예의 작품성을 강조할 수 있는 서구의 미술 전시 형식이 공예 전시에 적용되었다. 미술 전시형 공예 전시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가장 성행하였는데 이는 공예의 순수미술화 경향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편, 공예의 일상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공예의 재료, 제작과정,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려는 시도로 미술 전시형 진열을 탈피한 전시도 개최되었고 이는 근래의 공예 전시 형식 변화에 밑거름이 되었다.

이어서 2000년 이후 한국 현대공예전시의 진화 현상에 따른 진열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화이트 큐브 벗어나기로 최근 현대공예 전시는 공예의 미적 측면 외의 다양한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진열 도구를 활용하거나 공간을 총체적으로 디자인하는 등 연출에 공을 들인다. 두 번째는 생활공간 유형의 변주로 현대공예의 일상성에 주목하여 생활공간을 연상케 하는 전시환경을 구축하여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공예의 특성을 전달하기 위한 진열을 도모한다. 현대공예 전시의 세 번째 특성은 보조자료 유형의 다각화로 볼 수 있다. 재료와 기술을 설명하는 보조자료를 작품과 함께 설치하거나 공예의 제작과정을 보다 현장감 있게 구현함으로써 현대공예의 다양한 맥락을 선보이는 데 중점을 둔다. 전시 문화의 방향이 지식 전달 및 감상 경험 제공으로부터 다채로운 체험의 제공으로 이동하고 있는 현재, 새로운 진열 방식을 통해 현대공예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여러 전시에서 공예 전시의 발전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예 전시 진열 형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대공예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보여주기 방식과 발전적인 공예 전시 방향을 전망해보았다. 먼저 공예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하여 보조자료 유형 진열의 강화가 필요한데, 촉각적 감상을 위한 진열뿐 아니라 빠르게 발전되고 있는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관람 경험을 확장해나갈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공예의 사용과 제작을 경험하고 공예적 삶의 방식과 태도를 체험할 수 있는 관람자 참여형 전시 형식을 다각적으로 개발하여 공예품을 매개로 한 소통과 학습, 이해와 체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예를 전시하는 형식의 변천을 진열 방식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현대공예 전시의 발전 방향과 현대공예의 사회적 역할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한국 공예문화의 대중적 소통과 나아가 한국 공예 전시 문화 발전을 위한 이론 연구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ceived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White Cube derived display format for art exhibitions that is currently widely used in contemporary craft exhibitions is insufficient to exhibit craft. After it was introduced to the modern exhibition system, craft adopted the standard display and exhibition format for other types of art, and developed to what we now know as contemporary craft. However, exhibiting craft like other works of fine art invited criticism that such an arrangement does not do justic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craft. If it is imperative that craft follows the current exhibition system, there is a need to discuss a more effective way of display for it. This paper explores the transition of display in the post-modern era, and examines case studies on Korean contemporary craft exhibitions. By analyzing the types and meanings of display, this study hopes to elucidate a direction for exhibitions to develop in, in order to truly convey the value of craft.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 origin and methodological changes of an exhibition display which is considered an indispensable part of presenting and appreciating craft works. The act of displaying objects has been systemized and subsequently publicized in the form of an exhibition during the late modern period in the West. Museums and international expos, the early spaces for exhibitions, first introduced the modern display of arranging objects in chronological order to direct the flow visitors and utilized showcases, which has become the original prototype for an exhibition today. Craft first entered the modern exhibition landscape through the museum and the craftmens association exhibition, and presented itself in various forms of exhibitions until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fter analyzing material from museums and craft-related institutions, this study has deduced that the display for craft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it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the showcase type, the retail display stand type, the living space type, the supplementary material type, and the fine art exhibition type. Among these, the fine art exhibition type, also known as White Cube, has exerted the most influence on the methods used to display craft. It is a method to exhibit fine art in a way that removes its context, allowing the work to be a subject for pure aesthetic appreciation. As a result, the art exhibition type only focuses on the aesthetic aspect of craft, failing to convey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its functionality.

This study then analyzes the impact that the import of Western display of exhibitions had on the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craft exhibitions. The changes of display in Korean craft exhibitions over different epochs were identified through exhibition information and details gathered from various media archives and documents. The retail display stand type was prominent in post-war Korea in exhibitions for export craft product, as well as exhibitions for craft as a secondary job and hobby. From the 1960s, when the concept of contemporary craft started to take place, the Western fine art exhibition format was adopted by craft exhibitions which enabled an emphasis on the artistic value of contemporary craft. The usage of the fine art exhibition format for craft exhibitions had its heyday from the late-1980s to the mid-1990s, which led to the alleged elevation of craft to fine art. On the other hand, efforts were made to reflect the everyday-ness of craft while conveying information on the materials, production process, and techniques used. This was an attempt to escape the art exhibition type of display, which later became the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display in craft exhibitions.

Subsequent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nges in display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evolution of Korean contemporary craft exhibitions after the 2000s. The first change is the escape of the White Cube, which has a tendency to put more effort into the overall presentation of the space by using display tools or by designing the exhibition hall itself to convey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craft, not just its aesthetic value. The second change is the variation of the living space type, where focus is placed on the everyday-ness of craft. The exhibition environment is constructed to resemble a living space, which offers a type of display that is able to convey the coexistence of craft in our daily lives. The third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craft exhibitions is its diversification of supplementary materials. This method focuses on exhibiting the various contexts of contemporary craft either by installing supplementary information that explain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together with the work, or by construct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craft in a more realistic manner. In the present exhibition landscape where the culture is shifting from providing knowledge and an appreciation of the works to diverse experiences, one can discover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craft exhibitions through various exhibitions that actively explore the value of contemporary craft via new ways of display.

Through the analyses of such displays for craft exhibitions, this paper considers the prospect of more effective display for contemporary craft and a direction that would lead to progressive craft exhibitions. First, the method of displaying works with supplementary material must be encouraged to allow a deeper understanding of craft. Not only tactile displays but the rapidly advancing digital technology should also be actively employed to expand the exhibition experience. Lastly, the multi-faceted development of an audience-participatory display type can allow audiences to experience using the craft work and its production process including the accompanying lifestyle and perspectives, so that craft work can become a medium for communication, learning,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to discover a direction in which contemporary craft exhibitions can develop as well as the role of the contemporary craft culture in Korean society by examining the changes in craft exhibitions over time, with a focus on the display used. Should this research become a starting point for the theoretical study of the public communication of Korean craft culture and the cultural development of Korean contemporary exhibitions, it will have served its purpos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2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4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